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업?워킹맘? 결혼에도 적성이 있다!

적성 조회수 : 1,356
작성일 : 2012-11-16 09:04:45

“어떻게 결혼을 결심했어요?”

“어떤 사람이랑 결혼하는 게 좋아요?”

“결혼하면 어떤 게 좋아요?”

요즘 많이 듣는 질문이다.

직장 동료 대부분인 여자인데, 그 중 결혼한 여자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게다가 애 딸린 아줌마는 나 혼자뿐이다 보니 질문을 집중적으로 받게 된다.

비록 원한 건 아니었지만,

어느 사이엔가 나는 연애상담가 혹은 결혼상담가로 자리매김 될 모양이다.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 사이의, 결혼 적령기라면 적령기일 수 있는 나이.

연애와 결혼에 대한 궁금증과 고민이 아마도 극에 달했나 보다.

그러다 보니 서로 안 지 불과 한 달도 채 안 된 후배들조차

내게 선뜻 고민을 털어놓고 싶은 게 아닐까.

이미 그 시절을 모두 거쳐 아이 엄마로 정착해 생활이니 살림이니

자녀교육 문제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터에

처음엔 그들의 고민이 좀 호사스럽게 느껴졌었다.

그런데 그들은 너무도 진지했다.

하긴, 돌이켜 보니 나도 그 나이 땐 가장 큰 고민이 바로 연애와 결혼의 문제였다.

연애와 결혼 사이에서 방황하며 어려운 숙제를 풀 듯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었다.

한참 연애 진행 중일 땐 ‘과연 이 사람과 한평생을 살아갈 수 있을까’를 언뜻언뜻 고민했는데,

막상 결혼을 하겠다는 결정은 비교적 쉽게 내렸다.

그리고 간혹 삐거덕거리면서도 부단히 참아주는 남편 덕에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나에게도 여느 여자가 꿈꾸는 결혼생활에 대한 환상이 있었다.

그림 같은 앞치마를 두르고 남편을 위해 척척 사랑의 밥상을 차려내고,

꼬물꼬물 고사리 같은 손으로 달려드는 아이를

사랑스런 눈길로 바라보는, 그런 평범한 환상.

그러나 웬걸.

결혼의 장벽은 의외로 나의 내부에 있었다.

아이를 낳고 키우면서 나의 생활을 송두리째 바쳐야 하는 게

나에게는 견디기 어려운 시련이었다.

하루 24시간을 아이를 위해서 몸과 마음을 열어둬야 하는 육아가

나에겐 잘 맞지 않았다.

아이는 너무나 귀엽고 사랑스러웠지만,

책 한 줄 제대로 읽지 못하는 생활은 고문과도 같았다.

아이를 낳고 불어난 살들을 감당 못해 너무도 우울했고,

하루하루 퇴보한다는 생각에 괴로웠다.

나 아닌 다른 존재를 위한 삶.

24시간 보모가 돼야 하는 삶은 너무 낯설었다.

그때서야 내가 자기애가 지나치게 강하단 걸 절실하게 깨달았다.

내가 주인공이 되는 삶.

나를 위해 온전히 시간을 바칠 수 있는 삶이 너무도 그리웠다.

그래서 밑도 끝도 없이 솔로들을 동경했고, 솔로의 삶으로 돌아가고 싶었다.

살림도 나에겐 맞지 않았다.

매일 쓸고 돌아서면 제자리고,

애써 음식을 장만하고 나면 또다시 그릇들이 쌓이고….

하루하루가 어제와 같은 오늘이고 오늘과 같은 내일이라는 게 견디기 어려웠다.

비생산적이었다.

가사노동의 가치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취미를 붙이고 신바람 나게 살림을 하는 체질이 아니란 걸 깨달았다.

그래서 누구나 다 하는 결혼이고,

누구나 쉽게 애를 낳고 애를 키우지만,

이 일에도 소질과 적성과 자질을 갖춘 사람이 따로 있다는 결론을 내게 됐다.

얼마 전 서른을 훌쩍 넘긴 직장동료가 결혼에 대한 이런저런 질문을 해왔다.

그때 나의 첫 마디는 이랬다.

“결혼에도 적성이 있는 것 같아요.”

내 대답이 좀은 황당했던 모양인지 그 동료의 눈이 휘둥그레졌다.

그러면서도 다음 말이 궁금한지 채근했다.

“우선 상대의 조건을 따지기 전에

나 자신을 곰곰이 되돌아보는 게 더 필요할 것 같아요.

과연 내가 결혼에 맞는 사람인가, 아닌가.

특히 여성의 경우는 육아와 살림을 병행해야 하니까,

과연 내가 그 일을 감당하고 살 수 있을까를 생각해보는 게 더 좋지 않을까요?

내가 다른 사람을 위해 온전히 내 자신을 바치고 희생할 수 있고,

그것을 행복이라고 느낄 수 있다면 아마도 결혼생활에 적합한 거겠죠?”

저녁 무렵이면 보글보글 찌개를 안치고, 조물조물 나물을 무치고,

노릇노릇 생선을 구으면서, 밥을 재촉하는 아이를 조용히 타이르며

남편을 기다리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이라고 느끼는 사람.

바로 그런 사람이 정말 결혼생활에 적합한 것 아닐까?

철이 바뀌면 묵은 먼지를 걷어내듯 집안의 커튼을 바꾸고,

반질반질 윤이 나게 그릇을 닦고,

잠시 짬을 내 즐기는 커피 한 잔에 감사하는 그런 여자 말이다.

너무 케케 묵은 그림 아니냐고?

그러나 바로 그런 여자가 남자들이 꿈꾸는 여자 아닐까?

아무리 맞벌이를 원하는 남자들의 수치가 늘었다 해도

휴식 같은 친구를 원하듯

휴식 같은 여자, 휴식 같이 편안한 가정을 원하지 않는 남자가

과연 몇이나 될까?

그러나 불행히도 남자들에게 나른한 휴식을 제공하기 위해서

여자들에게 집은 치열한 일터가 돼야 한다.

바깥일에 지친 남편이 삶의 찌꺼기를 걷어내고

진공 상태로 만드는 공간이 돼야 하니까.

그래서 아직 우리나라 여성들은 결혼을 하기 위해선

가장 먼저 자기 점검부터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똑똑하되, 남편의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을 정도의 현명함.

비록 부인이 없으면 밥 한끼 제대로 차려먹지 못하고,

손수 양말 하나 내놓지 못할 정도로 자기를 돌볼 줄 모르는

어린아이와 같아도 참고 견디는 인내심.

하루 24시간 아이의 육아전문가, 교육설계사로 살 정도의 모성애.

하루 종일 말 한 마디 못하고

일년에 고작 두어 번 친구들을 만나더라도

슬퍼하거나 외로워하거나 서러워말아야 할 강한 의지.

이런 것들이 결혼을 꿈꾸는 여성들이 갖춰야 할 최상의 조건이다.

그 모든 걸 꿋꿋이 견디거나 혹은 즐길 수 있다면 지금 당장 결혼하라.

----------------------------------------------------------

7~8년 전에 어느 신문에서 읽은 칼럼인데

정말 공감이 가서 스크랩해 뒀던 글입니다.

전업? 맞벌이?

정답이 없는 거 다들 아시잖아요.

결혼에도 적성이 있을 것 같고,

전업이냐 직딩이냐도 적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공감이 좀 되시나요?

 

IP : 122.199.xxx.101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16 9:16 AM (175.253.xxx.73)

    전업주부가 적성 아니면 결혼하지 말라는 소리 같아서 좀;:
    "특히 여성의 경우는 육아와 살림을 병행해야 하니까,"
    이런 고정관념도 별로.

  • 2.
    '12.11.16 9:21 AM (211.63.xxx.254)

    공감이 전~~~혀 되지 않는데요? 남자를 위해 휴식같은 아내가 될 자신이 없으면 결혼하지도 마라? 결혼은 또 다른 보호자를 찾는게 아니라 같이 살 파트너를 찾는 거라 생각하는데 이런 글은 정말 아침부터 불쾌하네요!

  • 3. ,,,
    '12.11.16 9:26 AM (119.71.xxx.179)

    저런 생각하고 결혼하는 여자들이 어딨어요?ㅎㅎㅎㅎ

  • 4. 맞아요
    '12.11.16 9:30 AM (125.186.xxx.25)

    맞아..맞아..

    님글 읽으며 폭풍공감 100000000000% 네요

    결혼, 육아, 살림은 정말 적성에 맞는 사람들만 해야 행복할것 같아요

    전 너무도 안맞는 것 같아서 이 결혼생활이 힘든가봐요

  • 5. ...
    '12.11.16 9:36 AM (123.141.xxx.151)

    결혼하지 말라고 쓴 칼럼인가요?

  • 6. 그만큼
    '12.11.16 10:04 AM (218.55.xxx.116)

    결혼하면 누구나 힘듦이 있다는 뜻 아닐까요.

  • 7. 신데렐라 바라는 여자들에게
    '12.11.16 10:21 AM (211.27.xxx.238)

    하는 이야기가 아닌가요?
    치열하게 피곤하게 일하면서
    집에서는 가사분담같은거 전혀 없이
    깡그리 잊고 쉬고 리셋 리차지해서
    다시 일하러 가야 하는 그런 남자를 원하면
    너는 저런 여자가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 같네요,
    아닌가요?

  • 8. 무지개1
    '12.11.16 3:11 PM (211.181.xxx.31)

    어느정도 공감돼요.
    저런 여자가 아니면 결혼하지도 말라는게 아니라
    자기자신을 먼저 알라는 거잖아요.
    저도 가사노동 가치 부정하는 건 아니지만 제가 하기는 싫었어요. 남편이 그 점을 오케이해줄수있는 남자라서 결혼이 가능했죠.. 양립할수 없는 가치가 부딪히면 힘들고 결국 한사람이 희생하거나 관계를 깨거나 해야되니까..자신을 잘 아는 건 중요한듯...

  • 9. ....
    '12.11.23 11:48 AM (182.211.xxx.231)

    어느정도가 아니라 너무 많이 공감합니다. 저 역시 아기를 낳고 자기애가 강해서 그런지... 힘드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8757 앞으로도... 3 대선 후 2012/12/21 425
198756 크리스마스에 농구 경기 보러가는거 비추일까요? 2 잠실 2012/12/21 405
198755 432 의 약수 좀 구해주세요....죄송해요.. 9 약수 2012/12/21 1,439
198754 멘붕중에 죄송해요. 82님들의 객관적인 말씀 좀 듣고 싶어요.... 4 우행시 2012/12/21 1,254
198753 확 망해야 하는데...서울은 그렇게 안될것 같아요 6 이게멘봉일쎄.. 2012/12/21 1,170
198752 노무현 대통령님에 대해 공부하고 싶어요~^^ 31 확실하게~ 2012/12/21 2,124
198751 아고..강아지가 처음으로 코를 고네요^^ 8 .. 2012/12/21 1,334
198750 노인네들 빼고 진짜 누가 뽑은거냐고... 3 납득이 안돼.. 2012/12/21 1,290
198749 오세훈은 얼굴보고 뽑은 아줌마들이 더 잘생긴 문재인을 안뽑은 이.. 11 ㅋㅋㅋㅋㅋ 2012/12/21 2,185
198748 자식은 공무원 공부하는데 박근혜 찍으시 분 4 ㅎㅎ 2012/12/21 1,440
198747 부정개표 아닐걸요 11 ... 2012/12/21 1,703
198746 유아인 트윗글 굉장히 호응이 좋은데 저는 좀 못받아들이겠어요. 23 후아유 2012/12/21 3,334
198745 (방사능)독일 사람들은 일본인보다 4 호기 풀의 위험성을 잘 알.. 5 녹색 2012/12/21 1,690
198744 자녀분들 얼음길 꼭 조심하라고 해주세요. 5 여름이야기 2012/12/21 1,990
198743 다음 카페에서 퍼왔습니다. "이번 대선의 진실".. 22 ... 2012/12/21 4,052
198742 어르신도 이해하는 정수장학회 학습만화 펌 3 오글오글 2012/12/21 748
198741 정의는 관념이고 폭력은 물질이다. 1 머스마 넋두.. 2012/12/21 558
198740 네이버 메일 잘 아시는 분 계신지.. 메일발송이 .. 2012/12/21 335
198739 겉절이,파무침같은것들 인터넷레시피대로 하면 맛있으신가요? 3 ... 2012/12/21 911
198738 전여옥 어록 1 ㅡ 무섭네요 10 사랑훼 2012/12/21 4,388
198737 박근혜 반값등록금은 실질적 반값등록금 정책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4 twotwo.. 2012/12/21 1,132
198736 문재인님하고 카톡 친구 맺은거요 7 나만의대통령.. 2012/12/21 1,576
198735 홍정욱의 트윗을 보면서 청담동 앨리스에서 한세경의 대사가 생각났.. 18 화가 난다... 2012/12/21 6,131
198734 너무 염려치 말라는 문재인님 영상을 보고나니 7 ... 2012/12/21 1,268
198733 밑에<<386>>일베버러지글..패스하셈 3 일베좀비들 2012/12/21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