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기 어머님들 텔레비전 얼마나 트세요? 아예 없는 분은 어떻게 사셔요? ㅠ

에휴 조회수 : 1,696
작성일 : 2012-11-05 22:42:22

제가 집에서 컴퓨터로 재택근무를 하고

근무할땐 친정엄마가 집에 와서 아이를 봐 주시는데 아기는 현재 18개월이에요.

친정엄마가 텔레비전을 정말 많이 틀어두세요.

다른건 정말 다 감사하게 잘 해주시는데 그건 친정엄마도 양보가 안되시는 듯 해요.

근데 솔직히 저도 나는 애 볼때 안틀어야지 하면서도

동요도 한 두 번이고 책도 한 두 번이고

창의적인 놀이도 한 두 번이고

요즘같은 쌀쌀해지는 날씨에 얼마 전 감기 걸려 고열로 일 주일 입원해 학뗀 놈을 밖에서 많이 놀리기도 그렇고 

아 자취 6년때 텔레비전 아예 없이 살았는데

애랑 둘이만 집에 하루종일 있으면 체력도 고갈되고 정신병들듯한 기분이 한 번씩 와요 ㅠㅠ

그래서 엄마 이해하기로 하고 그냥 아무 소리 안해요...

뽀로로나 코코몽은 너무 중독이 심해서 안보여줘요.

그냥 15세 미만 금지 그런거 안틀리게 주의만 하라고 하고

친정엄마 드라마도 보시고 사람 얼굴이나 풍경 주로 나오는 요리프로나 가요열창 아트티비 그런거 틀어놓으세요.

애도 보다가 말다가 혼자 장난감으로 놀다가 친정엄마랑 장난치고 놀다가 저랑도 놀다가 해요.

물론 텔레비전 집중 선전 보멸서 막 할때는 있지만 아주 많이 보진 않아요. 보다말다. 

요즘 싸이 한 번씩 나오면 싸이 춤도 막 따라하고 동물농장 일요일에 하면 보면서 개 나오면 멍멍 멍멍 하고

고양이 나오면 아옹 아옹 그러고 펭귄이나 앵무새 같은거 나오면 손 파닥파닥 젓고 그런거 보면 재밌긴 해요...

저것도 뭔갈 이제 아는구나 싶고...(이럼 안되는건가 ㅎ;)

**********************************************************

본문 추가) 언어 현 발달상황은....

아빠 엄마 확실히 구분하고 확실히 발음하고

함매에~~~하고 할머니는 구분해 부르고 - 할아버지는 아직;;

빠이빠이 인사하자 하면 빠빠이이~~ 발음하고 손 흔들흔들하고 고개도 까딱까딱 같이하고 나가라고 손가락질;;도하고

온도 구분하며 앗뜨거! 앗차그! 도 하고(사실 아빠엄마보다 제가 하도 부엌에서 겁을 많이줘서 김나는거만 보면 아뜨거;)

멍멍 아옹아옹 까까 물(무) 하고

(저는 유아어 그냥 막 씁니다..네에..ㅠ 전 개인적으로 유아어도 그 나라 언어 중 일부라고 생각함...)

싸이 춤 출때마다 예에~~섹시레이디 제일 앞부분만 따라하며 에에~~~하고 춤추고...

그 외에는 손수건 가져와 하면 가져오고 기저귀 가져와 공가져와 하면 가져오고

곰에 스티켜 붙여봐 호랑이에 스티커 붙여줘 하면 그대로 하고

토끼라고 제가 발음하면 머리에 손 갖다대고 귀 시늉은 하는데 발음은 안해요.

이정도인 듯 해요...많이 늦나요 ㅠㅠ 뭐 막 문장말하는 아기는 아직 제 피부에는 전설로 느껴지네요...

*****************************************************************************************

날이 추워서 앞으로 점점 밖에 나가기 힘들텐데

18개월 즈음 되는 아이들 바깥놀이 2시간(사실 요즘 1시간 좀 못노는 듯.) 정도 잡으면

평범한 요즘 어머님들은

나머지 시간 정말 텔레비전 하나도 없이들 뉴스도 애 깨있을때는 안보시고 키우시나요 ㅠㅠ

저 배울만큼 배우고 원칙대로 하려고 하는 융통성 없는 여자고 이유식도 책대로 다 했는데

(저 대학때도 지각결석조퇴안했음. ㅠㅠ)

이건 정말 못하겠음요 ㅠㅠ

적막한 집에서 혼자 떠들자니 정말 멘붕오는 듯 해서 뭔가 성숙한 인간의 소리와 바깥 풍경 없인 정말 힘들어요 ㅠㅠ

라디오도 제가 원하는 바가 아니고 멀리서 들려오는 그냥 유령의 소리같이 느껴짐...

텔레비전을 없애고 싶지만 잘은 안돼고

육아책 볼때마다 죄인같고 그래요

아직 애는 별 문젠 없는듯? 하지만

(우리 친정엄마도 저 텔레비전 하루종일 틀어줘도 글만 빨리깨치고 국문과만 잘 갔다고 호언장담 하긴 하지만...) 

추가: 국문과 출신이지만 과묵합니다;;아기에게 별 도움은 안되네요;;ㅎ;;;;

 

육아책만 보면 찔리고 다른 엄마들은 저같이 안하겠지 싶고

그래도 저는 괴롭고 그래요 ㅠㅠ

다른 어머님들은 어찌들 사시나요 흑흑 다가올 겨울이 벌써 힘들어요.

IP : 119.71.xxx.1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5 10:58 PM (121.141.xxx.205)

    저는 동요나 동화 시디 틀어놔요
    25개월인데 말도 배우고 요즘엔 노래부르며 혼자 놀더라구요

  • 2. 별수없죠
    '12.11.5 11:20 PM (121.147.xxx.224)

    네살 두살 애 둘인데요, 아침에 큰애 등원할 무렵에 한시간 정도,
    저녁에 제가 저녁 준비할 때 한시간 정도만 교육방송 틀어놔요.
    티비 보면서 어휘력이 늘기도 하니 차라리 색감 곱고 화면 전환이 빠르지 않은 뽀로로나 코코몽이 나을지도 몰라요.
    친정어머님 말씀도 맞구요......... 티비 틀어놓고 키웠어도 잘만 큰 애들도 많긴 해요.. 쿨럭;;
    적어주신 발달 상황 보니 아직까지는 문제 있어보이지도 않구요.
    저희 둘째가 17개월인데 내일 일어나면 토끼 귀 쫑긋 따라하나 한번 시켜봐야겠네요 ㅎㅎ
    아 참, 교육방송만 두어시간 틀어놓다보니 어떤 날은 누가 종일 전화 한통 해 주는 사람 없으면
    애들 다 자고 나서야 뉴스 틀어보고 대형 뉴스 뒤늦게 접할 때도 있어요 흑흑..
    그 예 중의 하나가 저희 큰애 백일 무렵에 노무현대통령 서거 뉴스였어요.
    애 재워놓고 뭐 좀 하다가 깜깜한 밤에 나이트라인인가 뭔가 티비 틀었다가
    온통 속보 뜨는거 보고 그날이 만우절인가 내가 꿈 꾸고 있는가 했었죠.
    남편도 그날 따라 늦게 들어와서 나는 몰랐다 전화라도 해 주지 그랬냐 했더니
    중대뉴스라 제가 어디서건 들었을 줄 알았대요. 그 후로는 그런 뉴스 있으면 남편이 문자 보내줘요.
    김정일 사망 때도 남편 문자로 알았어요 ;;
    아.. 원글님 질문에서 너무 벗어난 주절거림이 됐네요. 이런 엄마도 있다고요.. 흑..

    아 맞다 작년 봄에 일본 지진 났을 때도 티비로 밤 늦게 접하고
    옛날에,일어난 지진 자료 화면인가 했어요...어흑..

  • 3. 없이 살아요
    '12.11.6 12:39 AM (219.251.xxx.97)

    저는 티비 없이 살아요. 애들때문이 아니라 남편때문에요 ㅋㅋ 틀어놓으면 너무 푹 빠지셔서..
    대신 컴퓨터로 동영상 어릴땐 30분 이제는 한시간으로 늘려 보여줘요(초1, 5살). 주로 저녁밥 차릴때 틀어놓고 일해요. 뉴스는 인터넷으로 보고요, 라디오도 듣네요. 클래식 채널이나 cbs요.
    애들이 1시간 이상 본 날은 확실히 짜증을 많이 내는 것 같아요.
    이건 제가 키워서 가능한거고 친정어머니께서 봐주시면 어쩔 수 없을 것 같아요. 대신 드라마도 요샌 싸우는 장면 많고 자극적이라 그런것만 주의하심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저한테 주위에서 너무 교과서로 키운다 말들이 많으셔요..)

  • 4. tv없이 산지
    '12.11.6 11:54 AM (116.41.xxx.233)

    7~8개월된거 같아요. 아이들은 6살, 35개월 아들들이구요..
    아이돌볼때 어른들 편하자고 자꾸 tv에 의존하게 되는거 같아서 없앴는데요...결과는 대만족이에요.
    저야 자영업이라 매장에서 드라마도 보고 인터넷도 하니까 답답할일 없고 남편도 마찬가지..
    아이봐주시는 친정엄마가 평일에 좀 갑갑하시긴 할듯 한데 역시...주말에 몰아서 보세요.
    아이들이 조용할땐 뭐 하나 가보면...각자 책보고 있어요...
    애들이 초등고학년이나 중등정도 가서 친구들이랑 교류(?)하려면 tv가 있어야 될듯 하지만 유아기땐 tv없는게 좋은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777 딸 생일은 어떻게... 1 ???? 2012/11/06 1,104
174776 강아지 위치추적기~~ 3 . . . .. 2012/11/06 2,269
174775 중앙대 근처 숙소 좀 가르쳐주세요~~~ 7 고3맘 2012/11/06 4,229
174774 공무원 시험볼려고 마음 먹었으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11 ... 2012/11/06 3,008
174773 감기만 걸리면 폐렴가는 아이...어쩌면 좋을까요? 23 육아 2012/11/06 3,294
174772 5호선 광화문역에서 교보문고 가려면 몇번출구? 3 지하철 2012/11/06 8,695
174771 82님들 도와주세요... 5만원이하로 겨울이불 tapas 2012/11/06 1,534
174770 유튜브에서 즐겨 보시는 음악이나 영상 있으세요 ? 추천 좀 해.. 3 ....... 2012/11/06 1,331
174769 미국으로 팩스 어떻게 보내나요? 1 저.. 2012/11/06 2,193
174768 보낼 수 있는 어린이집이 없어요 6 어린이집 2012/11/06 1,702
174767 특목이 대학진학의 유 불리함을 8 앞으로 어떻.. 2012/11/06 1,880
174766 부산여행~6명이 같이 잘수있는 온돌방있는 모텔? 숙소 좀 아르켜.. 4 여섯사람 2012/11/06 2,967
174765 자녀 키 성장 원하면 많이 자고 뛰어놀게 하세요 5 샬랄라 2012/11/06 2,968
174764 고3 있는 집 분위기 어떤가요? 17 수험생가정 2012/11/06 3,509
174763 팻 다운 드시는 분 계신가요?? 3 궁금 2012/11/06 1,283
174762 컬러 레이저 복합기 1 초보엄마 2012/11/06 1,271
174761 문재인 "단일화 여론조사 방식도 수용" 41 추억만이 2012/11/06 3,209
174760 전세3억하는 아파트 중개수수료가 240만원이 맞나요? 11 궁금 2012/11/06 5,838
174759 여성분들의 이해부족 33 남자 2012/11/06 4,893
174758 카메라 조금이라도 아시는 분들..요 모델좀 봐주세요..물어볼데가.. 4 기계치 2012/11/06 1,605
174757 성균관대 글로벌경영 7 ... 2012/11/06 4,800
174756 크록스 털 신발이요 1 크록스 2012/11/06 2,310
174755 혹시 콜센타 상담원 하시는분요.. 9 궁금이.. 2012/11/06 3,146
174754 수능끝나고 2 수능끝나고 2012/11/06 1,711
174753 어린이집 선생님이 초보인경우...어떡해야할까요 1 내인생의선물.. 2012/11/06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