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스노우 보드 와 스키 중 어느게 나을까요?

40 대 중반인데 조회수 : 5,854
작성일 : 2012-12-12 10:54:24

운동 신경이 있는 편이었는데...

속도감 있는것은 겁나는 나이예요... ㅎㅎ

 

저는 예전에 스키만 초급 수준.

남편은 스키, 보드 다 잘타구요...

 

그래도 앞으로 오래 같이 탈려면

뭘 시작해야 하는게 좋을까...

준비할려면 비용은 어떨까... 등등 생각이 많네요.

조언 부탁 드려요

IP : 113.199.xxx.21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12 10:56 AM (1.241.xxx.188)

    보드보다 스키요
    보드는 멋있긴 하지만 두 발이 묶여 있어 스키보다 부상의 위험이 크잖아요

  • 2. 스키
    '12.12.12 10:57 AM (125.177.xxx.54)

    나이가 있으시니 보드 보다는 스키가 낫지 않을까요?
    나중에도 계속 타려면요....

  • 3. ..
    '12.12.12 10:58 AM (112.170.xxx.82)

    저도 비슷한 나이인데 저 운동신경 좋고 뭐든 금방 배우는거 잘 아는 강사도 보드는 말립디다 그냥 스키 타라고.

  • 4. 40대 중반
    '12.12.12 11:01 AM (113.199.xxx.210)

    어머 여쭤 보길 잘했네요^^
    점 두개님처럼...은근히 어쩜 난 할 수 있을지도 몰라 했는데... 감사^^

  • 5.
    '12.12.12 11:05 AM (125.131.xxx.50)

    보드 12년 탔는데..특히 여자한테 진짜 안좋은 운동이예요 ㅋ 우아하게 스키로 넘어가려고 생각중^^

  • 6. ..
    '12.12.12 11:10 AM (119.67.xxx.75)

    올 겨울 보드 집중해서 배우려 했는데...
    윗님 여자에게 안 좋은 점이 뭐지요?

  • 7. 전 외국에서
    '12.12.12 11:12 AM (122.34.xxx.34)

    스키 엄청 탔었는데요 ..여긴 지형상 워낙에 스키장이 전 미국적으로 유명하게 발달된 동네인데
    7순넘어가는 머리 백발인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손 꼭잡고 와서
    날라다니며 스키타요
    등급이 한 일곱 여덟 단계인데 전문가에게만 권한다고 되있는 최상급 .그냥 경사가 70도 되는 허벅지 깊이
    눈산을 스치며 날라다니시는데
    그분들이 스키 배울적엔 보드가 없어서 그랬는데 나이들어 보드 타는 분들은 별로 없는것 같아요
    오히려 스키의 고장에선 아이들도 스키 많이 타고 중간에 보드도 탔다 다시 스키로 돌아오고 그러는데
    우리나라의 묻지마 보드 편향이 전 더 이해가 안가더라구요
    여튼 그분들 보니 스키가 젊을때 잠깐이 아닌 평생 스포츠 구나 했어요
    한살이라도 어려서 더 배워두면 부부가 재밋게 즐길수 있는 스포츠 같아요
    여기 스키 오래 타신분들은 헬기타고 산타고 내려오고 (해발 3000미터가 넘어가요 )
    슬로프로 닦아 논걸 자체를 지루해 하시더라구요
    바위가 삐쭉비쭉한 그런 지형에 몇미터씩 바닥에 굳어있다는 snow powder자체를 엄청 즐기죠
    암튼 전 스키 추천요 ~
    보드는 어려서 쌩쌩한 애들도 하도 슬로프에서 넘어지고 나중엔 지쳐서 업어져 있는걸 많이 봐서 그런지 별로 인상이 안좋아요
    배우기도 쉬어보이지 않고 민폐도 끼치는 애들이 많더라구요

  • 8.
    '12.12.12 11:25 AM (125.131.xxx.50)

    음 일단 12년 타보니 무릎 등 관절에 별로 좋지 않고..
    차가운 눈 바닥에 앉아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에 자궁이 따듯해야 하는 여성에게 좋지 않고..
    발이 묶여있다보니 특성상 넘어지게 되면 앞으로 퉁 아님 뒤로 쿵인데
    허리 및 특히 하체 부분에 무리가 많이 가더군요. 타면 탈수록 여자한텐 정말 안좋은 운동이란 생각을 했어요 ^^

  • 9.
    '12.12.12 11:29 AM (125.131.xxx.50)

    아 하나 더! 그리고 저처럼 오래타면 허벅지 엄청 굵어져요~~ ㅋㅋㅋㅋㅋㅋㅋㅋ

    ㅠㅠ..

    재미로 몇년 타보긴 좋아요 ^^;;

  • 10. 토실이아줌마
    '12.12.12 11:31 AM (112.151.xxx.169)

    저도 20 대 후반부터 보드를 접해서 탄지는 진짜 꽤 (?) 되었는데요.
    보드는 일단 관절에 무리가 많이 가는 운동은 맞는 것 같에요. 물론 기초 체력이 받쳐주지 않으면
    리프트타고 올라가서 한번 타고 기운 빠지는...그래서 보드를 한시즌 제대로 타려면 봄 여름 가을
    헬스든 뭐든 근력을 잘 키우지 않으면 제대로 못즐기더라구요.

    역에지걸려서 넘어지면 엄청난 통증은 말할것도 없고 나이가 있는 사람들은 몇달까지
    고생하니 일단 시작하신다면 기초 체력이 중요하고 그다음 보호장비 무릅패드 손목패드 엉덩이패드
    헬멧 등등 제대로 갖추시고 시작하세요. 40대에 처음 보드 타는 분들 많이 봤으니 큰 무리는
    없어 보이지만 처음 배우실때 좀 고생은 하실듯 합니다...

    그리고 초보자는 대부분 슬로프에 앉아 있는 경우가 더 많아 충돌의 위험이 더 크긴해요..
    보더와 스키어는 같이 할래야 할수 없는 운명이랄까.. 저도 스키어랑 충돌해서 보드데크 탑이
    부셔진적 있습니다.. ㅠ.ㅠ

  • 11. ,,,,
    '12.12.12 12:29 PM (211.33.xxx.130)

    보드가 체력소모가 스키보다 훨씬 큽니다. 다이어트에 엄청 효과에요. 특히 허벅지살 많이 빠짐...

    그렇지만, 40대에 처음 배우시는 거라면 부상의 위험이 낮고, 체력소모가 적은 스키 추천합니다.

  • 12. ...
    '12.12.12 12:44 PM (110.12.xxx.119)

    아아.. 스키가 체력 소모가 적진 않아요. 제대로 스키판 눌러가며 타려면 허벅지 터져여.
    스키어들이 슬로프 가장자리에 중간 중간 서 있는건 한번에 내려오기 힘들어서 쉬는거에요. 진짜 힘듬.
    보드는 눈밭에 앉았다 일어났다 하면서 바인딩 묶고 풀고 하는게 더 힘들었어요.
    넘어지면 걍 바닥에 패대기쳐지거나 구르거나..
    보드는 허벅지 살 빠지나여? 전 스키 십년 탔더니 허벅지 양쪽 바깥사이드하구 뒤쪽하구 안쪽에 근육이 생겨버렸어요. 딱딱하니 눌러도 눌리지 않는 근육. ^^;;;

    스키 권해드려요. 제 주변에 60~70대 어르신들도 스키 즐기시는분들 많아요.
    보드는 여러분들이 말씀 하셨다시피 부상 위험이 큰데, 주로 골절이 많아요. 손목은 말할것도 없고 어깨.팔목. 엉덩이 꼬리뼈(?).. 무릎.. 제 후배는 평평한 베이스에서 앞으로 푹 꼬꾸라지며 넘어 졌는데 쇄골 골절까지... -,.-;;;

    헬멧 꼭 착용 하시고 타세요.
    뼈 부러진건 깁스 하고 치료 하면 되지만 머리는.. 충격 받으면 데미지가 심해요.

  • 13. ...
    '12.12.12 1:56 PM (175.253.xxx.157)

    저 초딩때부터 스키타다가..어느때인가부터 보드가 대세!
    친구들도 다들 보드를 타고 해서 상급자실력이었던 스키 때려치고 보드 배웠어요~

    전 체대 출신이냐는 소리 들을 정도로 운동신경이 좋은 편이라...^.^;
    금방 배워서 그라운드 트릭도 하고 파이프 들어갈 정도로까지 탔는데..
    다시 겨울 스포츠 한다면 스키로 돌아갈래요;

    아무래도 두발이 묶여 있으니 부상위험도가 큽니다.
    백발이신분이 멋지게 보드 즐기시는 경우도 보긴 했지만...아무래도 젊음의 스포츠일 수밖에 없어요.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1832 투표하는 날에 어딜 가신다고요? 3 할머니 2012/12/15 1,304
191831 페레가모구두...어떤가요? 9 살까? 2012/12/15 2,830
191830 미소가 너무 중독성 있어서 3 혼자보기 아.. 2012/12/15 2,081
191829 부모님 2번으로 단번에 마음바꾸게 한 방법. 14 2번 2012/12/15 3,053
191828 공무원이신 분들..당직 자주 서나요? 4 메로구이 2012/12/15 1,381
191827 저희엄마 1번->2번으로 바뀌었어요. 15 ㅎㅎㅎ 2012/12/15 2,435
191826 점심 초대상 좀 추천해 주세요... 1 2012/12/15 994
191825 개스팅보트 충청지역 여론조사 결과 3 중도일보 2012/12/15 1,873
191824 투표안하는 주변분들 보면 어떠세요? 23 .... 2012/12/15 1,669
191823 인물보고 홍정욱, 오세훈 찍어 준다고 했던 아줌마들... 13 외모지상 2012/12/15 3,334
191822 핸드폰 요금제 추천 좀 해주세요. 귀국반 2012/12/15 509
191821 저는 아직도 광화문...^♥^ 5 anycoo.. 2012/12/15 2,241
191820 기모바지 좀 추천해줘요~~ 4 ... 2012/12/15 2,324
191819 난 장인 장모한테 아버님 어머님 그러는 18 ... 2012/12/15 4,148
191818 밑) 오늘 지하철에서 --알밥이네요 먹이주지마세요 22 알밥싫어 2012/12/15 1,684
191817 정동영요.. 3 .. 2012/12/15 1,218
191816 세타필 로션 남자 어른 쓰기에도 5 .... 2012/12/15 1,934
191815 개별난방인데요. 온수가 미지근하게 나와요. 뭐가 문제일까요? 8 온수 2012/12/15 7,392
191814 생각해보니, 저도 삼성전자생산직갈걸 그랬나봐요 10 겨울방학 2012/12/15 5,803
191813 오늘 지하철에서 어떤 아저씨의 말이 인상깊었어요. 54 .... 2012/12/15 12,958
191812 노스트라다무현 동영상 보셨어요? 2 ... 2012/12/15 1,119
191811 굴 냉동보관하면 맛이 이상해 지지 않을까요? 3 dma 2012/12/15 5,338
191810 이놈의 공중파에 선거뉴스가 사라졌네요. 2 정말 2012/12/15 1,265
191809 방학중 수학 예습 방법 질문요 ~ 3 ... 2012/12/15 1,015
191808 오늘 박그네가 기적을 행하셨다고!!! 13 미치겠다 2012/12/15 4,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