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불커버 - 어떤 원단이 좋은가요?

친구가 필요해 조회수 : 2,994
작성일 : 2012-11-13 12:21:35

저도 번거로운 질문 하나.

이불커버 만드려는데 두 가지 중 어떤 원단이 더 나은가요?

피부에 닿는 안쪽 천은 가지고 있구요, 겉 천을 골라야 하는데 결정하지 못하겠어요. ㅠ.ㅠ.

이틀 내내 원단만 고르다가 목도 아프고 눈도 아프고...

 

1) 20수 트윌, 한 마에 7600

  -  아이보리 색으로 하면 어떨까 생각.

  -  요건 트윌이라 빨아도 구김 없고 튼튼할 것 같고,

  -  20수라 짱짱할 것 같고

  -  무늬 만족

  -  폭이 148cm라 남는 천은 뭐, 이런저런 소품 만들고.

  -  단, 가격이 비싼 것이 흠.

http://www.1004yo.com/shop/prod_detail.asp?prodid=100046913&eventid=

 

2) 30수 평직, 한 마에 5300원

   - 역시 아이보리 바탕.

   -  가격 좋고 (싱글 이불 두 개 만들거니, 18000원 절약)

   - 무늬는 1보다  더 좋고

   - 남는 천 없으니 쓸데없이 천 가지고 뭐 만든다고 난리칠 일도 없고.

   - 단점은...30수 평직이라... 혹시 힘 없이 흐들거리고 구겨지는거 아닐까

http://www.wondannara.co.kr/shop/shopdetail.html?branduid=22286&xcode=252&mco...

 

용도는 부부침실에 쓸거에요.

어떤 원단이 더 나을까요???

 

 

IP : 125.129.xxx.5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13 1:06 PM (211.207.xxx.111)

    겉쪽이라도 30수 정도면 넘 후들거리지 않을듯 해요.. 여러모로 알뜰하게 쓸 수도 있을것 같구요.. 무늬도 30수쪽이 제눈엔 더 이쁘네요..

  • 2. 신디
    '12.11.13 1:18 PM (180.68.xxx.90)

    20수는 너무 두터워요. 실이 굵은거라...이불은 40수 사틴 정도가 적당한데...둘중 하나라면...30수

  • 3. ...
    '12.11.13 1:29 PM (220.72.xxx.207)

    무늬 맘에 드는걸로 하심이 좋을 듯요
    근데 숫자가 큰게 더 짱짱한 줄 알았는데요
    아닌가봐요~

  • 4. 친구가 필요해
    '12.11.13 1:34 PM (125.129.xxx.57)

    30수도 후들거리지 않군요. 평직이면 광목을 말하는거라 걱정했는데. 뒤져보니 지금 쓰고 있는 이불커버도 트윌이 아니라 평직이네요. 20수가 좀 두껍다니 30수 평직으로 해 보겠습니다.

    답변 주셔서 감사. 모두들 복 받으실거에요.
    이제 빨리 주문하고 고민에서 벗어나고파요.

  • 5.
    '12.11.13 3:39 PM (203.238.xxx.24)

    이불은 무조건 트윌천으로 해요
    빨수록 감촉이 달라요

  • 6. 초롱동이
    '12.11.13 6:52 PM (110.70.xxx.65)

    제가 40수트윌이랑 60수 있는데요 침구로는 60수 진짜 좋아요 촉감이 겨울에는 좀 추어요

  • 7. 신디
    '12.11.14 7:41 AM (180.68.xxx.90)

    60수 촉감 너무 좋아요. 그런데....세탁기 돌리다보면....좀 약한면이 있어요. 그것만아니면....숫자 높을수록 고급이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5604 표차이가 자꾸 줄까요 4 2012/12/19 2,313
195603 민심을 너무 무시한듯 10 에구 2012/12/19 2,391
195602 더럽게 운 좋은 그뇬 10 . 2012/12/19 1,749
195601 대체 본인 공약도 모르는 사람을.. 1 슬픕니다 2012/12/19 710
195600 아직 절망하기엔 이릅니다~ 3 바람이분다 2012/12/19 2,156
195599 국민이 책임져야할 결과입니다.. 인정해야죠.. 5 .. 2012/12/19 1,124
195598 10년 전 아버지께서 이회창을 찍으라고 6 adfusl.. 2012/12/19 1,675
195597 (이 와중에 죄송하나) 6세 아이 태권도 수련회(눈썰매장) 혼자.. 4 ... 2012/12/19 670
195596 선거 결과 박빙입니다 힘냅시다 . 1 Eatta 2012/12/19 1,206
195595 박근혜 지지자에게 묻습니다 11 2012/12/19 1,492
195594 서울 많이 남았죠? 뒤집어질 수 있죠? 23 제발 희망을.. 2012/12/19 5,515
195593 3.5퍼센트 3 파키세투스 2012/12/19 1,867
195592 또 줄었어요~~ 3 ㅠㅠㅠ 2012/12/19 1,334
195591 울 나라. 국민은 그리스처럼 망해야 정신차릴까요? 19 here 2012/12/19 2,672
195590 한잔했어요 3 달려라 2012/12/19 728
195589 엄마가 저를 위로해주네요 2 ㄷㄷㄷㄷ 2012/12/19 953
195588 부재자, 재외국민 표도 다 개표된 거예요? 아줌마 2012/12/19 634
195587 해외 사시는 분들 이민 가기에 좋은 나라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 10 이민 2012/12/19 3,335
195586 대통령 중임제하면 볼만 하겠네요 4 ... 2012/12/19 1,152
195585 한바탕 꿈을 꾼 것 같습니다. 5 에공 2012/12/19 974
195584 "노대통령의 죽음을 슬퍼하고 박근혜를 찍은 50대를 증.. 5 장발잔 2012/12/19 2,131
195583 박빙은 박빙인데.... 2 소피친구 2012/12/19 1,210
195582 문재인 후보님 6 피키피키피키.. 2012/12/19 1,702
195581 더이상 이나라에서 아이를 키우고싶은 생각이 없습니다. 20 쓰리고에피박.. 2012/12/19 2,247
195580 마음이 가볍습니다. 37 sa 2012/12/19 4,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