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금치 무침 할때..

꼬마 조회수 : 2,136
작성일 : 2012-11-13 23:11:32

시금치를 데친 후 찬물에 헹구고나서 자연적으로 물기가 빠질때 까지 기다려야 할지,

아니면 손으로 꾸욱 짜야할지 잘 모르겠어요.

생전 처음 시금치 나물을 무쳐보았는데 제대로 한건지 모르겠네요.

(다행히 맛은 괜찮았어요..)

IP : 211.247.xxx.24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구성원
    '12.11.13 11:13 PM (101.235.xxx.206)

    ㅋㅋㅋ 물기 살짝 짜주세요..너무 꽉 짜면 맛 없더라구용..

  • 2. 꼬옥
    '12.11.13 11:14 PM (223.33.xxx.5) - 삭제된댓글

    짜주세요
    다신 넘 힘주심 뭉개집니다

  • 3. 아직도더워
    '12.11.13 11:15 PM (223.33.xxx.5) - 삭제된댓글

    글고보니 드뎌 포항초 섬초 나올 시기네요
    흐미 좋아라^^

  • 4. ...
    '12.11.13 11:23 PM (211.199.xxx.168)

    물기 짜줘야 해요.

  • 5. 적당히 물기 빠지도록 채에
    '12.11.13 11:27 PM (219.251.xxx.147)

    받쳐두다 나물 무치기 직전에 무리하지 말고 꾹 짜는 느낌으로 짜고 무치세요,
    참기름, 소금, 깨 간거요.
    마늘이나 파 다진거 안넣어도 되는데 넣을거면 소량만

  • 6. ...
    '12.11.13 11:47 PM (1.177.xxx.233) - 삭제된댓글

    시금치는 군내가 나는 나물이 아니니 물에 담궈 울기면 안되는 건 아실겁니다.
    그러고 물기가 있는 상태로 두면 질척이게 되니까
    그냥 바로 물기를 짜주셔야 해요.

    짜선 뭉그러지면 안되니까 잘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삶기를 너무 많이 하셔도 안되지요. 적당히.

    한쪽손에 시금치 일정량을 잡으시고 양손을 크로스되게 잡으셔선 손등이 볼록해진 상태가 되는 모양으로
    되게 만드셔선 제법 꼬옥 짜주시면 됩니다. 뭉그러지게 눌르시면 안되구요.

    물기 잘 없애신 다음 취향에 따라 다르지만.
    전 아주 맛있는 집에서 담근 국간장이 있어서 그거 넣고 참기름 깨소금 넣어 무칩니다.
    그러나 국간장 없으시면 그냥 소금 넣고 하셔도 담백하니 좋답니다.

    가끔 마늘 넣으시고 하시는 분들도 계셔요.
    전 근데 마늘 넣을때는 또 고추가루까지 넣어서 좀 진하게 해버리거든요.

    슴슴한 옛날식 시금치엔 마늘 안넣는 게 나은 거 같습니다.

    (손은 굳이 말씀드리자면 양손이 서로 수직관계가 되게 잡으시면 됩니다.)

  • 7. 꼬마
    '12.11.14 12:07 AM (211.247.xxx.249)

    ...님//
    제가 바로 님이 말씀하신 양손이 서로 수직관계가 되게 잡고 짰어요.
    양념 넣은것도 똑같구요. (제게도 엄청 맛있고 귀한 국간장이 있습니다.ㅋㅋ)
    정답을 맞춘거 같아 뿌듯하네요.

    근데 시금치를 짰더니 뽀글뽀글 거품물이 나와서 조금 당황 --'

  • 8. ...
    '12.11.14 12:47 AM (1.177.xxx.233) - 삭제된댓글

    꼬마님 이미 주무시러 들어가셨을라나 싶지만 글 남깁니다^^

    원래 잘 알고 계시군요~~아주 잘하신 거 맞습니다. 짝짝짝.ㅎ

    그러고 시금치 짤 때 뽀글거리는 약간의 거품물 당연합니다. 원래 그러니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요리 잘 하시는 꼬마님이셨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7091 닭근혜를 지지한 한국인분들 창피한줄 아세요. 12 순대 2012/12/20 2,063
197090 이순신장군이 환생해서 나와도 저세대들은 박근혜 졸라밀어주겠죠. 4 . 2012/12/20 708
197089 앞으로 소끌어안으시구 사료값두 알아서 하세요 9 아버님 2012/12/20 882
197088 지금 이 결과가 사실이 아니면 좋겠어요 3 ... 2012/12/20 419
197087 박정희가 잘못한것이 뭐에요? 26 2012/12/20 2,480
197086 뉴욕타임즈에도 기사났네요 독재자의 딸 대통령 당선 22 개망신 2012/12/20 2,586
197085 언론개혁,검찰개혁,재벌개혁.경제민주화 다 쫑났네 10 쓰리고에피박.. 2012/12/20 848
197084 우리가 더 오래 삽니다!!! 8 그래도 2012/12/20 666
197083 daum에서... 12 아... 2012/12/20 1,786
197082 저 대놓고 지역감정글 한번 써볼게요 70 .... 2012/12/20 6,723
197081 지금,광화문에 노친네들 박정희사진들고,난리도 아니네요.. 16 가키가키 2012/12/20 1,719
197080 문후보님 진정 희망을 보았습니다. 12 안정중 2012/12/20 1,114
197079 이제는 한마음이 될 때... 1 아.... 2012/12/20 373
197078 새누리와 박그혜가 그리고 노인들이 만든 합작품 2 글쎄 2012/12/20 583
197077 에효~ 2012/12/20 377
197076 사실 누구도 탓할 수 없는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6 안후보지지자.. 2012/12/20 824
197075 신부님 글을 읽고.. 울음이 터졌어요. 5 피키피키피키.. 2012/12/20 2,482
197074 재외국인 개표는 한건가요? 1 아쉽네요진짜.. 2012/12/20 844
197073 문재인님 너무너무 수고하셨습니다 1 2012/12/20 427
197072 비로소 정동영이 이해되네요. 6 저는 2012/12/20 2,607
197071 보석을 옆에 두고 똥덩어리를 주워서 모시고 다녀야 된다 생각하니.. 3 돌아버리겠다.. 2012/12/20 669
197070 미디어법을 통과시켜야 했던 이유 3 Cb 2012/12/20 665
197069 다들 뭔가 노인탓하는데 20대30대 표 보시고 이야기하세요 8 심각 2012/12/20 1,586
197068 박근혜가 당선될수밖에 없는 이유(문재인지지자로서꼭봐주시길..) 4 문후보님지지.. 2012/12/20 1,568
197067 박근혜 시대 '대통합 정치' 열린다 6 ㅆㅂ 2012/12/20 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