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다음주 목요일 수능일에 특별한 인연에게 죽을 싸주기로 했어요...

도와주세요.. 조회수 : 1,891
작성일 : 2012-11-02 23:00:39

저랑은 좀 특별한 인연인 아이에게 제가 점심에 먹을 죽을 싸주기로 했어요..

 

보온도시락은 어떤게 좋을까요?

 

죽은 전복죽 싸주면 좋을까요?

 

함께 먹을 밑반찬으로 메추리알 조림 또는 계란 말이를 생각하는데 또 뭐가 좋을까요?

 

어떤게 좋을까요? 정보좀 나눠주세요~

 

제가 다 떨리네요.....

IP : 210.205.xxx.17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울딸은
    '12.11.2 11:09 PM (121.139.xxx.178)

    친구가 재수하는데 반찬 뭐가 좋겠냐니까

    두부조림도 이야기 하던데요
    저는 작년에 김치도 볶아서 조금 넣어줬고
    또 과일도 조금 싸줬어요
    하루종일 기싸움이라 진이 빠질것 같아서
    그리고 고기도 좋지만 자칫 차갑고 체할까봐 맛보기로 넣어줬어요

  • 2. 죽. 반찬
    '12.11.2 11:15 PM (116.37.xxx.141)

    젖갈류
    무말랭이
    오이지무침
    신김치 볶음
    멸치 볶음. 등등

    식은 죽 먹기
    로 셤 보라고 하세요. ^^
    짭잘한거

  • 3. 감사합니다.
    '12.11.2 11:49 PM (210.205.xxx.172)

    답변주신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
    그 인연이 죽을 싸달라고 해서요...
    정말 무궁무진하네요...
    식은죽 먹기 좋은 생각이네요... 역시 82 최고에요 !!

  • 4. 보온도시락은
    '12.11.2 11:49 PM (221.146.xxx.33)

    보온병 같은데 더 키 작고 몸통과 입구 넓은 죽통 같은 보온도시락 있어요.
    검색해보시든지 마트 뒤져보시면 찾으실 수 있으실 듯....
    반찬은 본죽에서 파는 장조림 사서 조금 넣어주시고 김치 볶은 것도 잘게 썰어 조금 넣어주시고 김도 조그마하게 잘라 넣어주시고 하면 되지 않을까요?

  • 5. 감사합니다.
    '12.11.2 11:58 PM (210.205.xxx.172)

    보온도시락은 제가 사본 경험이 없어서 어떤 기준으로 사야할지를 몰라서요... 써보신것중에 좋은 브랜드좀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

  • 6. 수능은
    '12.11.2 11:58 PM (203.226.xxx.161)

    수요일인데요

  • 7. 수능 목요일 맞아요..
    '12.11.2 11:58 PM (210.205.xxx.172)

    11월 8일이 수능일이에요

  • 8. ㅇㅇ
    '12.11.3 12:18 AM (110.13.xxx.195)

    식은 죽 먹기인데......좋은 보온 도시락이면 뜨거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왠지 따스한 마음이 드는 글입니다요!!

  • 9. ㅇㅇ
    '12.11.3 12:21 AM (110.13.xxx.195)

    점심밥 먹고도 한참 더 있어야 해서...
    죽만 먹으면 허기 진다는 조언이...
    제2외국어 보면 더 늦게 끝난다고...5:30 정도까지 시험 볼 수 있다고...

    기왕 보온 도시락이면 햄버거스테이크 같이 먹기도 쉽고 오래 든든할 수 있는 반찬이 좋을 지도 모르겠어요.

  • 10. ..
    '12.11.3 12:33 AM (223.33.xxx.79)

    SHIMIGU라고 쓰인 죽통 제가 싸이즈별로 두개 있는데 좋아요
    죽통 케이스가 베이지에 체크무늬에요

  • 11. 죽이 좋긴 하지만
    '12.11.3 12:49 AM (124.54.xxx.17)

    죽을 싸달라 할 수 있다면 식성도 알아보심이 어떨지---

    전복죽도 좋긴 하지만 전복 내장까지 넣고 끓이는 죽은 호불호가 엇갈리고

    새우죽, 야채죽, 소고기죽, 타락죽, 아욱죽, 잣죽, 다양하잖아요.

    그렇게 정성이 담겨있음 고맙게 먹긴 할 거예요.

  • 12.
    '12.11.3 1:02 AM (175.114.xxx.118)

    고3이나 그 언저리 나이대면 전복죽은 별로일 듯 해요.
    일단 물어나보시고 싸주심이^^;
    별로라고 하면 무난하게 소고기나 새우 넣고 해줘도 좋구요.
    반찬은 좀 짭조름한 게 좋을 거 같아요. 장조림, 무말랭이무침 등등요.
    전 젓갈은 그닥...젓갈이 따뜻하면 비릴 거 같아서요.

  • 13. 고맙습니다.^^
    '12.11.3 2:25 AM (210.205.xxx.172)

    이렇게 정성어린 댓글이 많이 달렸네요..
    그아이는 무조건 다 좋다고 할 아이라서요...
    식성은 다 잘 먹는 편이기는한데, 전복죽을 한다면 내장은 빼고 할 생각이에요...(사실 저 전복 다듬을줄도 몰라요... TT) 암튼 그아이는 다 좋다고 할꺼고.... 시험볼때 좋은걸로다 제가 알아보고 해줄까해서요..
    그리고 그아이가 예민한 성격이라서 중간기말 고사때 밥을 아예 안먹는 스타일이에요...TT
    다른 음식물은 위에 부담될까봐 싫다하고 점심때 먹을 죽이나 싸갈 생각이었다 하더라고요..먹든 안먹든 그아이가 알아서 할테고, 밑반찬을 조금 넣어줄 생각입니다. 죽이 소화가 쉽게 되니까 좀 걱정이 되기는 하거든요... 아침도 분명 거를거거든요...
    그런면에서는 두부조림 같은게 든든할거 같아요... 부담도 덜되고요...

    전복이랑 다른거 좋은거 몽땅 넣고 끓일까요? 오늘부터 죽 한가지씩 끓여볼랍니다.

    알려주신 보온 도시락 한번 알아볼께요....

    모두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9574 회춘했나봐요 딱 실연의 아픔이네요 3 이거 오래가.. 2012/12/23 1,975
199573 전자개표 폐지와 독일식 개표절차 법제화 1 Dhedp 2012/12/23 714
199572 오늘 날씨 왜이래요? 날씨 2012/12/23 1,349
199571 이 결과에 떳떳하다면 새누리도 수개표 찬성해야 맞지 않나요? 12 ..... 2012/12/23 1,181
199570 공인인증서는 사용거래내역 없으면 없어지나요? 2 질문 2012/12/23 1,101
199569 ... 1 @ 2012/12/23 780
199568 의외로 순진한 분들이 많으시네요.. 6 에구 2012/12/23 2,437
199567 내가 수검표를 주장하는 이유 16 마지막 2012/12/23 1,552
199566 아래글 젊은 보수입니다. ... 2012/12/23 575
199565 2012 서울대 많이 가는 고등학교 top20.txt 7 .. 2012/12/23 4,615
199564 분명한건 민주당도 제2의 여당 10 조중동벼락맞.. 2012/12/23 1,241
199563 단호박 소스 샐러드 만드는 법 알려주세요. 2 ,,, 2012/12/23 2,644
199562 인천공항에서 새벽 6시에 택시잡기 쉽나요? 3 택시 2012/12/23 1,345
199561 부정선거 의혹 못밝히면 5 합법이다 2012/12/23 963
199560 만두소에 넣는 숙주나 당면은 데쳐서? 6 김치만두 2012/12/23 2,201
199559 저 이제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26 .... 2012/12/23 3,787
199558 소꿉칭구님귤 정말 탱자 같아요 8 장터귤 2012/12/23 2,202
199557 푹 꺼진 눈은 쌍커풀하면 보기 싫은가요? 8 사십대중반 2012/12/23 2,418
199556 필리핀에선 전자개표 사용중지 8 파사현정 2012/12/23 1,793
199555 닭갈비 좋아하세요 3 집에서 2012/12/23 1,212
199554 항의시위 보다 전화가 급해요..! 3 .. 2012/12/23 806
199553 수검표 반대가 극렬한것이 더 이상하군요..정당한 법적 절차를 시.. 5 ... 2012/12/23 1,520
199552 나를 위로해준 레미제라블... 2 생각대로살자.. 2012/12/23 1,381
199551 근데,3시까지 문재인이 앞섰던거 맞긴 맞아요?? 6 가키가키 2012/12/23 1,919
199550 한국사능력시험에 대해서.. 7 ... 2012/12/23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