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제 고1되는 학생공부

수학 조회수 : 1,457
작성일 : 2012-11-12 23:19:29

겨울 방학이 젤 중요하죠

수학은 정석 이제 시키려고 합니다.

중3겨울방학에 떼면 좋은  국영수 교재 추천좀 바랍니다.

강남구청 인강으로 시킬껍니다. ^ ^

추천 미리 감사드립니다.

IP : 175.127.xxx.11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shikar
    '12.11.13 1:12 AM (122.36.xxx.142)

    국어에 관해서만 말씀 드립니다.

    두 가지로 말씀 드릴 수 있는데요,
    하나는 [내신]이고요,
    다른 하나는 역시 [수능]입니다.


    1. 내신

    먼저, 내신, 자녀분의 고등학교에서 선택하는 교과서를 내는 출판사 교재면 충분합니다.
    혹시, 그것만으로는 [좀 불안]하지 않을까요, 하실 수도 있겠으나
    진심, 그것만으로 충분합니다.
    그 출판사의 자습서, 문제집이면 됩니다.
    굳이 하나 추가한다면,
    그 학교의 중간고사, 기말고사 문제집요.
    이건 책자로 출판돼 나올 수도 있고(대체로 그렇습니다.),
    인터넷으로 (유/무료) 받을 수도 있습니다.

    2. 수능

    다음, 수능.
    내년부터 수능시험이 바뀌지요?
    국영수(언외수)가 각각 난이도와 범위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출제되고,
    학생(수험생)은 자신이 진학하려는 학교나 전공의 요구에 맞춰
    과목별로 쉬운 유형이나 어려운 유형을 선택하게 됩니다.
    그런데요, 이 방식이 참 거시기한 게요,
    쉬운 유형, 어려운 유형의 구분이,
    정작 입학 준비 당사자인 학생에게는 별로 차이가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좀 복잡하니까 일단
    학생과 부모는 [어떤 교재]를 [어느 수준]에 맞춰,
    [어느 정도]로 준비해야 하는가에 관해서만 말씀 드립니다.

    1) 결론적으로는,

    자녀분이 이제 중3, 고등학교 진학을 예비하는 때이니까요,
    대입 목표는 [최상]으로 두시는 게 [당연]하고 또한 좋다고 봐야겠지요.
    그렇다면, 자녀분의 향후 진로가 문과 계열이 되든 이과 계열이 되든
    국어(지금의 언어영역)는 3년 후 수능 [최고 등급]을 목표로 공부해야 할 겁니다.
    (실은 어느 과목이든 마찬가지죠.)
    문과든 이과든 최고 등급이 되려면,
    [가장 먼저], 문제 풀이의 [기본 능력], [핵심 관건]이 선결돼야 하고요,
    [기존 문제 유형]을 반복 학습해서 [체득]하는 학습 과정이 필요합니다.


    2) 기출 문제가 중요

    [기존 문제 유형]을 말씀 드리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우선, 이미 출제되었던 문제들이 시중의 어떤 교재들의 내용보다도 훌륭하고 정확하기 때문이고요,
    따라서, 반복 학습하기 가장 좋기 때문이고요,
    그 동안 출제된 [양]도 워낙 많아서 시중의 어느 교재보다 내용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수능 유형이 바뀐다니까 [수능 기출 문제]는 학습 효과가 떨어지지 않을까 의심스러우신가요?
    장담하건대, [절대], [저~~얼대] 그렇지 않습니다.
    물론, (국어) 수능 출제의 두 가지 유형(쉬운 유형과 어려운 유형)과 난이도,
    (국어) 수능 문제의 세부 영역별 [구성의 변화](가령, 듣기 문제 없애고 쓰기/어법 늘리기 등),
    각 유형별로 문제 구성의 다변화 (세부 영역별 문제 수량의 차이나 난이도)
    등의 변화는 있습니다.
    그.러.나. [수능]이라는 기본 전제, 기본 틀, 기본 문제 형식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습니다].
    때문에, 십수년 간에 걸쳐 양적으로 매우 풍부하고 질적으로 매우 완성적인
    (국어) [수능 기출 문제]의 학습하는 방법이야말로 가장 효율적인 수능 대비책입니다.


    3) 기출 문제 학습 방향

    이제 중3인 학생이라면요,
    (우선은 기말고사 준비를 잘 해야겠습니다.
    학교 분위기로 보나 각 학생 심리로 보나 [막장] 분위기가 지배적입니다만,
    공부는 하나의 [습관]이고, [자기 관리]의 하나일 수 있다(학생마다 다르므로)는 점에서
    학교 분위기가 어떻고 다른 친구들이 어떻게 하든
    일단은 기말고사에 충실히 임하는 게 좋을 듯하네요.)
    [수능 기출 문제]를, 비문학/문학 영역을 먼저 하나하나 공부하면 좋겠습니다.
    국어에서는 이 두 영역이 최대, 최다 영역이자 결국 관건이기 때문이고요,
    쓰기/어법/어휘 영역은 대체로 부담스럽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어법] 영역은 최근 좀더 강조되는 추세이니까
    미리 [개념]과 [윤곽]을 정리해 두면 매우, 아주, 정말 편리하므로
    시중의 어느 출판사 교재든 [중학 문법]이라는 교재를 구해서 공부해 놓으면 좋겠습니다.
    이 교재 하나면, 어법에 관한 한 [대입 준비]로는 충분합니다.

    (국어/언어 영역) 수능 기출 [문제집]은 여러 출판사에서 내고 있습니다.
    어느 출판사에서는 단순하게 [연도별]로 편집해서 발간하고요,
    또 어느 출판사는 문제들을 [인문/사회/과학/...] 등으로 세분해서 정리해 놨고요,
    인문 분야는 [철학/종교/역사...], 사회 분야는 [정치, 경제, 미디어...] 등으로 세분한 문제집도 있습니다.
    분류가 상세할수록 좋다고 할 수는 없고요,
    학생의 필요나 [스따일]에 따라 선택해서 쓰면 되겠습니다.


    4) 반복 학습이 핵심

    (국어) 학습의 요령이자 유일한 첩경은 학습의 [기본 요소]를 지켜서 [반복]하는 것입니다.
    참 하나마나한 말이지요?
    말씀 드리자면요,
    비문학의 경우, 기출 문제의 제시문을 [요약하기]가 최고 공부 방법이자, 관건이고요,
    문학의 경우, (소설이든 시든 희곡이든 고전문학이든)
    인물(또는 대상), 정서(또는 심리), 상황(또는 배경), 표현 방식 등에 [표시하기]가 필수입니다.
    이런 항목들을 [손으로], [일일이], [공책에] [써야만] 합니다.
    이 과정이 곧 (제시문을) [이해]하는 과정이 되고, [분석]하는 과정이 되고요,
    개별 문항 각각의 질문에 [답하는 근거]가 됩니다.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각각의 제시문을 이런 과정으로 [반복 학습]하면,
    문학이라면, 대상과 대상에 대한 감상과 표현 방식이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를,
    비문학이라면, 문제(/제재)와 주장(/핵심)과 근거(/원리나 과정)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를 알게 됩니다.
    [한 가지(같은) 글]이라도 반복해서 보면(정리하면),
    볼 때마다 [다른 내용]을 찾아내서 정리하게 되는데요,
    그렇게 새로 발견하는 과정이 곧 [기초 실력]을 쌓는 과정이고요,
    그렇게 같은 글(제시문)을 반복 학습해서 결론을 얻어내는 능력이 곧 [실력]으로 축적됩니다.


    3. 학습 계획

    현재 중3 학생은 오늘 겨울 방학 때부터 고등과정 학습을 시작하니까요,
    수능을 기준으로 하면 약 2년 정도의 학습 시간이 있습니다.
    먼저 고등학교 입학 전 3개월 간은,
    [중학 문법] 교재로, [어법]을 확실하게 정리하거나(반드시 필요한 분야고요, 미리 해두면 정말 좋습니다),
    비문학 또는 문학 기출문제 교재로,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를 알아두면 좋겠습니다.
    3개월이라면 욕심을 많이 내기는 어려운 기간이므로,
    게다가 이제 겨우 중3 졸업이므로, 가볍게 편안하게 접근하는 게 필요할 겁니다.

    고1이 되어서는요,
    당연히, 일단은, 학교 내신에 무조건 충실하고요,
    다른 한편으로는, 비문학 기출문제를, 나름의 여건과 실력에 따라, 일정 양을 정해서 공부하고요,
    문학 쪽은, 기출문제는 그것대로 (마찬가지로 일정 양을 정해서) 학습하되,
    무조건, 뭐가 됐든, 중간에 잡생각 하지 말고, 맹목적으로, [소설](식민기~80년대)을 읽습니다.

    고2 때는요,
    고1 때의 학습 과정, 일정을 죽 이어 나갑니다.
    모자라는 건 다시하고(반복!!!)요, 충분하면 새로 나아가고요.


    4. 한마디로,

    말씀 드리다 보니, 다소 길어져서 좀 그렇습니다.
    그래서요, 네 줄 요약. 합니다.

    - 내신은 교과서 출판사 교재 학습
    - 수능은 기출 문제(집) 반복 학습
    - 학습은 반드시 손으로, 공책에
    - 문법과 소설은 기초 자산

  • 2. 윗분
    '12.11.13 9:08 AM (211.36.xxx.76)

    넘 대단하세욧!
    어찌이런 성실한 답변을 주시는지요?
    감동입니다 ^^

  • 3. mom
    '12.11.13 1:16 PM (61.77.xxx.170)

    감사합니다

  • 4. 원글
    '12.11.13 5:45 PM (175.127.xxx.115)

    너무 감사드립니다.
    수고스럽게 시간내셔서
    많은 엄마들과 학생들에게 좋은 정보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 ^

  • 5. 독특
    '13.3.4 3:45 PM (121.160.xxx.139)

    저장합니다

  • 6. 좋은정보
    '13.3.28 1:31 PM (121.144.xxx.167)

    지금 고1인 저희 딸에게 보여줘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 7. 고등국어
    '14.4.7 10:34 PM (121.190.xxx.243)

    늦었지만 보고 감동받았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8315 간절히 간절히 기원해봅니다 희망의 미래.. 2012/12/21 333
198314 축하합니다 박근혜 지지자 여러분 27일 부터 민자 고속도록 통행.. 7 알고 있던 .. 2012/12/21 1,793
198313 만화 박정희 있네요 2 교육이 중요.. 2012/12/21 535
198312 제발 알아서 기고 무서워하지 마세요 13 쫄지마~ 2012/12/21 1,554
198311 의료민영화되면 삼송생명이 대박터뜨리는건가요? 20 .. 2012/12/21 2,120
198310 집값은 올랐으면 좋겠으면서 민영화는 안되길 바라고 2 무지랭이들 2012/12/21 788
198309 새누리당은 왜 민영화를 시키려고 하나요? 15 지피지기 2012/12/21 2,102
198308 제가 겪은 외국인 사기예요. 여러분도 조심!!! 10 외국인 사기.. 2012/12/21 3,489
198307 좀전에 문재인 국회의원 사퇴압박 글 어디갔나요? 14 ... 2012/12/21 1,337
198306 그것은 알기싫다 9 들어보세요 11 달이차오른다.. 2012/12/21 2,230
198305 종부세 내는 사람들은 다 새누리당 지지하나요 14 종대조 2012/12/21 1,206
198304 쥐새끼와 그네의 연장정권!!! 4 미치겠다 2012/12/21 428
198303 도덕적 양심...역사교육 1 ㅇㄷㅇ 2012/12/21 450
198302 음해성 이메일을 사장에게 보냈어요. 4 이메일 2012/12/21 839
198301 진정 나라를 위한다면.... 10 정말 2012/12/21 734
198300 6세도 투표권을!!! 힘냅시다 2012/12/21 387
198299 이번 선거 개표방송 왜이리 짧게보여주는건지 저만 못본건지요? 10 방송이상 2012/12/21 882
198298 민영화에 대해 그냥 아무 말이나 막 던지지 마세요. 33 가슴먹먹한그.. 2012/12/21 2,305
198297 몰라서 그러는데요. 물 민영화,, ㅂㄱㅎ가 벌써 일 하는건가요.. 8 무식해서 2012/12/21 1,459
198296 요리사가 꿈인 딸 8 ㅇㄹ 2012/12/21 1,684
198295 저능 내공이 넘 부족한가봐요 2 저능 2012/12/21 669
198294 올 겨울 춘천쪽으로 여행가려 했는데 전라도로 바꿔야겠어요 추천 .. 7 --- 2012/12/21 1,849
198293 영화 26년 500만 넘기면 좋겠어요 8 무뇌아 천지.. 2012/12/21 925
198292 배움도 나눔이 필요할 듯해요 3 ㅡㅡ 2012/12/21 447
198291 보수 진보? 전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고 싶어요ㅋㅋ 2 난뭥미 2012/12/21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