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무·배추값 '껑충'…김장철 배추파동 재연되나

파란하늘11 조회수 : 651
작성일 : 2012-11-09 08:44:12

10월 무·배추값 '껑충'…김장철 배추파동 재연되나


(자료제공=한국은행) © News1



(서울=뉴스1) 이현아 기자= 김장철을 앞두고 지난달 무값과 배추값이 지난해보다 최고 두배 이상 껑충 뛴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따라 본격적인 김장철이 시작되는 11월 무·배추 물가도 천정부지로 오르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10월 채소 가격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8.3% 올랐다.


특히 채소 중에서도 무값과 배추값이 눈에 띄게 올랐다. 무값은 1년 전과 비교해 109.6%로 두배 이상 뛰었으며 배추값도 전년 동기 대비 80.9% 상승했다.


배추값이 천정부지로 올라 중국에서 배추를 수입해 오는 등 김장물가 상승으로 곤욕을 치렀던 지난해보다 출하가격이 더 비싸졌다는 뜻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무의 경우 날씨의 영향으로 작황이 좋지않았으며 배추 역시 태풍 등으로 출하량이 줄었다"며 "무의 경우 11월에도 비싼 가격을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따른 김장물가 상승 우려에 대해서는 "유통 단계와 유통 마진에 따라 소비자물가가 달라질 수 있다"며 "(이날 발표된 자료는)10월 초에 출하된 채소의 생산자물가이기 때문에 김장철인 11월 소비자 물가는 어떨지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김장의 주요 재료인 배추와 무는 수확이 이미 끝난 만큼 11월도 높은 가격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침체로 가뜩이나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소비자들이 김장철을 맞아 비싼 채소값으로 더욱 힘들어질 전망이라는 것이다.


무와 배추와 함께 전반적인 농수산품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증가했지만 전월대비로는 22.5% 감소했다. 지난 9월 태풍의 영향으로 채소값이 치솟았던데 대한 기저효과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체 농림수산품 가격은 전월인 9월과 비교해서는 8.8% 떨어진데 반해 1년전 같은 달에 비해서는 3.3% 올랐다.


공산품 가격의 경우 전년 동기와 전월 대비로 각각 0.6%, 0.7% 하락했다.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석유 및 화학제품 가격이 떨어지고 건설경기 회복지연 등으로 1차금속제품 가격도 내림세를 탔기 때문이다.


서비스 부문은 운수를 중심으로 지난 9월과 비교해서는 0.2%, 지난해에 비해서는 1.2% 상승했다.


한편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9월과 비교해 0.7% 하락했으며 1년 전과 비교했 때는 0.2%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란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자판매가격(공장도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소비자물가지수에 선행하는 특성을 감안할 때 소비자물가 역시 상승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hyuna@

IP : 119.203.xxx.242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0815 만화로 보는 2차 토론회 요점정리~~ 1219 2012/12/11 1,023
    190814 문재인 대통령 기원 2013릴레이 (31) 2 제발 2012/12/11 835
    190813 대선토론이..... 2 토른이란 2012/12/11 644
    190812 문재인 일산왔네.일산은 박근혜 표밭인데.ㅋㅋㅋ 24 . 2012/12/11 4,330
    190811 덜익은 감이랑 무화과 숙성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해요?? 2 숙성 2012/12/11 5,305
    190810 [논평]박근혜 후보, TV토론에서 ‘컨닝’은 안하셨는지 모르지만.. 8 망신살 2012/12/11 1,996
    190809 2차 대선후보TV토론 트윗반응 ㅋㅋㅋ 10 aroa88.. 2012/12/11 5,015
    190808 문재인 대통령 기원 2013릴레이 (29) 1 큰언니야 2012/12/11 900
    190807 고마운 남편에게 무엇을 선물하면 좋을까요? 6 선물 2012/12/11 2,022
    190806 의사 1219명,치과의사 1004명 문재인 지지선언. 4 ,, 2012/12/11 2,173
    190805 (급급)노무현 선거 vs. 문재인 선거 여론 분위기 비교 좀 해.. 5 궁금이 2012/12/11 1,266
    190804 요즘 노통 장례때 떴던 무지개 생각이 납니다 11 무지개 2012/12/11 2,044
    190803 조영남은 여전히 연예인 1위 부잣집이네요 13 야경좋네 2012/12/11 4,058
    190802 오래된..등갈비 어찌? 1 빵구똥구 2012/12/11 877
    190801 문재인 대통령 기원 2013릴레이 (28) 1 반드시승리 2012/12/11 1,307
    190800 실수.. 그리고 또 실수... 10 박근혜 2012/12/11 2,203
    190799 글쓰면서.. 이와중에.. 이 시국에.. 이런말은 왜 붙이는거예요.. 16 기정떡 2012/12/11 2,263
    190798 경제관념 없는 남편... 어떡하죠? 10 ㅜ.ㅜ 2012/12/11 5,113
    190797 아들이 츄리닝만 좋아라해요 10 ... 2012/12/11 2,059
    190796 유시민이 말하는 박근혜. 2 c.. 2012/12/11 2,097
    190795 대선 토론 관련 트윗뉴스 - 바쁜 벌꿀은 세금 낼 시간이 없다 펌글입니다^.. 2012/12/11 869
    190794 문재인 후원회 1,053,000원 (현재 격하게 진행중) 4 졸라군 2012/12/11 1,145
    190793 박근혜 또 말실수, “지하경제 활성화” 술렁 外 1 세우실 2012/12/11 1,530
    190792 닭 잘 키우는법?!!!!!!!!! 10 할슈타트 2012/12/11 2,586
    190791 이와중에 모터백 문의(죄송합니다) ..... 2012/12/11 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