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법인회사에서의 지출이 많으면 좋은건가요?

스노피 조회수 : 1,562
작성일 : 2012-11-08 20:04:32

법인회사다니는데요. 직원은 저 하나고 친척회사입니다.

사장님은 회사 카드로 접대도 하고 그러시는데요,

제가 회사일로 사람을 만난다거나 대접을 한다거나 할때, 제 돈을 현금으로 내고 현금영수증을 회사 사업자로 끊어도 상관없는거죠?

회사가 지출이 많아지면 회사에 좋은건가요? 아님 안좋을수도 있나요?

제가 누굴 만나는 비용을 제 돈을 어자피 내긴할건데 회사 사업자로 끊어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IP : 59.5.xxx.11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1.8 8:10 PM (110.13.xxx.195)

    회사 지출은 경비로 인정 받을 경우 낼 세금이 줄어들잖아요?

  • 2. ...
    '12.11.8 8:15 PM (119.197.xxx.71)

    법인카드를 전용(개인적인 쇼핑에 쓴다던가 하는) 일만 아니면 원글님이 돈을내고 회사명의로 현금영수증을
    끊는다고 해서 해가 될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접대비를 경비로 인정 받는것에는 한도가 있습니다. 매출 규모, 업력에 따라 다르지요.
    그리고 무작정 지출이 많아져서 좋을 일이 없는 부분, 복리비 특히 식대인데요.
    세무조사 나왔을때 제일많이 뒤집어 보는 곳이죠. 사장하나 직원하나 인데 한달 밥값이 몇백씩 들었다며
    세금공제를 받겠다고 하면, 아 그렇군요~ 하지는 않거든요.
    보니까 직접 회계처리 안하시는것 같고 세무사사무실에 기장 맡기시는 것 같은데 알아서 잘 조정하실겁니다.

  • 3. 스노피
    '12.11.8 8:18 PM (59.5.xxx.118)

    아 그렇군요. 식비는 조심을 해야하는 부분이군요. 두 분 감사드려요.

  • 4. ...
    '12.11.8 8:21 PM (119.197.xxx.71)

    님이 발행받는다고 해서 세무사 사무실에서 그대로 회계처리 다 하진않아요.
    알아서 조절한다는 소리입니다. 크게 대단하게 쓰실것은 아니잖아요.
    가능한 부분만 처리할꺼구요.
    법인카드, 법인통장 이런것을 통한 지출만 조심하세요.

  • 5. 스노피
    '12.11.8 8:45 PM (59.5.xxx.118)

    통장지출부분이면, 가령 제가 통장관리를 하기때문에 통장에서 출금을 할경우가 있어요.
    회사에 필요한 물건을 산다던지, 커피, 쓰레기봉투 이런거 슈퍼에서 살때 영수증을 끊긴하는데,
    세무사가 조절을 해버려서 회계처리를 다 하는게 아니면, 통장내역 지출이랑 사용 영수증 금액이 안맞으면 어떻게 되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547 수돗물로 보리차 끓여먹는데.. 수돗물 냄새 안나게하는 노하우 있.. 8 돌돌엄마 2012/11/08 4,365
177546 아픈데 병원그냥가도될까요???... 1 아파요ㅜ 2012/11/08 769
177545 간호조무사가 신생아한테 손가락 욕 하는 기사 보셨어요? 3 캔디 2012/11/08 2,454
177544 화장품 바르는순서 알려주세요. 1 and 2012/11/08 2,384
177543 朴 지지율 급락, 文-安 동반상승 2 .. 2012/11/08 1,339
177542 쌍커풀 직접 만들어본 분 있으세요? 13 ㅋㅋ 2012/11/08 3,468
177541 중2 아들놈이 집에서 스마트폰만 해요 4 아들 2012/11/08 1,227
177540 오랜만에 보는 박지성 골 ^^ 박지성 2012/11/08 1,080
177539 없어진 10원 찾아주세요 6 10원은??.. 2012/11/08 1,717
177538 층간소음 참다참다 경비실 통해서 말했는데요 1 ... 2012/11/08 2,991
177537 편하면서 따뜻한걸로 추천좀 해주세요.. 기모바지 2012/11/08 824
177536 이런 문제~ 4 궁금하대요~.. 2012/11/08 764
177535 이모부가 돌아가시면 장지까지 갔다오는게 맞는건가요? 10 뭐좀 여쭐께.. 2012/11/08 8,653
177534 축의금 문제.. 조언 구해 봅니다. 16 조언 부탁드.. 2012/11/08 2,788
177533 20개월아들 고추요~ 4 아들맘 2012/11/08 1,862
177532 저는 부풰가 더 좋은거 같아요. 14 .... 2012/11/08 3,506
177531 통진당의 드러나는 진실 1 ㅇㅇ 2012/11/08 876
177530 유난히 거슬리는 맞춤법 틀린 단어 90 .. 2012/11/08 8,569
177529 강아지 키우는분들 종이랑 나이좀 올려주세요 57 ^^ 2012/11/08 2,914
177528 이용대의 문제는.... 27 ........ 2012/11/08 13,198
177527 초등 저학년 아이 시계 잘 차고 다니나요?? 2 정말로 2012/11/08 960
177526 Kal pack 어떤가요? 6 서유럽 여행.. 2012/11/08 1,353
177525 안철수 "군 인사권, 국방부와 군에 환원하겠다".. 11 해석의차이 2012/11/08 1,961
177524 평안하다, 온유하다는 뜻의 이름에 쓰는 한자 좀 알려주세요.. 6 이름 2012/11/08 4,426
177523 거실장 검정색 사면 어떤가요? 8 뭘로 2012/11/08 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