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기 어머님들 텔레비전 얼마나 트세요? 아예 없는 분은 어떻게 사셔요? ㅠ

에휴 조회수 : 1,860
작성일 : 2012-11-05 22:42:22

제가 집에서 컴퓨터로 재택근무를 하고

근무할땐 친정엄마가 집에 와서 아이를 봐 주시는데 아기는 현재 18개월이에요.

친정엄마가 텔레비전을 정말 많이 틀어두세요.

다른건 정말 다 감사하게 잘 해주시는데 그건 친정엄마도 양보가 안되시는 듯 해요.

근데 솔직히 저도 나는 애 볼때 안틀어야지 하면서도

동요도 한 두 번이고 책도 한 두 번이고

창의적인 놀이도 한 두 번이고

요즘같은 쌀쌀해지는 날씨에 얼마 전 감기 걸려 고열로 일 주일 입원해 학뗀 놈을 밖에서 많이 놀리기도 그렇고 

아 자취 6년때 텔레비전 아예 없이 살았는데

애랑 둘이만 집에 하루종일 있으면 체력도 고갈되고 정신병들듯한 기분이 한 번씩 와요 ㅠㅠ

그래서 엄마 이해하기로 하고 그냥 아무 소리 안해요...

뽀로로나 코코몽은 너무 중독이 심해서 안보여줘요.

그냥 15세 미만 금지 그런거 안틀리게 주의만 하라고 하고

친정엄마 드라마도 보시고 사람 얼굴이나 풍경 주로 나오는 요리프로나 가요열창 아트티비 그런거 틀어놓으세요.

애도 보다가 말다가 혼자 장난감으로 놀다가 친정엄마랑 장난치고 놀다가 저랑도 놀다가 해요.

물론 텔레비전 집중 선전 보멸서 막 할때는 있지만 아주 많이 보진 않아요. 보다말다. 

요즘 싸이 한 번씩 나오면 싸이 춤도 막 따라하고 동물농장 일요일에 하면 보면서 개 나오면 멍멍 멍멍 하고

고양이 나오면 아옹 아옹 그러고 펭귄이나 앵무새 같은거 나오면 손 파닥파닥 젓고 그런거 보면 재밌긴 해요...

저것도 뭔갈 이제 아는구나 싶고...(이럼 안되는건가 ㅎ;)

**********************************************************

본문 추가) 언어 현 발달상황은....

아빠 엄마 확실히 구분하고 확실히 발음하고

함매에~~~하고 할머니는 구분해 부르고 - 할아버지는 아직;;

빠이빠이 인사하자 하면 빠빠이이~~ 발음하고 손 흔들흔들하고 고개도 까딱까딱 같이하고 나가라고 손가락질;;도하고

온도 구분하며 앗뜨거! 앗차그! 도 하고(사실 아빠엄마보다 제가 하도 부엌에서 겁을 많이줘서 김나는거만 보면 아뜨거;)

멍멍 아옹아옹 까까 물(무) 하고

(저는 유아어 그냥 막 씁니다..네에..ㅠ 전 개인적으로 유아어도 그 나라 언어 중 일부라고 생각함...)

싸이 춤 출때마다 예에~~섹시레이디 제일 앞부분만 따라하며 에에~~~하고 춤추고...

그 외에는 손수건 가져와 하면 가져오고 기저귀 가져와 공가져와 하면 가져오고

곰에 스티켜 붙여봐 호랑이에 스티커 붙여줘 하면 그대로 하고

토끼라고 제가 발음하면 머리에 손 갖다대고 귀 시늉은 하는데 발음은 안해요.

이정도인 듯 해요...많이 늦나요 ㅠㅠ 뭐 막 문장말하는 아기는 아직 제 피부에는 전설로 느껴지네요...

*****************************************************************************************

날이 추워서 앞으로 점점 밖에 나가기 힘들텐데

18개월 즈음 되는 아이들 바깥놀이 2시간(사실 요즘 1시간 좀 못노는 듯.) 정도 잡으면

평범한 요즘 어머님들은

나머지 시간 정말 텔레비전 하나도 없이들 뉴스도 애 깨있을때는 안보시고 키우시나요 ㅠㅠ

저 배울만큼 배우고 원칙대로 하려고 하는 융통성 없는 여자고 이유식도 책대로 다 했는데

(저 대학때도 지각결석조퇴안했음. ㅠㅠ)

이건 정말 못하겠음요 ㅠㅠ

적막한 집에서 혼자 떠들자니 정말 멘붕오는 듯 해서 뭔가 성숙한 인간의 소리와 바깥 풍경 없인 정말 힘들어요 ㅠㅠ

라디오도 제가 원하는 바가 아니고 멀리서 들려오는 그냥 유령의 소리같이 느껴짐...

텔레비전을 없애고 싶지만 잘은 안돼고

육아책 볼때마다 죄인같고 그래요

아직 애는 별 문젠 없는듯? 하지만

(우리 친정엄마도 저 텔레비전 하루종일 틀어줘도 글만 빨리깨치고 국문과만 잘 갔다고 호언장담 하긴 하지만...) 

추가: 국문과 출신이지만 과묵합니다;;아기에게 별 도움은 안되네요;;ㅎ;;;;

 

육아책만 보면 찔리고 다른 엄마들은 저같이 안하겠지 싶고

그래도 저는 괴롭고 그래요 ㅠㅠ

다른 어머님들은 어찌들 사시나요 흑흑 다가올 겨울이 벌써 힘들어요.

IP : 119.71.xxx.1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5 10:58 PM (121.141.xxx.205)

    저는 동요나 동화 시디 틀어놔요
    25개월인데 말도 배우고 요즘엔 노래부르며 혼자 놀더라구요

  • 2. 별수없죠
    '12.11.5 11:20 PM (121.147.xxx.224)

    네살 두살 애 둘인데요, 아침에 큰애 등원할 무렵에 한시간 정도,
    저녁에 제가 저녁 준비할 때 한시간 정도만 교육방송 틀어놔요.
    티비 보면서 어휘력이 늘기도 하니 차라리 색감 곱고 화면 전환이 빠르지 않은 뽀로로나 코코몽이 나을지도 몰라요.
    친정어머님 말씀도 맞구요......... 티비 틀어놓고 키웠어도 잘만 큰 애들도 많긴 해요.. 쿨럭;;
    적어주신 발달 상황 보니 아직까지는 문제 있어보이지도 않구요.
    저희 둘째가 17개월인데 내일 일어나면 토끼 귀 쫑긋 따라하나 한번 시켜봐야겠네요 ㅎㅎ
    아 참, 교육방송만 두어시간 틀어놓다보니 어떤 날은 누가 종일 전화 한통 해 주는 사람 없으면
    애들 다 자고 나서야 뉴스 틀어보고 대형 뉴스 뒤늦게 접할 때도 있어요 흑흑..
    그 예 중의 하나가 저희 큰애 백일 무렵에 노무현대통령 서거 뉴스였어요.
    애 재워놓고 뭐 좀 하다가 깜깜한 밤에 나이트라인인가 뭔가 티비 틀었다가
    온통 속보 뜨는거 보고 그날이 만우절인가 내가 꿈 꾸고 있는가 했었죠.
    남편도 그날 따라 늦게 들어와서 나는 몰랐다 전화라도 해 주지 그랬냐 했더니
    중대뉴스라 제가 어디서건 들었을 줄 알았대요. 그 후로는 그런 뉴스 있으면 남편이 문자 보내줘요.
    김정일 사망 때도 남편 문자로 알았어요 ;;
    아.. 원글님 질문에서 너무 벗어난 주절거림이 됐네요. 이런 엄마도 있다고요.. 흑..

    아 맞다 작년 봄에 일본 지진 났을 때도 티비로 밤 늦게 접하고
    옛날에,일어난 지진 자료 화면인가 했어요...어흑..

  • 3. 없이 살아요
    '12.11.6 12:39 AM (219.251.xxx.97)

    저는 티비 없이 살아요. 애들때문이 아니라 남편때문에요 ㅋㅋ 틀어놓으면 너무 푹 빠지셔서..
    대신 컴퓨터로 동영상 어릴땐 30분 이제는 한시간으로 늘려 보여줘요(초1, 5살). 주로 저녁밥 차릴때 틀어놓고 일해요. 뉴스는 인터넷으로 보고요, 라디오도 듣네요. 클래식 채널이나 cbs요.
    애들이 1시간 이상 본 날은 확실히 짜증을 많이 내는 것 같아요.
    이건 제가 키워서 가능한거고 친정어머니께서 봐주시면 어쩔 수 없을 것 같아요. 대신 드라마도 요샌 싸우는 장면 많고 자극적이라 그런것만 주의하심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저한테 주위에서 너무 교과서로 키운다 말들이 많으셔요..)

  • 4. tv없이 산지
    '12.11.6 11:54 AM (116.41.xxx.233)

    7~8개월된거 같아요. 아이들은 6살, 35개월 아들들이구요..
    아이돌볼때 어른들 편하자고 자꾸 tv에 의존하게 되는거 같아서 없앴는데요...결과는 대만족이에요.
    저야 자영업이라 매장에서 드라마도 보고 인터넷도 하니까 답답할일 없고 남편도 마찬가지..
    아이봐주시는 친정엄마가 평일에 좀 갑갑하시긴 할듯 한데 역시...주말에 몰아서 보세요.
    아이들이 조용할땐 뭐 하나 가보면...각자 책보고 있어요...
    애들이 초등고학년이나 중등정도 가서 친구들이랑 교류(?)하려면 tv가 있어야 될듯 하지만 유아기땐 tv없는게 좋은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8975 중학생 공부못해도 인문계 고등학교는 다 가죠? 15 질문 2013/01/17 14,390
208974 요즘같은 날씨 60데니아 괜찮을까요? 1 스타킹 2013/01/17 1,512
208973 중학생 하교시간 알려주세요 언니들... 9 야옹 2013/01/17 18,300
208972 영어책 대여하는 곳 소개부탁드려요. 2 꼭... 2013/01/17 2,149
208971 친정어머니가 5년째 못받고 있는 삼백만원 받으려면 12 꿔준 돈 받.. 2013/01/17 3,319
208970 배우자 공제에 대해서 물어봅니다 7 연말정산 2013/01/17 895
208969 노동부 공무원 이마트와 유착 주붕 2013/01/17 653
208968 전을 바삭하게 구우려면요 18 2013/01/17 15,931
208967 처음가입했어요^^ 4 슈퍼코리언 2013/01/17 521
208966 쏠비치 겨울도 갈만한가요 4 2013/01/17 1,792
208965 영화 좋아하시는 분들...부탁드려요~~~ 7 귀네스팰트로.. 2013/01/17 716
208964 대구 중학교 교사, 백년전쟁 상영이 왜 물의? 뉴스클리핑 2013/01/17 789
208963 북한한테 자꾸 돈을 왜 줘야하나요 17 아래글이어서.. 2013/01/17 1,848
208962 이번 일요일 자동차로 화천가려는데 오가는길 많이 막힐까요? 1 2013/01/17 610
208961 세금잘아시는 분 조언좀!!(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관련) 3 ^^ 2013/01/17 2,099
208960 조울증이 점점 심해지네요...ㅠㅠ 1 쉰둥이 2013/01/17 1,814
208959 돈떨어지니 금단현상 심하네요 2 2013/01/17 1,845
208958 (연말정산관련) 부끄럽지만 작년 수익이 500만정도 되는 것 같.. 2 ... 2013/01/17 1,256
208957 아이 안경 한쪽 알만 기스가 넘 났는데 왜 그럴까요? 3 안경 2013/01/17 1,302
208956 아이디어 구해봅니다 6 아이디어 2013/01/17 823
208955 맞벌인데요, 제가 쓴 의료비, 남편이 공제받을수 있나요? 4 연말정산 2013/01/17 1,141
208954 싱글분들 마니또 중간 후기 6 ㅇㅇ 2013/01/17 1,521
208953 본인 확인할때 왜 운전면허증 보다 주민등록증을 확인해야 하나요?.. 1 확인 2013/01/17 1,668
208952 언니들...연애에서 푹빠져서 결국 을이되는저...도와주세요 ㅜㅜ.. 19 밀면 튕긴다.. 2013/01/17 7,308
208951 만삭임산부의 명절고민입니당.선배님들의 현명한 고견 부탁드립니다!.. 31 2년차새댁 2013/01/17 3,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