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현아 기자= 김장철을 앞두고 지난달 무값과 배추값이 지난해보다 최고 두배 이상 껑충 뛴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따라 본격적인 김장철이 시작되는 11월 무·배추 물가도 천정부지로 오르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10월 채소 가격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8.3% 올랐다.
특히 채소 중에서도 무값과 배추값이 눈에 띄게 올랐다. 무값은 1년 전과 비교해 109.6%로 두배 이상 뛰었으며 배추값도 전년 동기 대비 80.9% 상승했다.
배추값이 천정부지로 올라 중국에서 배추를 수입해 오는 등 김장물가 상승으로 곤욕을 치렀던 지난해보다 출하가격이 더 비싸졌다는 뜻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무의 경우 날씨의 영향으로 작황이 좋지않았으며 배추 역시 태풍 등으로 출하량이 줄었다"며 "무의 경우 11월에도 비싼 가격을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따른 김장물가 상승 우려에 대해서는 "유통 단계와 유통 마진에 따라 소비자물가가 달라질 수 있다"며 "(이날 발표된 자료는)10월 초에 출하된 채소의 생산자물가이기 때문에 김장철인 11월 소비자 물가는 어떨지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김장의 주요 재료인 배추와 무는 수확이 이미 끝난 만큼 11월도 높은 가격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침체로 가뜩이나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소비자들이 김장철을 맞아 비싼 채소값으로 더욱 힘들어질 전망이라는 것이다.
무와 배추와 함께 전반적인 농수산품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증가했지만 전월대비로는 22.5% 감소했다. 지난 9월 태풍의 영향으로 채소값이 치솟았던데 대한 기저효과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체 농림수산품 가격은 전월인 9월과 비교해서는 8.8% 떨어진데 반해 1년전 같은 달에 비해서는 3.3% 올랐다.
공산품 가격의 경우 전년 동기와 전월 대비로 각각 0.6%, 0.7% 하락했다.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석유 및 화학제품 가격이 떨어지고 건설경기 회복지연 등으로 1차금속제품 가격도 내림세를 탔기 때문이다.
서비스 부문은 운수를 중심으로 지난 9월과 비교해서는 0.2%, 지난해에 비해서는 1.2% 상승했다.
한편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9월과 비교해 0.7% 하락했으며 1년 전과 비교했 때는 0.2%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란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자판매가격(공장도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소비자물가지수에 선행하는 특성을 감안할 때 소비자물가 역시 상승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hyu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