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머리가 굳어버렸나봐요. 책을 못 읽겠어요.

돌돌돌 조회수 : 3,003
작성일 : 2012-11-28 10:17:01
서른 중반 주부입니다.
어릴적부터 책을 정말 많이 읽었어요.
활자중독이라 할 만큼...
글짓기 상품으로 책 50권을 받았는데 집에 가져오자 마자 앉은 자리에서  50권을 다 읽은 적도 있었죠.
집에 있던 책장을 뒤져 옛날 부모님이 읽으셨단 세로로  깨알같은 글씨로 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밤새 읽기도 했고요. 성경책 만큼이나 두껍더군요.

둘째 낳고 밤새 젖먹이면서 스탠드 하나 켜놓고 발디딤대를 책상 삼아 책을 읽으며 지루한 시간을 행복하게 보냈습니다.
그런데 요즘 책을 잘 못 읽겠어요.
일부러 말랑말랑한 책, 얇은 단편집 이런거 골라 봐도 끝까지 못 읽겠구요.
제가 좋아하던 무라카미 하루키 단편집도 왜 이리 지겨운지 못 읽겠네요.
잡지도 한 번에 읽지 못하고 여러 날에 걸쳐 쉬엄쉬엄 띄엄띄엄 읽어야 해요. 

책 읽기 뿐만 아니라 세상 일이 다 지겹게 느껴지는 것도 같아요.
몸 움직여 걷는 운동 할때만 잠깐 행복하고...
드라마도 재미있는 줄 모르겠어요. tv 거의 안 본 지 3년쯤 돼가요.
웹툰은 즐겨 보는 편이네요.
스마트폰을 쓰면서부터 더 그리 된 것 같기도 해요.


전문직이었다가 큰 애 낳으면서 전업주부 된지 8년 째인데요.
이거 머리가 굳어가는 거 맞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아무리 책이 수면제인 사람이라도 이 책만은 단숨에 읽을거다 뭐 이런 책 있나요?


IP : 125.187.xxx.175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11.28 10:22 AM (118.33.xxx.215)

    저랑 비슷하시네요. tv 재미없고, 드라마도 안 보고 웹툰은 잘보고..^^;
    저도 한동안 책을 못 읽었어요. 한 반년?=_=;
    주간지도 버겁고 일간지는 더더욱...
    점점 바보가 되어가는 기분이라서 맘먹고 대하소설 두 편 독파했어요.
    조정래의 '한강'이랑 최명희의 '혼불' 읽었는데...
    '한강'은 특히 잘 읽혀서 다 읽고 나니 책 읽는 감이 돌아오던데요..^^;;
    도움이 되시려나요;;;

  • 2.
    '12.11.28 10:23 AM (118.33.xxx.215)

    아니면 오정희 작품을 추천드려요. 오정희의 '가을여자'나 '돼지꿈'은 가볍고 소소한 일상을 다룬 소설인데, 한편 한편이 되게 짧고, 주부가 주인공인 내용이 많아서 가볍게 읽기 좋으실거예요.^^;;

  • 3. ...
    '12.11.28 10:31 AM (220.72.xxx.168)

    전 머리는 커녕 글자가 눈에 발라지지도 않을 때도 있었어요.
    신문기사 한꼭지 길이 이상의 글은 눈에서 입력도 안되서 머리에 도달조차 안되더라구요.
    그때도 요절복통 웃었던 책은 괴짜 의사 이라부 선생 3부작, 공중그네, 인더풀, 면장 선거(?)인가 그건 읽었어요.
    원래도 일본 소설 싫어해서 하나도 안읽었는데, 친구가 너무 웃기다며 읽어보라고 추천하더라구요.

  • 4. 무지개1
    '12.11.28 10:31 AM (211.181.xxx.31)

    오쿠다 히데오 책 어떨까여? 정말 쉽게 들어와요 재밋구요

  • 5.
    '12.11.28 10:33 AM (125.187.xxx.175)

    한강은 안 읽어봤는데 잘 읽히나봐요.
    혼불은 미완으로 끝난 거 맞죠?? 읽은지 오래 돼서 가물가물...

    둘째 젖먹일때 여성 작가들 작품이 잘 읽혔던 것 같아요. 박원서 오정희 은희경 신경숙 작가의 글들을 그때 읽었던 생각이 나요.

    친구가 재미있다며 성균관- 규장각 ~나날 시리즈 책을 선물해줬는데 앞에 서너장 읽다가 도저히 안 넘어가서 나머지는 새 책으로 남아 있어요. 중고로 팔려 해도 친구가 집에 와서 알게 되면 서운해 할까봐 그러지도 못하고.

    책 읽으면서 빠져들지를 못하고
    '내가 이걸 왜 읽고 있나, 이거 읽어서 뭐하나'
    하는 생각이 자꾸만 떠오르고, 해야 할 집안 일들이 자꾸만 마음을 짓눌러서 그런것 같아요.

    그나마 스릴러 같은건 조금 읽히니 이거 성격이 이상해진건 아닐까 싶네요.

  • 6.
    '12.11.28 10:35 AM (125.187.xxx.175)

    박원서->박완서 오타까지......

  • 7. 저도..
    '12.11.28 10:41 AM (121.161.xxx.106)

    지금의.저와 비슷하네요. 드라마도 볼게.없고.. 도서관에가도 보고 싶은 책도 없고 봐도 눈에 들어오지 않는게 책을 못읽겠더라구요. 한참 고른 끝에 소설책 한권 빌려왔네여. 소설은 몇년만에 첨보네요. 화이팅해야겠어요.

  • 8. 복단이
    '12.11.28 10:47 AM (112.163.xxx.151)

    저도 오쿠다 히데오 추천이요. 정말 웃기고 재밌어요.

    그리고 어제 한국 작가로 문학동네 작가상 수상작인 "죽을 만큼 아프진 않아" 봤는데 이것도 정말 재밌었어요.

  • 9. 이젠
    '12.11.28 10:51 AM (175.212.xxx.133)

    그럼 차라리 집안일에 관한 책을 읽어보시면 어떨까요. 그쪽으로도 실용서부터 역사서 잡지식 망라한 책까지 다양하거든요. 아이들 음식쪽으로도 이걸 먹이라는 둥 말라는 둥무궁무진합니다. 하하

  • 10. 오해피데이
    '12.11.28 10:53 AM (220.85.xxx.55)

    저도 같은 증상이에요.
    어렸을 때부터 어른들 걱정하실 정도로 책을 좋아해서
    대학도 국어국문학과로 가고 한동안 책방까지 했었거든요.

    화장실 갈 때 책 들고 가는 건 당연하고 이 닦을 때도 책 보면서 닦고
    화장할 때에도 한 쪽 눈으론 거울 보고 다른 눈으론 책 보고
    심지어 길에서 걸어다닐 때에도 꼭 책 들고 다니면서 읽었어요.

    근데 일이년 전부터 책 읽는 것이 시들해지고
    도서관 반납 기일 지나도록 빌려다만 놓고 못 읽는 책들이 많아지고
    신간 뭐 나왔나 서점 가는 일도 없네요.

    덩달아 드라마, 영화도 재미없고 요즘에는 82쿡 들어오는 것이 유일한 낙이에요.

    노트북, 스마트폰 사고 나서부터 생긴 증상인 것도 같고
    그냥 나이 탓인 것도 같고..

    책이 재미 없으니 사는 재미도 그만큼 줄어든 듯하여 저도 요사이 고민입니다.ㅡ.ㅠ

  • 11. 그게 나의 문제나
    '12.11.28 10:54 AM (121.165.xxx.199)

    책의 문제가 아니라 뇌의 문제일겁니다.
    쓰신대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쓰면 그게 가속화되구요.

    일단 뇌에 집안일이나 다른 신경쓰이는 일 없게 비우시구요.
    (저는 수첩에 적어놓고 머리를 비웠어요.)
    읽는 글의 호흡을 길게 해보세요.
    먼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읽는 글의 비중을 줄이구요.
    (책과 인터넷 할때 쓰이는 뇌의 부분이 달라요)
    그러면서 읽어야 할 글을 조금씩 가까이해보세요.

    뇌는 쓰는대로 다시 만들어집니다.

  • 12. 책...
    '12.11.28 10:59 AM (119.67.xxx.235)

    저는 자기개발서 읽으면 시간 후딱 잘 가는데...
    너무나 술술 읽혀지는 탓에 서점 가서 선 자리에서 그냥 몇 권씩 후딱 읽어요.
    솔직히 너무나 없는 내용이라 종이가 아깝다는 생각도 들지만
    뭔가 동기부여 되는 몇 부분은 꼭 있지요.
    구입해서 보는 책들은 오로지 아이들한테, 책 읽히려고.. ^^

  • 13. 흑흑
    '12.11.28 12:26 PM (125.128.xxx.63)

    저도 그래요 뭘봐도 감흥이없어요 슬퍼요

  • 14. ㅜㅜ
    '12.11.28 2:37 PM (119.204.xxx.13)

    어 왠지 제 얘기인듯..공감가요.
    인터넷맨날 하고 스마트폰하고 그래서 그런가봐요.
    뇌의 문제를 받아들이고 다시 셋팅해야하나봐요

  • 15. 저도비슷
    '12.11.28 4:42 PM (59.4.xxx.131)

    활자중독 비슷한데 저와 증상이 비슷하시네요.
    저도 뇌를 좀 세팅해야겠어요.

  • 16. 스마트폰과과한
    '12.11.29 2:47 AM (119.200.xxx.2)

    인터넷 서핑 탓입니다. 즉시 결과과 다음 단계를 쉽게 접하는 매체를 접할수록 뇌가 느린 만족감을 주는
    책읽기나 중요한 업무에 집중력을 떨어트려요.
    책을 다 읽으려면 시간과 집중력이 필요한데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은 잠시 클릭만 하면 금방 뇌에서 원하는 결과를 전달해줘서 뇌가 생각할 시간과 기다릴 텀을 주지 않죠. 강한 자극에 노출되다보니 시간이 집중해서 필요한 일엔 뇌가 흥미와 인내를 느끼지 못하는 거예요.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전화 받는 것 외에는 사용을 줄이시는 게 뇌를 다시 그나마 더 이상 무디게 하지 않는 방법이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4497 아이가 엉덩이 근육이 자꾸 뭉치는데요..정형외과 가야하나요? 1 걱정 2012/11/30 763
184496 여론조사가 조작된 것 같아요. 11 자유민주주의.. 2012/11/30 1,735
184495 보험료요 2 ... 2012/11/30 724
184494 서태지 좋아하시거나 좋아하셨던 분들..서태지가 커피 산대요ㅋㅋ 8 커피 마셔요.. 2012/11/30 2,022
184493 아이허브..계정 새로 만드는 것..질문있습니다. 1 ... 2012/11/30 1,394
184492 손끝이 너무 갈라져요 ㅠㅠ 2 ㅜㅜ 2012/11/30 1,800
184491 이번 투표함..정말 심각하네요.-자료사진 30 참맛 2012/11/30 10,075
184490 시세 삼억 아파트 일억 부채~ 9 전세가 책정.. 2012/11/30 2,093
184489 김장할 배추 삼일 미리사놔도 되나요? 1 ㅇㅇ 2012/11/30 1,066
184488 친정돈 갖다 쓴 남편 왈~ 14 심플 2012/11/30 4,675
184487 이런 서글픔 느끼신 분 계실까요? 15 계세요? 2012/11/30 2,945
184486 친정엄마 남편의료보험에 넣어 드리는 거요.. 11 ... 2012/11/30 2,598
184485 초등생 기모바지 혹시 어디서 구입하시는지요? 6 기모바지~ 2012/11/30 1,588
184484 우리의 식생에 관심 많은 분들 은 꼭 1 같이살고 싶.. 2012/11/30 963
184483 웃고 싶으신 분들 들어오세요~^^(미씨방에서 잔잔하게 나를 웃긴.. 19 엔돌핀 2012/11/30 5,879
184482 방향 잃은 검찰개혁…차기정부로 넘어갈 듯 1 세우실 2012/11/30 505
184481 김장 김치냉장고에 보관할때 강으로 설정하면? 8 얼지 않나요.. 2012/11/30 6,417
184480 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해위원회? 9 .. 2012/11/30 1,447
184479 이번 선거에 돈 좀 뿌릴려구요 11 .... 2012/11/30 1,207
184478 안철수 이번 선거에서 잘못하면 만고의 역적 될수있다? 34 호박덩쿨 2012/11/30 2,689
184477 바쁘시겠지만 TV장식장 좀 봐주세요~ 8 사야해 2012/11/30 1,117
184476 제가 사는 방식좀 봐주세요 1 각박 2012/11/30 949
184475 선거 관련 아르바이트 하고 싶은데.. 3 동생 2012/11/30 1,133
184474 [긴급] 홍콩 물건 강남에서 살수 있는 곳? 3 .... 2012/11/30 1,226
184473 "젊은 여교사들에 예비역 장성들 술시중 강요".. 6 세상에이런일.. 2012/11/30 1,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