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그래도 좀' 님의 사고에 박수를 보낸다

새싹 조회수 : 1,497
작성일 : 2012-11-02 09:05:26

그래도 좀님의 사고에 박수를 보낸다.

폭력이 정당화 될 수 있는 것은 저항의 수단일 경우다. 우월적 수단을 갖고 있는 선생이 학생에게 가하는 폭력은 정당화 될 수 없지만 약자의 처지인 학생이 선생의 부당한 폭력에 저항하는 폭력은 정당화 되어야 한다.

지배계급(세력)이 피지배계급(세력)에게 가하는 폭력은 정당화 될 수 없지만 피지배계급에게 가해지는 지배계급의 폭력에 저항하는 피지배계급의 폭력은 정당화 되어야 한다.

가령, 이명박 정부가 광우병 위험이 있는 미국산소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촛불시위대를 물리력으로 진압하는 폭력은 정당화 될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이명박 정부의 물리적 폭력에 저항하는 촛불시위대의 저항 폭력은 정당한 것이다. 정당한 것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 사회(적대적 계급사회)는 약자에 대한 강자의 폭력은 당연시 하면서 강자의 약자에 대한 폭력에 저항하는 약자의 폭력에 대해서는 부당한 것으로, 또는 매우 부정적으로 받아들인다.

수업태도가 불량하다고 해서 벌을 주는 행위는 약자에 대한 강자의 일방적인 폭력이다. 강자인 선생은 이러한 폭력이 아니더라도 학생을 계도할 여러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선생이다. 만일 선생에게 이러한 능력이 없다면 선생하기를 그만두어야 한다. 아니 학생들이 선생을 무시하고 우습게 보는 것은 선생의 이러한 능력, 즉 폭력이 아닌 방법으로 얼마든지 학생을 계도할 수 있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반증이다.

선생은 학생에게 벌이라는 일방적인 폭력(사회구조적 폭력)을 가했다. 이에 더해 학생을 밀쳐서 사물함 문고리에 머리를 부딪치게 하는 2차 폭력을 가했다. 이에 대해 누가보다도 폭력으로 상대가 될 수 없는 여학생이 선생에게 욕하고 대드는 저항폭력은 정당한 것이 된다. 아니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인간이라면 당연한 행동이 아니겠는가? 더욱이 어린 여학생은 선생에게 논리적으로, 지식적으로 선생의 폭력이  부당하다는 것을 가르칠 수 있는 수단(능력)이 없지 않은가?

오늘도 학교에서는 강자인 선생이 약자인 학생에게 가해지는 폭력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선생의 폭력에 대해 정부나 사회는 채벌 또는 사랑의 매라는 이름으로 정당화 하거나 미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나 사회의 채벌인식에 대해 어린 학생들은 수긍할까? 아니 수긍해야 되나? 학생들이 이러한 교사의 폭력에 대해 수긍한다면 학생에 대한 교사의 폭력은 계속될 수밖에 없고, 이때까지 그래왔다. 악순환 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 낼 수 있는 동력은 학생 자신이다. 학생들의 저항투쟁만이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는 희망이라 할 수 있다.

강자가 약자에게 가하는 폭력은 당연시 되고, 강자의 폭력에 저항하는 약자의 폭력이 부정되는 사회이기 때문에, 일반 대중의 의식이 이러하기 때문에 학교 폭력은 물론이요, 우리 사회의 온갖 모순이 극대화 되고 심화되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희망은 강자의 폭력에 저항하는 어린 학생들의 저항 투쟁에 있다.

IP : 175.203.xxx.3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
    '12.11.2 9:15 AM (223.62.xxx.199)

    아침부터 뭔 궤변을 이리 장황하게ㅡ
    벌도 폭력이니 안된다? 벌받은 학생은 약자라 선생에게 폭력을 써도 된다?
    어이가 없네,원.
    됐고ㅡ
    이런 분은 일일교사로 좀 모셔가야함

  • 2. 그래도 좀님 같은
    '12.11.2 9:38 AM (211.234.xxx.153)

    소수의 의견이 필요하고 생각의 각도를 달리해 좋아요
    하지만 학교 현실을 경험해 보면
    장악력 있는 교사 5프로도 힘듦
    그건 교사의 탓도 아니라
    가정교육의 부재 탓이라
    이론과 현실은 달라도 넘 달라요

  • 3.
    '12.11.2 9:39 AM (211.202.xxx.249)

    몸에 직접 가하는 체벌은 사람에 따라 폭력의 범주에 넣을 수 있대도 모든 벌의 형태를 다 폭력으로 간주하는 건 과하고 억지스러워요. 군사부일체는 허언이지만, 교사가 행하는 벌을 폭력으로 간주한다면 가정에서 부모가 가하는 벌은 어떡하구요? 동서고금 어디를 막론하고 훈육에 있어 벌이 혼용되지 않는 경우는 없습니다. 타임아웃을 하든 그라운드를 시키든 간식을 안 주든 꼭 신체적 제재가 아니라도 강제적 처벌이 동반되죠.
    규율을 학습시키고 어울려 살기 위한 성원으로 키우기 위한 이 모든 수단을 다 폭력이라 이름한다면, 학습이나 학교나 사회화 이런게 제대로 기능할 리 없죠.
    교사가 학생을 때리는 것도 안 되지만, 학생이 교사를 때리는 건 더더욱 안 될 일이죠. 그 상황에서 교사가 학생 뺨을 먼저 수차례 때리고 모욕을 가한 끝에 아이가 그같은 행동을 했다면 님의 저항폭력이라는 말이 이해 갑니다. 그러나 단지 벌을 세우다 부딪혔는데 먼저 애가 욕을 하고 나섰다면 저항폭력이 아니라 그냥 버릇때기 없는 거에요.

  • 4. 원글님과 그래도좀님을
    '12.11.2 9:47 AM (112.150.xxx.36)

    중딩 우리애반 교실에 일주일만 참관수업 시키고 싶네요.
    선생님들은 아이들 손바닥 하나도 때리지 못하는데(물론 체벌은 반대),
    아이들이 얼마나 징글징글하게 말 안듣고, 선생님한테 대들고, 욕하고.... 별짓거리를
    다하는지를요.

  • 5. 아침방송에
    '12.11.2 10:04 AM (122.38.xxx.90)

    그 아이가 우리 엄마가 운영위원회(장)이라면서 선생님한테 게겼다면서요.
    평소에 어떻게 생활했을 지 알려주는 한마디라고 하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251 자리 양보 안했다고 대한민국이 곧 망한대요. 6 .... 2012/11/05 2,031
174250 뉴아이패드 쓰시는분 계신가요? 4 애엄마 2012/11/05 1,655
174249 분당쪽 사시는 분들 의견 부탁드려요 2 고등 2012/11/05 1,897
174248 일본산 흡수체 안 쓰는 생리대 3 뭐였죠?? 2012/11/05 4,192
174247 맞춤법 관련 질문이에요;; 10 헷갈린다 2012/11/05 1,457
174246 크리스마스 카드에 사용할 사인을 보내달라는데 어떻게 만드는건지요.. 전자카드 2012/11/05 1,088
174245 첨인데 6포기에 생강은 몇수저 넣음 될까요? 배추김치 2012/11/05 1,146
174244 삼성 좋아하는 친구 9 삼성 2012/11/05 2,364
174243 케이팝 미국차트서 일등했데요 케이윌 짱! 2 케이윌 2012/11/05 2,427
174242 불륜현장.남의편 전화 에서. .. 2012/11/05 2,755
174241 저 이제 끝이겠죠?ㅜㅜ 5 jjj 2012/11/05 2,552
174240 지금 갤노트 70만원주고사면 바보일까요? 5 사고싶다 2012/11/05 2,617
174239 학습지교사 vs 교구수업교사 4 ㄱㄱ 2012/11/05 2,161
174238 결혼한달만에 이혼글에 거의 화이팅 글.. 39 음... 2012/11/05 14,140
174237 허허허...한명숙비례대표 사퇴요구? 13 .. 2012/11/05 2,226
174236 인테리어 관련 잡지나 도서 추천해주세요 2 알고싶다 2012/11/05 1,553
174235 천만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 고민 2012/11/05 2,013
174234 정말 몰라서 그래요 입학사정관제 8 6살 아들 2012/11/05 2,156
174233 아이 시댁에 맡기기vs입주 아주머니 15 레몬글라스 2012/11/05 4,781
174232 [펌] 60대 이상의 정치의식 1 60대 2012/11/05 1,118
174231 생선 생물 경매 카페 아시는 분 계신지요? 2 생선조아 2012/11/05 1,478
174230 이 박 사퇴없이 단일화 불가할겁니다 9 .. 2012/11/05 1,834
174229 아이들과의 스킨쉽 언제까지? 6 엄마 2012/11/05 2,324
174228 전세대출에 대해서 궁금한 게 있어요 1 ㅇㅎ 2012/11/05 1,288
174227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사는법 2012/11/05 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