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말 몰라서 그래요 입학사정관제

6살 아들 조회수 : 2,334
작성일 : 2012-11-05 13:16:48

전에글 댓들보니

 

반대 하시는분들이 많더라구요

 

지난번 자기야에 김범 님 나와서 이야기하는데

 

입학사정관제를 이야기하던데,,,,,

 

앞으로는 입학사정관제가 답이다

 

이런식으로 이야기 했거든요

 

아직 유치원생 키우는 엄마라 잘 몰라서 그래요

 

그래도 투표는 해야하니,,교육정책 이나 이런거 관심있게 보거든요

 

장단점과,,,,그리고 그 댓글에 오로지 수능으로 뽑아야 하는지,,,,

 

알려주실분요

 

무식해서 죄송합니다

IP : 118.46.xxx.7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1.5 1:26 PM (211.237.xxx.204)

    6살이면 아직 멀었어요.. 아마 대입은 어떤 정치인이 되던 계속 바뀔껄요..
    원글님네 아이가 대학갈때까지 최소 3번은 바뀔겁니다에 한표 겁니다.

    입학사정관제는 쉽게 말해서 꼭 성적으로 대학을 합격시키는게 아니고
    아이의 다른 재능이나 특기 적성등을 고려해서 대학을 합격시킨다는건데..
    이게 말이 좋아 재능 특기적성이지 이걸 객관적으로 판별할수 있는게 어딨겠어요..
    그러니 자꾸 부정이 개입하는거죠.
    학력고사처럼 딱 시험 봐서 그 성적대로 줄 세우면 뭐 또 폐단이 있긴 했죠..
    온 나라가 사교육 열풍으로 사교육비에 허리가 휜다는둥 과외가 망국병이다 등등
    물론 그말도 맞긴 하지만 입학사정관제도 그못지 않게 더 큰 고액이 들고 부모들 입김이
    작용한다는데 문제가 있는거죠...
    더이상 개천용이 나오기도 힘들어지는거고요.

    이런 저런 폐단이 다 있을 바에야 그냥 그나마 사교육에 허리가 휘든 다리가부러지던
    성적대로 입학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 2. ...
    '12.11.5 1:31 PM (123.109.xxx.131)

    그게 답이라는게 아니라
    결국은 그렇게 갈것이다...라는 말이죠

    수능, 예전 학력고사는 얼마나 '알고있는가' 를 평가하는것인데
    그 알고있는 지식이 (고등학교까지 배우는) 이삼십년전 지식이잖아요
    입학사정관제는 '무엇을할수있나' 를 평가하겠다는 거에요
    알고모르고 보다, 할수있나없나를 보고 학생을 선발하겠다는 거죠
    앞으로는 이점으로 학생을 평가하는게 대세일겁니다..만
    지금 입학사정관제는 문제가 많고, 시행초기라 학부모나 학교나 혼란스러워요
    객관적이거나 누구나 받아들일수있는 기준도 없구요
    입학사정관제에 버금가는 획기적인 방법을 찾거나,
    학벌주의, 대학교육에대한 생각..들이 바뀌는게 절실하죠

    문후보도 지역균형선발이나 특기적성선발을 고려하는 4트랙을 발표하는것보면
    딱 입학사정관제는 아니더라도, 예전처럼 수능으로 선발하는건 사라질겁니다.

    수능만으로 뽑는다면 아마 사교육,특목고,자사고, 강남지역 등은 더 번성할거구요..
    지금 서울대는 입학사정관제가 대다수에요
    강남에서 돈 쏟아부어 올라갈수있는 최고학교가 연세대라는 말도았어요(엄마가 만들수있는 최고대학)
    수능만이 정답인게 아니라는거죠..


    오마이스쿨에 나온 이범 방송도 한번보세요

  • 3. 어...
    '12.11.5 1:49 PM (210.205.xxx.183)

    전에 제가 들었을땐 입학사정관하기에는 대학부담 돈이(준비하는 사람도 돈이 많이 들지만 그걸 평가하는 대학도 사람뽑고 하면 비용이 많이 든다 했어요) 너무 많이 들어 확대가 어려울 거라 했는데요...?

  • 4. ...
    '12.11.5 2:01 PM (211.246.xxx.253)

    입학사정관제는 대입을 성적만으로 뽑는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재능과 노력만으로도 입학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지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그 다양한 분야의 재능과 노력을 학생 자신이 아니라 돈많고 시간많은 부모들이 대신 시켜준다는게 큰 문제인거죠.
    고로 돈 없고 시간 없는 부모를 둔 애들은 대학가기가 더 어려워진다는...
    극 바로 새로운 신분제의 세습으로 이어지고요.

  • 5. 저기
    '12.11.5 2:11 PM (121.152.xxx.82)

    현대판 음서제도란 말도 있잖아요~

    얼마전
    지 와이프 연대 입학사정관이니
    덕보라는 미친 정치인도 있었고ㅠㅠㅠ

    취지는 좋을지 몰라도
    우리나라에선
    공정성이 확보될려면
    아직아직 멀었어요~~

  • 6. 제도는 좋아요
    '12.11.5 2:17 PM (211.253.xxx.34)

    하지만 결국 있는 것들만 스펙 쌓아 대학 들어가는 겁니다.
    모든 정보가 있는 것들한테 몰려 있고
    그들은 돈으로 모두 해결 가능합니다.
    먹고 살기 바쁜 서민들은 그저 눈물만 나는 현실이지요.
    한시간에 몇십만원짜리 진로상담을 하고
    프로그램 짜주고 그걸 바탕으로 돈을 쳐발라서(죄송)
    스펙 쌓고...

    우리 애들은 과외하나 제대로 받지 못해 서러운데..
    결국 제도가 아무리 좋아도 부정의 소지밖에 안되는 겁니다.

  • 7. ...
    '12.11.5 2:35 PM (220.77.xxx.22)

    입학사정관제의 불편한 현실

    http://jkl123.com/sub5_1.htm?table=board1&st=view&id=13837&fpage=&spage=

  • 8. 그게 참
    '12.11.5 5:17 PM (14.52.xxx.59)

    입사뿐 아니라 수시도 마찬가지에요
    아이가 고3인데 지금 반분위기 폭발 직전이랍니다
    공부 잘하는 애가 뽑히는것도 아니고,
    스펙 좋은 애가 붙는것도 아니더라구요
    심지어 외국어특기전형에 인증점수 안 넣은 아이가 붙기도 하구요
    그애도 자기 합격사실 알고 진짜냐고 되물을 정도...(그렇다고 그 아이가 무슨 빽이 있는것도 아니구요 )
    학교에서 붙은 애들은 학교 못나오게 합니다 ㅠㅠ분위기 해친다구요 ㅠ
    누구나 납득하는 결과면 모를까...이건 아닌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7526 에휴 문재인이 역부족이네 2 ,,,, 2012/12/20 726
197525 정녕 하느님은 안계신가요? 하늘이 내린다는 대통령을 보면 12 패닉... 2012/12/20 1,201
197524 지옥이시작됐다 그쵸? 5 인정하자 2012/12/20 777
197523 저희 회사 다 ㅂㄱㄴ 4 2012/12/20 1,183
197522 쪽지 장난 그만해라 그럴수록 82에 5 애정생김 2012/12/20 1,065
197521 (속보)검찰,,나.꼼.수 수사착수. 13 쓰리고에피박.. 2012/12/20 2,618
197520 난 피자가 먹고 싶었다... 너희들도 그런 줄 알았어~ 1 2012/12/20 535
197519 교육감은 보수가 훨씬 낫네요. 9 ... 2012/12/20 1,620
197518 일단, 해킹 방지하는 유틸리티부터 깔고 2 시원한 2012/12/20 679
197517 투표율이 77% 넘지 않은거요. 3 그래도 다행.. 2012/12/20 1,445
197516 친정엄마를 통해 읽어본 노년층의 박그네 지지 심리 12 극복해보자 2012/12/20 2,742
197515 외국에서도 가베 하나요? 1 .. 2012/12/20 830
197514 우리나라 이제 아예 끝난게 아닌가 싶습니다.. 10 brownb.. 2012/12/20 1,769
197513 시댁이 경북.. 아버지 고향도 경북.. 1 아직도 멘붕.. 2012/12/20 827
197512 2008년 어떤 불페너분이 작성한 대선 예측글인데 13 공감가네요 2012/12/20 2,705
197511 50대투표율이 89.9%프로래요.. 17 대박 2012/12/20 1,821
197510 농민들이랑,시장통에서 장사하는 중장년층 다 박근혜 찍은듯ㅋㅋㅋ 11 쓰리고에피박.. 2012/12/20 1,886
197509 텃밭 만들기 해보신분 계실까요? 6 확장 베란다.. 2012/12/20 984
197508 의료민영화는 윤곽이잡힌건가요 6 민영화 2012/12/20 1,447
197507 일단 우리 언론부터 지켜야 합니다 4 사탕별 2012/12/20 589
197506 설수현니트가디건 2 말숙이dec.. 2012/12/20 1,424
197505 선과 악 1 ... 2012/12/20 512
197504 소름끼치는 82군요 오늘.. 107 ㅠㅠ 2012/12/20 13,208
197503 길 위의 정부...... ㅠㅠ 1 독립 2012/12/20 537
197502 이번 대선은 딴것없습니다. 진이유는..그래서 희망이 보입니다. 4 희망 2012/12/20 1,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