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역난방 어렵네요 흑흑 아시는분 답변 부탁해요

... 조회수 : 4,377
작성일 : 2012-11-04 15:18:40
이때껏 가스보일러만 사용해보다
지난달 이사와서 첨으로 지역난방 사용해서 감을 못잡겠어요
이게 온수가 바로 온수관으로 들어와 난방하는 방식이라고 하던데 요금은 가스보다 더 비싼가요?
글구 운전되게 온도 설정해두면 소리가 많이 나던데 원래 이런거게요?
모든방 다 벨브열어두는거랑 안쓰는방 잠그는거랑 큰 차이 없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가요?
마지막 진짜 궁금한 질문은요
아침에 정지로 돌려놨는데 아예 껐어요 외출도 아니고
벨브를 열어둔방 그러니까 밤새 난방 했던방이 계속 뜨듯하게 보일러가 들어오는거에요
씽크대밑에 계량기있는데 만져봐도 뜨듯하고 물흘러가는듯한 소리도 나는데 보일러 틀었을때보단 소리가 작긴해요
이건 원래 이런건가요
저희집 계량기가 고장인가요?
요금걱정되서 덜덜 하고있네요
관리실에 불러서 수리해야하나요?
IP : 59.19.xxx.9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4 3:30 PM (1.241.xxx.188)

    같은 지역난방이라도 아파트마다 조절밸브가 조금씩 달라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싱크대하부에 조절 밸브를 보면 위 아래 길쭉한 밸브가 두 개 있을거예요-옛날식 가스밸브 같은 것
    그것이 들어오고 나가는 양을 조절하는 메일 밸브인데 그걸 완전히 열어놓으시면(수직관과 나란하게) 안 되구요 적당히...완전히 여는 것을 90도라 할 때 30도 미만으로 열어놓으세요
    두 개 다 열어야 합니다.
    그러면 들어오는 양이 일정하니 그걸 나눠주는 각 방 밸브는 주로 사용하는 공간은 최대한 열고 나머지는 적당히 열면 돼요
    그리고 계량기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계량기를 보면 빨간색 돌아가는 톱니 같은 것이 있어요
    그게 빠르게 돌면 난방이 많이 되는 거고 느리게 돌면 적은 양이 들어오는 거니 참고하시구요

    드물게 지역난방이면서 중앙난방 형식이라 아예 조절 안되는 아파트도 있으니 관리사무소 설비 담당분에게 방문 부탁드려 자세한 설명 들어보시는 게 나을 듯 싶어요

    지역난방 잘만 사용하면 가스보단 훨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마시구요

  • 2. ..
    '12.11.4 3:48 PM (110.14.xxx.164)

    가스보다 싸고요
    혹시 껐는데 뜨거우면 고장난걸수 있어요
    그리고 다른집 안틀때 틀면 물소리가 커요
    제 경운 안쓰는방은 아예 안트는게 훨씬 저렴하더군요
    결국 필요할때만 키시면 되요
    저녁에 틀고 잘때 끄던지 추울땐 아침에 꺼요
    거실은 오후에 틀었다 밤에 끄고요
    거실 방하나 그리하면 10만원 정도 나와요

  • 3. ***
    '12.11.4 4:30 PM (203.152.xxx.59)

    지역난방하는 아파트(각 세대별로 각자 조절하는 방식)에 살다가
    개별 가스보일러 아파트로 이사왔는데
    지역난방이 훨~씬~ 쌉니다.
    이사 온 첫 겨울 가스 요금 보고 뒤로 넘어가는 줄 알았어요.
    더 춥게 살았는데 요금은 두배이상 차이났어요.
    이것도 지역마다 다른지 모르겠지만...

  • 4. ...
    '12.11.5 12:25 AM (121.151.xxx.218)

    원글님 가스보일러에 익숙하시면 가스보일러처럼 조절되는 장치(?)도 있어요 관리실에 물어보시고 점검도 한번 받아보세요

    아는 지인이 가스보일러 쓰다가 지역난방으로 이사와서 적응못하고 있었는데 이거달고 타이머 기능도 있고 가스보일러랑 비슷해서 쓰기 편하다고 그러더라구요(설치비는 아마 5~7만원으로 기억)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9327 안철수 합류, 그 이후-투표율 70%면 무조건 이긴다! 5 베리떼 2012/12/08 1,603
189326 (부산유세)오늘문재인에게놀란점 16 하루정도만 2012/12/08 4,867
189325 이 시국에 된장국에서 쓴 맛이 나요 6 된장 2012/12/08 2,123
189324 컴퓨터 바탕화면 어떤거 사용하세요?? 1 아지아지 2012/12/08 714
189323 오늘 문재인 광화문 유세 아이들 데려가도 괜찮을까요? 7 aprils.. 2012/12/08 1,963
189322 선풍기 난로를 하루종일 안고... 8 소란 2012/12/08 3,019
189321 후보 방송연설도 시청률 나오네요. 7 2배이상차이.. 2012/12/08 1,446
189320 위탄. 한동근 너무 우려 먹네요. 8 위탄3 2012/12/08 2,679
189319 조혜련 말이예요,... 28 꽈배기 2012/12/08 9,714
189318 우리 강아지가 옆에서 울어요.. 12 행복한용 2012/12/08 3,277
189317 우리 큰아들 서울대 합격했어요~ 56 haru58.. 2012/12/08 15,607
189316 융통성없는것도 @증상이죠? 2 @맘 2012/12/08 1,395
189315 친정식구랑 시누이 사이에서 저혼자만 답답하네요 45 답답 2012/12/08 9,807
189314 친정이 가난하면 시부모님 안계신 시댁에서도 사람을 무시하나요. 22 원래 2012/12/08 7,271
189313 문정동 아울렛 가격 은 어떻나요? 3 ... 2012/12/08 2,342
189312 김장 양념 어제 밤에 생새우넣고 만들었는데요.. 5 ㅇㅇ 2012/12/08 1,890
189311 야합 6 새정치 2012/12/08 612
189310 뉴스타파 37회 - 후보도 전쟁, 언론도 전쟁 2 유채꽃 2012/12/08 909
189309 저도 어제 투표하고 왔어요...베이징 6 재외국민 2012/12/08 876
189308 롯데홈쇼핑 최유라... 10 밉상 2012/12/08 8,793
189307 빅마켓 금천점 원데이패스나 일일입장 방법없을까요 3 갑갑한임산부.. 2012/12/08 3,314
189306 양재코스트코 계신분들이나 다녀오신분 1 질문 2012/12/08 1,225
189305 저도 투표하고왔어요 - 토론토 5 지구별여행자.. 2012/12/08 816
189304 복비 계산 부탁드립니다. 3 모르겠어요... 2012/12/08 723
189303 알바가 아주 난리를 치는것 보니 박그네가 밀리나봐요 11 .... 2012/12/08 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