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역난방 어렵네요 흑흑 아시는분 답변 부탁해요

... 조회수 : 4,390
작성일 : 2012-11-04 15:18:40
이때껏 가스보일러만 사용해보다
지난달 이사와서 첨으로 지역난방 사용해서 감을 못잡겠어요
이게 온수가 바로 온수관으로 들어와 난방하는 방식이라고 하던데 요금은 가스보다 더 비싼가요?
글구 운전되게 온도 설정해두면 소리가 많이 나던데 원래 이런거게요?
모든방 다 벨브열어두는거랑 안쓰는방 잠그는거랑 큰 차이 없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가요?
마지막 진짜 궁금한 질문은요
아침에 정지로 돌려놨는데 아예 껐어요 외출도 아니고
벨브를 열어둔방 그러니까 밤새 난방 했던방이 계속 뜨듯하게 보일러가 들어오는거에요
씽크대밑에 계량기있는데 만져봐도 뜨듯하고 물흘러가는듯한 소리도 나는데 보일러 틀었을때보단 소리가 작긴해요
이건 원래 이런건가요
저희집 계량기가 고장인가요?
요금걱정되서 덜덜 하고있네요
관리실에 불러서 수리해야하나요?
IP : 59.19.xxx.9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4 3:30 PM (1.241.xxx.188)

    같은 지역난방이라도 아파트마다 조절밸브가 조금씩 달라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싱크대하부에 조절 밸브를 보면 위 아래 길쭉한 밸브가 두 개 있을거예요-옛날식 가스밸브 같은 것
    그것이 들어오고 나가는 양을 조절하는 메일 밸브인데 그걸 완전히 열어놓으시면(수직관과 나란하게) 안 되구요 적당히...완전히 여는 것을 90도라 할 때 30도 미만으로 열어놓으세요
    두 개 다 열어야 합니다.
    그러면 들어오는 양이 일정하니 그걸 나눠주는 각 방 밸브는 주로 사용하는 공간은 최대한 열고 나머지는 적당히 열면 돼요
    그리고 계량기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계량기를 보면 빨간색 돌아가는 톱니 같은 것이 있어요
    그게 빠르게 돌면 난방이 많이 되는 거고 느리게 돌면 적은 양이 들어오는 거니 참고하시구요

    드물게 지역난방이면서 중앙난방 형식이라 아예 조절 안되는 아파트도 있으니 관리사무소 설비 담당분에게 방문 부탁드려 자세한 설명 들어보시는 게 나을 듯 싶어요

    지역난방 잘만 사용하면 가스보단 훨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마시구요

  • 2. ..
    '12.11.4 3:48 PM (110.14.xxx.164)

    가스보다 싸고요
    혹시 껐는데 뜨거우면 고장난걸수 있어요
    그리고 다른집 안틀때 틀면 물소리가 커요
    제 경운 안쓰는방은 아예 안트는게 훨씬 저렴하더군요
    결국 필요할때만 키시면 되요
    저녁에 틀고 잘때 끄던지 추울땐 아침에 꺼요
    거실은 오후에 틀었다 밤에 끄고요
    거실 방하나 그리하면 10만원 정도 나와요

  • 3. ***
    '12.11.4 4:30 PM (203.152.xxx.59)

    지역난방하는 아파트(각 세대별로 각자 조절하는 방식)에 살다가
    개별 가스보일러 아파트로 이사왔는데
    지역난방이 훨~씬~ 쌉니다.
    이사 온 첫 겨울 가스 요금 보고 뒤로 넘어가는 줄 알았어요.
    더 춥게 살았는데 요금은 두배이상 차이났어요.
    이것도 지역마다 다른지 모르겠지만...

  • 4. ...
    '12.11.5 12:25 AM (121.151.xxx.218)

    원글님 가스보일러에 익숙하시면 가스보일러처럼 조절되는 장치(?)도 있어요 관리실에 물어보시고 점검도 한번 받아보세요

    아는 지인이 가스보일러 쓰다가 지역난방으로 이사와서 적응못하고 있었는데 이거달고 타이머 기능도 있고 가스보일러랑 비슷해서 쓰기 편하다고 그러더라구요(설치비는 아마 5~7만원으로 기억)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6649 시판 당면 맛있는걸로 추천부탁드려요-기분전환 3 이 시국에 .. 2012/12/19 1,365
196648 돌띠기 국민에 돌띠기 대통령 거꾸로가냐 2012/12/19 693
196647 ㅜㅜ ㅠㅠ 이런것 결과 나올때까지 안 올리면 안될까요? .... 2012/12/19 846
196646 저 임산부인데요...지금 이상황이 태교에 너무 안좋은거 같아요 .. 8 응삼이 2012/12/19 1,875
196645 이제 맘놓고 드라마틱한 역전승 기다려도 돼죠? 5 그죠? 2012/12/19 1,957
196644 정말 이해 안되네요. 1 대전 2012/12/19 1,070
196643 결과를 인정하고 힘을 실어줍시다 21 qual 2012/12/19 3,728
196642 YTN은 다르다? 12 희망 2012/12/19 5,512
196641 초3 아들이 대신 울어주네요.. 10 ㅠㅠ 2012/12/19 2,074
196640 와..저런 닭을 뽑다니..진짜 멘붕온다.. 3 가키가키 2012/12/19 1,242
196639 지금 개표현황이 최종결과를 반영했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 7 대통령선거 2012/12/19 3,407
196638 박빙인데 2 이상해요 2012/12/19 1,225
196637 투표했어요. 젤늦게 내한표가 소중히 쓰이기를.. 6 w01 2012/12/19 1,658
196636 [통계] 오늘 조용히 박근혜 후보 찍고 오신분만 댓글... 105 자유인 2012/12/19 14,754
196635 저의 현실인식능력이 떨어지는건가요?? 3 우물안개구리.. 2012/12/19 1,325
196634 지금 안철수 아깝다며 문재인 욕하는 분들(속으로는 것들) 10 ... 2012/12/19 1,435
196633 맞을지 않맞을지 모르지만, 저도 꿈이야기 2 ^^ 2012/12/19 1,718
196632 이거 개표 기준이 뭐에요 대체 5 아스 2012/12/19 1,845
196631 한 달동안 빨간 코트를 못입었어요. 3 옷없어 2012/12/19 953
196630 지금 개표소로 가실 수 있는 분들....동참해주세요. 8 ...ing.. 2012/12/19 1,234
196629 저는 고성국의 200만표 드립이 걸립니다. 3 분당 아줌마.. 2012/12/19 2,162
196628 강원 경북 대구 개표참관인을 해주세요. 4 다시부탁 2012/12/19 718
196627 박근혜 연설 하는 뒤에 4 어제 2012/12/19 1,526
196626 문재인 후보님이 대통령 됩니다 반드시! 16 바람이분다 2012/12/19 3,793
196625 2백만표 5 % 차이 넘느냐가 관전 포인트네요. 6 결과는확정 2012/12/19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