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예전에 올린 글중에 70년생이 뭐 학교 그만두고 방직공장 간 글이 있었는데..

엘살라도 조회수 : 2,201
작성일 : 2012-12-05 07:40:35
그거 50년대 중반생까지 해당되는게 아니에요? 그 이후 세대는 거의 다 학교 다 다는걸로 알고 있는데... 그것도 케바케인가요?
IP : 182.220.xxx.16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12.5 7:45 AM (211.246.xxx.153)

    제가 70년생인데 중학교졸업하고 가는 아이들도있구 더형편어려운애들은 졸업도 못하고 가는애들도 있었어요 반에 한두명정도는 되었답니다

    제시누이 63년생 67년생 둘인데
    둘다 중학교도 졸업못했구요
    아들인 남편은 고등학교졸업후
    대학들어가서 자기가벌어 다녔답니다

  • 2.
    '12.12.5 7:56 AM (211.234.xxx.105)

    71년 생인데. 진짜 반에서. 2-3명은 중학교도 방직공장야간가던게 생각나네요.

  • 3. 통계
    '12.12.5 7:58 AM (112.159.xxx.25)

    통계를 보면

    70년생의 초등학교 취학률은 97%가 넘는 데 70년대생들이 중학교 입학하는 해인 83년 중학교 취학률은 75% 정도 됩니다.

    즉 70년생들은 초등학교는 거의 다 갔다고 할수 있지만 중학교는 3/4정도만 갔다는 겁니다.

    다시 말하면 케바케는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참고로 중학교 취학률이 90% 넘는 시기가 90년대 입니다.

    이건 팩트니 믿으세요.

  • 4. 모름지기
    '12.12.5 8:17 AM (211.36.xxx.190)

    저는 71년생인데 초등학교 동창들 중에 중학교 진학 안한 친구 2명있었고 ㅡ중학교 동기들 중에 고등학교 진학 안한 친구들은 5-6명 되는것으로 기억해요. 그중 여자애들은 대부분 방직회사에서 야간으로 운영하는 고등학교로 갔었어요.

  • 5. ...
    '12.12.5 8:17 AM (14.32.xxx.170)

    신경숙의 '외딴 방' 보세요.
    그 작가가 63년생인데,
    서울에 올라와 공장에서 일하며 야간학교에 다니는 모습이 그려지죠.
    그 학교를 방문하옵신 영부인 (! - 이순자)에 대한 묘사도 있고요.

    제가 62년생인데, 어렸을 때 서울 변두리인 저희 동네에 작은 하청 공장들이 많았어요.
    시골에서 올라온 여자애들이 많이들 일했지요.
    아직도 눈에 선해요. 못먹어서 키 작은 여자애가 그 키도 펼 수 없을 정도로
    낮은 다락방에서 미싱을 돌리던 모습...
    제 어머니가 그 하청공장에 물건 갖다주러 갔을 때 따라가서 보았거든요.
    어머니와 함께 있는 저를 부러운 눈빛으로 쳐다보던...그 눈길...
    정말 미안했었어요.

  • 6. .....
    '12.12.5 8:23 AM (110.70.xxx.125)

    71년생인데 대도시 중학교 한반에 3명정도 공장에서 일하며 야간고등학교 다니는곳으로 갔어요...

  • 7. 69년생들인데
    '12.12.5 8:29 AM (121.162.xxx.47)

    저희 학교에서도 고등학교 못가고 공장 다니는 애도 있었고..
    식모살이하면서 중학교 다니는 애들도 몇 있었어요..

  • 8. .....
    '12.12.5 8:30 AM (116.37.xxx.204)

    내가 못보고 못 듣는, 모르는 세상이 존재하지요. 그걸 부정하면 안되지요. 설령 내가 그 세상에 속해있지 않더라도요.

  • 9. ^^
    '12.12.5 8:47 AM (1.243.xxx.44)

    저 89년에 대학졸업하고, 다음해에 대전에 있는 방적회사부설 산업체학교에 기간제로 나갔어요. 중학교부터 있는 학교요. 3교대 근무라 선생들도 아침수업부터 밤수업까지...
    89년도에도 초등졸업하고 중학교,고등학교 보내준다는 말 듣고 산업체중고로 오는 아이들 있었다는 말이죠.
    수업도 부실하고... 졸려서 졸고 있는 아이들 깨우지도 못했어요. 가슴 아파서...
    학교식당 급식도 부실... 장학사 오는 날만 급식짱이었어요.

  • 10. 74년생
    '12.12.5 8:51 AM (180.71.xxx.53)

    공부 잘 하던 중학교 동창이 고등학교를 공장다니면서 갈 수있는 기숙야간학교를 갔어요
    집안이 어무 어려운친구라 담임샘이 많이 안타까와 했던 기억이 나네요

  • 11. 뭐로
    '12.12.5 8:58 AM (123.213.xxx.83)

    그때만 해도 복지같은 개념 별로 없었져.
    자신의 가난은 자신이 구제하는거란 개념.
    70년생이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예요.

  • 12. ...
    '12.12.5 9:35 AM (218.234.xxx.92)

    지금도 찾아보면 그런 아이 있겠죠. 공장 대신 술집이나 알바 전전하는...

    저 69년생인데 초등학교-중학교 못가는 아이도 한반에 한두명 있었고 (저희 때 중학교는 의무교육 아님)
    중학교 다니다가 돈 없어서 자퇴한 반 친구도 있었어요. 그 친구가 담임선생님과 반 아이들 앞으로
    편지 보내와서 그거 읽어주는데 "선생님, 저 학교 다니고 싶어요, 학교 다니게 해주세요" 라는 글에
    반 아이들이 대성통곡..

    지금만 해도 복지 시설도 있고, 자선가나 기업 후원금도 많지만 그때는 그런 것도 없었어요.
    넉넉한 시절도 아니니(70년대 후반~80년대 초반)아이들끼리 용돈을 모아서 내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리고 중학교-고등학교에서는 더 심했고요. 한반에 50~60명이었는데 인문계 고등학교를 20명 정도만 갔어요.
    상고 가는 아이가 훨씬 많았죠. 당연히 대학 안간다는 전제, 그리고 학비가 싸다는 전제..

    저는 지방 대도시(광역시)에서 아버지는 공무원인 평범한 집안으로 돈 없어서 아껴쓰는 게 몸에 배였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반에서 상위 20%는 되는 경제력이었던 거죠.. .

  • 13.
    '12.12.5 9:47 AM (218.154.xxx.86)

    저 80년생인데
    저희 중학교 때 부모님 일찍 돌아가시고 오빠랑 새언니랑 살던 아이,
    도시락 못 싸와서 선생님이 그 아이 없는 자리에서 친구들이 돌아가면서 싸다주자고 하셔서
    친구들이 아침마다 교무실 선생님 책상에 도시락 올려놓고
    선생님이 건네 주셨거든요.
    그 아이 울면서 고등학교는 공장 야간 갔어요...
    잘 살고 있으면 좋겠네요..

  • 14. 있지요
    '12.12.5 9:52 AM (121.166.xxx.233)

    74년생 저희 남편 사촌 , 주간에는 공장에서 일하고 야간에는 고등학교 다녔어요.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집안 형편이 너무 어려워서 그렇게 했나봐요.
    (큰집, 작은집 다 어려워서 도와줄 형편이 못되어서
    어쩔 수 없었나봐요.)

    평범하게 자란 저는
    같은 74년생인데 저는 이런 학교 있는지도 몰랐어요.
    제가 듣고 본 세상이 전부가 아니구나..그때도 한번 느꼈지요.

  • 15. ..
    '18.12.19 4:02 AM (119.198.xxx.113) - 삭제된댓글

    야간학교 봉사할 때 어르신들
    그 소중한 마음이 조금 더 이해가 되네요.
    이후로 수년간 여기저기서 알게 된 것들을 그때도 알았으면
    더 잘 해드릴 수 있었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7750 안철수, 부산역에서 번개 한다네요..7시반 2 sss 2012/12/07 1,125
187749 백화점에서 정가에서 더 에누리하는거 가능한가요? 1 백화점 2012/12/07 904
187748 게임을 너무 좋아하는 4학년 남아 3 게임 2012/12/07 608
187747 친정부모 잘만나는거 정말 복이에요. 6 손님 2012/12/07 3,284
187746 국수양념장 맛있게 만드는 법좀 가르쳐주세요 2 초등새내기 .. 2012/12/07 1,033
187745 침구세트, 올 화이트 관리하기 힘들까요? 4 .... 2012/12/07 1,224
187744 급질>복비 계산부탁드려요. 3 급해요 2012/12/07 746
187743 아르미안의 네딸들이란 만화 보신분..ㅎㅎ 94 애엄마 2012/12/07 12,204
187742 지역난방 효과적인 난방법 ? 5 지역난방 2012/12/07 2,292
187741 82님들 센스좀 빌려주세요. 4 달의노래 2012/12/07 659
187740 캐럴송 좀 찾아 주세요. 지식인에도 .. 2012/12/07 245
187739 핸드폰으로 찍은 사진은 잡지에 게재 못 할까요?(해상도 관련.... 2 ... 2012/12/07 1,148
187738 보일러 질문있어요... 보일러 2012/12/07 219
187737 군침 도는 꼬치 구이 @.@ 하악 2012/12/07 765
187736 부츠가 넘 비싸요 ㅠㅠ 단기 투잡 할만한 거 뭐 없을까요 tranqu.. 2012/12/07 742
187735 남편이 월급 한푼 안갔다 주는데, 시어머니 모시고 사는 여자 37 .. 2012/12/07 10,571
187734 페이스북 질문~ 1 @.@ 2012/12/07 371
187733 손톱에 때는 왜 낄까요? 그리고 네일케어 관련 질문입니다 시덥잖은질문.. 2012/12/07 652
187732 011번호에서 스마트폰 사려면 신규? 번호이동? 4 스맛폰 2012/12/07 934
187731 컴퓨터 포맷(밀고 다시 까는 거) 어려울까요? 3 스스로 2012/12/07 1,284
187730 문재인 “5월8일, 어버이날 쉽시다”… 공휴일 지정 공약 발표 .. 39 ... 2012/12/07 3,677
187729 간부랑 임원이랑 다른 말인가요? 3 ... 2012/12/07 904
187728 교육감 그래도 큰인물을 찍어야죠. 7 ... 2012/12/07 828
187727 넘 추워요.. 2 전기장판 2012/12/07 736
187726 박근혜-문재인 눈빛·손짓 왜 하필이면 그 ‘순간’일까 3 참맛 2012/12/07 2,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