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호칭문제 나와서 말인데요...그럼 20살정도 차이나는경우..

저도궁금 조회수 : 1,376
작성일 : 2012-10-30 12:44:01

저 30초반인데 요리배우러 다닐때 20,30,40,50,60초반까지 다양하게 있었어요..

저보다 나이 어린 사람한테도 말놓는게 불편해서 저는 그냥 ##씨..했어요? 이런식으로 했구요...

40초반분들이랑은 가깝게 지내기도해서 편하게  언니...라고 불렀구요...

10살차이까지는 언니라는 호칭이 나오는데....

문제는 50,60대분들.....

저희 이모,어머니 뻘인분들께 뭐라고 불러야하는지...참 고민되더라구요..

보통 보니까 여사님, 사모님... 그렇게 부르던데...

어느날 요리끝나고 50후반인 분과 좀친해져서 따로 나눌얘기가 있어서 차한잔 하게 되었어요...

근데 뭐라고 불러야할지 난감한거예요^^;;

그래서 제가 어떻게 호칭을 해야되냐고... 이렇게 여쭈어봤어요...ㅡㅡ;;;

그랬더니 그냥 언니라고 불러~^^ 그렇게 불러주는게 좋아~그래서 그렇게 불렀는데요...

(나이차이는 많이 나지만 공통적인 부분이 있어서 서로 대화도 잘통하고 전화로 1시간씩 수다떨고 그럴만큼

친해졌거든요)

뭐 개인적으로도 친하고 그쪽에서 언니라고 불러달라고 하는경우엔 저렇게 부를수 있겠지만

50-60대분들은 뭐라고 불러야 하나요?

(직장에서 말고 저런 개인적인 친목모임이나 요리학원 같은곳에서 만난 경우말이예요.)

IP : 210.220.xxx.7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0.30 12:45 PM (211.237.xxx.204)

    여사님? 또는 아주 친하면 이모님..

  • 2. ....
    '12.10.30 12:48 PM (211.246.xxx.73)

    아이이름 물어보고 누규어머니 하면 됨.

  • 3. ..
    '12.10.30 12:54 PM (223.62.xxx.121)

    할아버지들은 "선생님"이라 부르면 무난해요.

  • 4. ㄷㄷ
    '12.10.30 1:16 PM (58.226.xxx.146)

    전 20대 중반에 요리 배우러 다닐 때, 같은 조에 있던 다른 분들을 (30대 후반) 어떤 분이 (30대 초반)
    '형님' 하고 부르는거 보고 다들 그러나보다.. 했어요.
    저는 호칭 넣어서 부를 일이 없어서 안써봤고,
    다른 관계로 만난 분들에게는 '언니'라고 하고 있어요. 나이 차이는 너댓살 정도요.
    저보다 스무살도 더 많으신 분들이면 .. 어머님도 아니고 ^^;;
    어떻게 불러야 할지 여쭤봐야 할 것같아요. 듣는 분들도 다 취향이 다르실테니까요.

  • 5. ,,,,
    '12.10.30 1:31 PM (72.213.xxx.130)

    언니라고 하면 젊은 느낌이니 그리 얘기하겠지만 다른 사람들 많은 데서 그분 그렇게 부르기 참 뭣할거에요.
    그런데, 사모님 소리 듣기 싫어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듯 싶어요. 그냥 사모님으로 밀고 나가는 게 낫지 생각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9382 마음을 추스르기 힘드네요. 아직도요. 3 Anna 2012/12/23 795
199381 그것이 알고싶다에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분들 얘기 나오네요 3 1470만 2012/12/23 1,586
199380 이명박 정부의 부패 사건 일지 ㄱㄴ언니도 엄청 연관돼있음(깁니다.. 18 mb 2012/12/23 5,351
199379 식당에서 옆테이블 할아버지 ㅠㅠ 7 ㅠㅠ 2012/12/23 2,921
199378 정말 무서운 글... 6 엘비스 2012/12/23 2,777
199377 [펌글] 도서관에서 문재인의 운명을 빌려보는데.. 6 ..... 2012/12/23 2,820
199376 메이컵 고수님들께 도움청합니다~ 9 꿍이마마 2012/12/22 1,740
199375 방금 미국 유학중인 조카와 카톡질... 4 참 나 2012/12/22 2,707
199374 저 선거 끝나고 홧병 생겼나봐요 ㅠㅠ 53 ... 2012/12/22 5,478
199373 겉으론 웃지만 아직인가봐요. 3 .. 2012/12/22 791
199372 이삿짐 보관 비용 얼마나 될까요? ... 2012/12/22 12,010
199371 트윗하시는분-부정선거 3 SNS 2012/12/22 1,110
199370 이렇게 한정당이 모든 권력을 잡은적이 몇번이나 있었나요? 5 모로 2012/12/22 772
199369 탑골공원에도 구역이 나뉘어져 있는거 아세요? 7 진보와 수구.. 2012/12/22 2,061
199368 누가 좀 알려주세요 5 부정선거 2012/12/22 586
199367 부정선거 의심드는 것중 하나 16 아마 2012/12/22 2,498
199366 민주당 홈피에서 퍼왔어요 14 ..... 2012/12/22 3,727
199365 그것이 알고싶다 내용 예전에 Y에서 한거 아닌가요? 9 지금 2012/12/22 2,243
199364 냄새때문에 괴로워요.. 6 새로이사온집.. 2012/12/22 2,354
199363 레미제라블 보고 왔어요 2 2012/12/22 1,371
199362 11월28일에 '대선 때 전자개표기 쓰지 마라' 가처분신청 15 ... 2012/12/22 3,838
199361 어린이도서관에서 3 2012/12/22 890
199360 안/가버리는건 1 훌쩍나가 2012/12/22 643
199359 표창원 교수와 함께 부른 <님을 위한 행진곡 18 ... 2012/12/22 2,181
199358 [펌]문재인 후보의 딸의 마음 7 ........ 2012/12/22 4,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