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35평.. 한번도 300키로와트 이하로 전기쓴적이 없어요 ㅜㅜ 매번 십만원대..

조회수 : 4,001
작성일 : 2012-11-29 17:49:42
결혼 삼년동안 매번 십만원에 가깝게 전기세 냈어요 여름에는 이삼십만원씩...
다들 저만큼 나오는줄 알았는데 같은평수 이삼만원 보고 깜짝놀라서 고지서 전월부터보니 400-500키로 와트더라구요
냉장고,-일반냉장, 빌트인반찬고,빌트인김냉, 화장품냉장고
매번 돌아가는 정수기, 공기청정기, 연수기, 보온밥통,
전기레인지, 음식물처리건조기, 오븐레인지, 식기세척기
세탁기드럼하나 아기사랑세탁기 하나 매번 삶음 사용
티비 55인치 하나 방에 42인치 하나 홈시어터 애기 음악들랴준다고 매일 사용
컴퓨터
곳곳에 꽂아 놓은 아이폰 충전기들....
또 매번 충전시키고 있는 로봇청소기와 무선청소기..

뭘 줄여야할지 모르겠지만 줄여야 하긴 할듯해요
IP : 116.127.xxx.74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ㄷㅇ
    '12.11.29 5:52 PM (211.193.xxx.24)

    전... 최근 일년 반동안 700킬로이하를 써본 적이 없어요. ㅠ ㅠ
    여름에는 에어컨 포함 장난 아닙니다. 휴...
    이번에 이사하면서 에어컨 다 없애고 최대한 아낄려고 노력중인데
    어떻게 될지...

  • 2. 아웅
    '12.11.29 5:54 PM (1.231.xxx.252)

    가전이 많아서 줄일수도 없을듯해요
    가전이 하나둘씩 없어야 줄여질텐데...
    냉장고만 해도 많으시네요..
    생각해보면 줄일수 있는 부분이 많은것 같아요. 정수기 공기 청정기 기타 등등

  • 3. 원글
    '12.11.29 5:55 PM (116.127.xxx.74)

    윗님 ㅎㅎㅎ 집에 있는 가전제품이 궁금해지네요~~우리 줄여보아요

  • 4. ...
    '12.11.29 5:56 PM (61.74.xxx.27)

    낡은 가전 하나도 바꾼거 없이 코드만 뽑아도 100은 줄어요.
    빌트인들이 보통 에너지효율이 엉망이에요. 빌트인김냉 쓰다가 안 쓰니 확 줄었어요.
    드럼 세탁기도 일주일에 두번 정도만 돌리려 노력하고 핸폰충전기도 안 쓸때는 꺼놔요.
    애들이 티비만 안 봐도 전기 확 줄구요. 울집은 pdp라 이게 전기먹는 대마왕인듯 싶어요.

  • 5. 어익후~
    '12.11.29 5:57 PM (39.119.xxx.81)

    저희 가족 세명에 34평 거주하는데 300킬로와트 넘는 때가 여름 겨울 딱 한달씩 총 두달이에요.
    관리비 고지서 오면 전기비부터 확인합니다.
    300 넘지않으려고 노력하구요.
    원글님 글 보니 전기기구가 참 많네요.
    전열이 젤 많이 잡아먹는다고 하는데 보온밥솥은 꺼놓으셔도 될듯한데요.
    안쓰는 방의 불은 꼭 끕니다.

  • 6. 전기요금
    '12.11.29 6:00 PM (124.53.xxx.147)

    혹시 참고가 되실까 해서 저희가 쓰는 내용을 적어봅니다.
    저희는 34평아파트이고 3만원이상 나온적은 별로 없어요. 여름에 에어컨 몇번 틀었더니 45,000원정도 나왔구요.
    냉장고, 김치냉장고, 빌트인김치냉장고, 티비,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노트북 컴퓨터 이렇게 쓰는데 전기밥통을 몇번썼더니 3만원 넘게 나와서 이제는 가스불에 압력밥솥에 밥을 해요.
    저희 어머님댁이 전기요금이 10만원 넘으시는데 얼음정수기 안쓰니까 8만원대로 줄었다고 말씀하시는거 보니 정수기도 은근 전기를 많이 먹는 가전제품인것 같아요.

  • 7. ㅇㄷㅇ
    '12.11.29 6:01 PM (211.193.xxx.24)

    일단 매일 틀던 집안 자동환기 안틀구요. (전에는 완전주복이라 환기시스템 하루종일 켜 놨었거든요)
    공기청정기, 에어컨, 냉장고 1, 빌트인 냉장고 1개, 김치냉장고 1개, 냉동고 1개, 세탁기, 삶는세탁기, 건조기
    전등도 빵빵하게 아주 밝았구요.
    TV 2개, 컴퓨터 2대, 커피머신, 전기밥솥, 전기주전자, 로봇청소기, 무선청소기

    일단은 가장 문제가 아마 수건은 삶는세탁기로 삶아서 전기건조기로 건조하구요.
    이불같은것도 마찬가지
    냉장고, 냉동고도 문제였었던듯 하구요.

    아무튼 이사오면서 전기밥솥도 없앴어요.
    일단 온도 올리고 내리는애들은 최대한 안쓰고
    전기주전자도 가스위에 올리는 스텐주전자로 바꾸구요. - -;;

    최대한 노력해서 400킬로대가 목표입니다. ㅠ ㅠ
    근데 가능할지...

  • 8. 아웅
    '12.11.29 6:03 PM (1.231.xxx.252)

    저는 일단 남편하고 둘만 살구요..

    저희집에는 컴퓨터 한대. 전기밥솥 한대( 보온 안해놓고 가끔 돌려요 현재 주말부부라서 주말에 돌리고 주중에는 몇번 안돌리네요) , 소형 오븐( 안돌립니다. 가끔 베이킹ㅋ)
    믹서기( 콩 갈아 먹느라고 이틀에 한번씩 돌려요)
    냉장고 한대( 김치는 제가 소량으로 담가먹어요. 오래된 김장김치 먹고 싶을때 친정에서 조금씩 가져다 먹고요)
    세탁기 한대, 청소기한대( 집에 작아서 몇분 안돌리네요..)
    전기요( 잘때만) 다리미( 거의 쓸일이 없고요) 작은 라디오..
    이정도네요 가전은 드라이어기.. 그외에는 없는듯해요

  • 9. 푸쿠
    '12.11.29 6:03 PM (115.136.xxx.24)

    헥.. 가전 엄청 많네요... 그것도 전기 많이 먹는 가전으로...

  • 10. dmd
    '12.11.29 6:06 PM (175.253.xxx.179)

    정수기랑 음식물쓰레기 건조기는 전기 많이 먹는걸로 알고 있네요.
    그리고 세탁시 삶음기능이용하시면 역시 많이 올라가고
    화장품냉장고도 중소업체에서 많이 만드는지라 에너지 효율 안좋아요.

    티비도 큰 걸로 2대나 되시고
    그냥 쓰시는 만큼 나오시는 것같은데, 정말 가전 많이쓰시네요.

  • 11. ..
    '12.11.29 6:07 PM (110.14.xxx.164)

    친구네랑 같은식구 같은평수
    우린 3만원 거긴 8-9 만원 - 비수기때
    비교해보면 큰건 다 비슷해요 오히려 컴은 우린 4대 거긴 하나
    근데 자질구레한게 차이가 커요
    비데 정수기 음식물건조기 요정돈데 그래요
    님도 화장품냉장고, 반찬냉장고등등 뒤에 적으신것들은 없어도 사는건데 그게 많이 먹어요
    특히 세탁기 삶음 기능은 .. 저는 가스렌지에 삶거든요
    그 정도 가전 쓰시면 많이 나온다고 할수없지요

  • 12. ...
    '12.11.29 6:09 PM (121.167.xxx.115)

    우리 애 사회책을 보니 인간이 너무 편리하게 살려는 욕심 때문에 에너지 자원을 과잉 소비해서 지구온난화가 일어난다고 되거 있어요. 지구온난화는 북극곰의 터전을 뺏고 갑작스런 태풍과 호우를 일으킨다네요. 어떠세요... 아무리 돈이 많아도 같이 살자는 차원에서 좀 줄여주시면 안 될까요?
    화장품 냉장고, 반찬냉장고, 연수기, 세탁기 삶음 기능... 다 크게 필요없거나 줄여도 될 것 같은데.
    이것도 악플일까봐 걱정은 되는데.. 같이 살자는 뜻에서 감히 올려봅니다.

  • 13. 태양광
    '12.11.29 6:19 PM (14.42.xxx.41)

    설치하고 매달 5~6천원 나오네요
    아주 만족스러워요
    예전에 온풍기 사용하다 한달에 40만원까지 나온적이 있어
    전기요금에 민감해졌어요
    그래서 전기밥솥 아예 사용 안하고 세탁도 일주일에 두세번
    모아서 하구요 신경을 좀 썼더니 300살짝 넘기곤 했었어요
    그래도 56인치 tv 홈시어터 전기렌지 오븐 김냉 양문냉장고
    드럼세탁기 건조기 다리미 비데 등등 사용하고도 그정도 나오네요
    겨울이라 이제부턴 조금 더 나올듯해요

  • 14. 아기세탁기
    '12.11.29 6:31 PM (121.190.xxx.26)

    아기사랑 세탁기 쓰실때 온수 설정하면 전기비 덜나와요. 전 그거 모르고 냉수로 그냥 막 돌렸다가 십만원 나온적 있어요. 그리고 애기가 육개월 넘었다 하면 그냥 온수로 돌리세요. 그리고 거기다 백날 삶아도 던 누르딩딩하던데요. 가스불에 삶는게 최고예요. 그리고 밥은 보온으로 다섯시간 이상 하면 밥이 마르고 맛없어서 냉장고에 넣고 무조건 쩌먹어요. 촉촉해지고 새로한밥 같아요. 전기 많이 아낀다곤 하는데 우선 밥맛이 달라용~

  • 15. ㅣㅣㅣㅣㅣ
    '12.11.29 6:42 PM (175.253.xxx.41)

    저는 이해안갈정도로 적게내는데요ㅡㅡ
    평균적으로 9천원-1.2천원 내요
    오래된 일반아파트 30평입니다

    다른집과 다른점은 두식구라는것과
    둘다 집에서 일해서 하루종일 쓰는 가전도 있어요
    컴터2대기본 돌리고 오디오 큰거 종일들어요..
    약간 올빼미라 3-4시 자구요..
    가전은 80%이상 수입이고 트랜스 많이써요ㅜㅜ

    그외에 반대로 긍정적인 부분은
    에어컨 없고 김치냉장고 없습니다
    조명은 부엌에서 음식할때외엔 거의 스탠드만 키는데
    거실도 방도 전부 다 led전구에요..
    세탁기 식기세척기는 더운물로 바로연결되서
    전기로데우는 기능은 안쓰구요
    가끔 가장뜨겁게 삶는거(더운물을 전기로 데우는거)
    가끔 써요 그건 한달에 두번정도?
    그외엔 남들이랑 똑같은거같아요
    캡슐커피 많이마시고 벤타 2대 24시간 돌려요

    이전집에 살때는 보통형광등 환하게 키고살았고
    지금 집으로 이사하면서 별생각없이 했던
    가장큰변화는 엘이디 조명인데...
    이걸로 이렇게까지 줄어들까 싶지만
    그외엔 원인을 모르겠네요
    전엔 7-8만원 냈던듯해요
    누진이 이렇게 무서운건가요?
    암튼 전기비 볼때마다 신난답니다

  • 16. ㅇㅇ
    '12.11.29 7:21 PM (110.13.xxx.195)

    헐...정말 너무 전기세 먹는 가전제품을 많이 쓰시네요...

  • 17. 32평
    '12.11.29 9:25 PM (1.245.xxx.200) - 삭제된댓글

    아이가 셋이라 10프로 할인받는데요
    적게쓰면 170와트 200와뜨쯤써서 순수전기료15000 원쯤 나와요
    시청료랑 공동전기료빼구요
    절전형 냉장고에 김냉 세탁기 일주일에 두번돌리고 청소기는 가끔돌려요 손걸레질해요
    티비는 42인지 피디피인데 많이보는 편이구요
    전기밥통안써요 정수기 에어컨없어요 선풍기네대써요
    전기 아끼려고 항상생각하며 살아요

  • 18. 50평
    '12.11.29 9:33 PM (122.40.xxx.97)

    200와트 넘기는 적이 일년에 두달 정도..7.8월 만이예요. 230-250 정도...ㅎ
    보통은 200 살짝 안쪽.
    전기밥솥 가끔 쓰고. 비데도 사용할때만 코드 꼽고..정수기 연수기 안쓰고.
    티비 LCD두대. 김치냉장고300. 냉장고 .전기 주전자. 커피 머신.노트북2대.전자렌지.
    반찬냉장고,쌀냉장고,식기세척기.음식물 처리기.. 다 있으나 사용안해요.

    전기사용줄이려고 노력하긴해요.

    흑... 집 전기료랑..공동전기료가 같아서 슬퍼요.;

  • 19. 쓰라
    '12.11.30 9:45 AM (59.6.xxx.251)

    34평 3식구 130kw 써요.
    비데 코드 뽑아보세요.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이 있는 밥솥, 비데 이런 녀석들 전기 많이 먹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5773 선지를 샀는데 급후회가 되요.. 6 할수있을까요.. 2012/12/03 2,040
185772 70이신 어머니 립스틱을 사드리려는데... 5 qq 2012/12/03 1,304
185771 '학교' 재밌네요 /// 2012/12/03 1,175
185770 하림의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가 요새 왜 이렇게 절절한가.. 6 ... 2012/12/03 2,157
185769 토익스피킹 또는.오픽시험을.봐야하는데 2 ㅜㅜ 2012/12/03 1,595
185768 부산에 점이나 사주 잘보는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답답 2012/12/03 2,660
185767 15년전 유승준 가위 有 34 가위 2012/12/03 3,705
185766 전남 광주 맛있는 빵집 추천 부탁해요!! 6 .. 2012/12/03 1,939
185765 상대방 말을 듣다보면 머리가 멍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4 답답 2012/12/03 1,749
185764 *마켓에서 화장품 사도 될까요? 헤라 2012/12/03 758
185763 문후보님 22 인상 2012/12/03 2,808
185762 예술의전당식당 13 잘살자 2012/12/03 6,348
185761 아르간 오일이 어디에 좋나요? 6 근데 2012/12/03 4,096
185760 부자인 분들, 제발 돈 좀 쓰세요. 8 .. 2012/12/03 3,453
185759 파주에 있는 아울렛 갔다오신분들... 6 겨울이왔구나.. 2012/12/03 2,385
185758 아이아빠 정기보험 만기를 어느시점으로 잡아야 할까요? 3 ... 2012/12/03 1,246
185757 송중기 정말 피아노 치며 불러봤어요 차칸남자 2012/12/03 1,309
185756 검은깨가 너무 많아요 12 커피나무 2012/12/03 1,721
185755 갑자기 새누리당 당원되신분들 많으신걸 보니... 남일이 아니네요.. 1 면박씨의 발.. 2012/12/03 1,103
185754 네살 아이의 거짓말은 어디까지 봐 줘야 하는걸까요? 10 엄마에요 2012/12/03 2,286
185753 시어머니 좀 뻔뻔하신거 같아요. 8 .... 2012/12/03 3,425
185752 좋다고 사 놓은 옷들이 다 싫어지네요. 14 .. 2012/12/03 5,340
185751 문재인 후보 방송연설 일정 안내 기린 2012/12/03 950
185750 문재인 TV 찬조연설-재미있네요^^부산 사투리... 14 .. 2012/12/03 2,470
185749 조승우는 왜그리 노래를 잘해요? 10 jk 2012/12/03 5,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