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기 키우면서 효율적인 돈쓰기가 있을까요?

선배님들 도와주셔요 조회수 : 1,867
작성일 : 2012-10-29 12:44:55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예전에 노처녀 결혼한다고 글 올렸을때, 임신했다고 했을때 축하해주시고 조언해주셔서 무척 감사했어요.

걱정해주신 덕에 무사히 임신막달에 접어 들었습니다. ㅠㅠ

요새 육아서나 인터넷을 통해 신생아 용품이나 출산준비 등 공부를 하고 있는데 참 난감합니다.

한마디로 수입에 비해 사야할 것들이 너무너무 많아지는 거죠.

예를 들면 눈이 돌아가게 화려한 장난감들이나 아기 옷들...자본주의 사회가 그러하듯이 제일 밑의 가격부터 명품까지...참으로

당황스럽네요.

출산준비용품은 전에 다른 분이 올려주신것 보면서 많이 참고하며 최소한도로 준비중입니다.

그런데 그 다음단계부터는 모르겠어요. 어떤것이 효율적인 소비인지.

예를 들면 아기체육관, 범퍼, 놀이메트,찬란한? 교구, 전집 등등...

3개월간 출산휴가를 쓰고 나면 다시 일해야 하는 직장인이지라, 시간날때 대비?하고 싶어서요. 조언 부탁드려요. 꾸벅...

혹시 신생아 다음시기부터 꼭 사야하는 품목이 있을까요?

IP : 220.90.xxx.3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29 12:47 PM (222.121.xxx.183)

    미리 사두지 마세요..
    직장 나가면 주위 애 키운 선배들이 조언 많이 해주고..
    물려주는 분도 있고 그래요..
    필요할 때마다 사세요..

  • 2. 맞아요
    '12.10.29 12:53 PM (1.251.xxx.102)

    저는 예전에
    아파트 재활용에서 주워온 미끄럼틀...좀 컸어요..근데 우리애가 참 잘 갖고 놀았고
    놀러왔던 동서네 달라고 해서(주웠다고는 안했죠) 그 동서네도 썼었어요.

    지금은 아기모빌만 사두시면 되고....한 2년간은 별거 안사도 될거예요..
    전 어릴때 맨날 내복만 입혀 다녔어요 ㅋㅋ

  • 3. 아기꺼
    '12.10.29 12:55 PM (121.88.xxx.239)

    거의 사지 마세요.
    선물도 많이 들어오고요.
    선물로 쓰고 백화점거는 필요한거로 바꾸면 되고

    장난감이나 용품들은 중고 사세요. 중고나라나 지역까페같은데서 사세요.
    아님 주변에 아기 다 키운 분들에게 부탁해서 받으셔도 되고요.

    아기 금방 크고 어릴땐 잘 모르니까 최대한 돈 적게 써서 키우시고 모아서
    나중에 집 사주세요.

  • 4. 그게요
    '12.10.29 12:57 PM (14.35.xxx.1)

    인터넷 많이 하시면 눈이 높아지고 이것도 사야될 것 같고 저것도 사야 될 것 같고 ㅋㅋ 그냥 참조만 하시구요(근데 그게 되나요 다 사주고 싶죠) 아가 어릴 때는 싼 거 사서 입히고 얻어입히기도 하는게 좋은 것 같애요..진짜 쑥쑥 크구요 얼룩 안지워져서 버려야 되는 경우도 은근 되요. 전집은 애플비나 블루래빗 같은 유명템 6개월쯤 하나 사서 쭉 보시고 중간중간 단행본 하나씩 사주세요. 장난감같은거는 중고로 사주시고 중고로 되파시는 센스 ㅋㅋ(물론 양심적으로요) 윗님 말씀처럼 아기들은 아직 하나도 모르잖아요 다 엄마 욕심이구요.

  • 5. ...
    '12.10.29 1:09 PM (1.235.xxx.57)

    물려받을 곳 있으면 다 받아 두세요.
    전 아기꺼 입에 들어가는 것만 새거로 샀던거 같아요.

  • 6. 음..
    '12.10.29 1:15 PM (122.169.xxx.108)

    장난감은 인터넷으로 빌리는 곳도 있구요.. 잘 찾아보시면 시나 구에서 무료로 대여해주는 곳도 많아요.. 빌려다가 잘 닦아 쓰고 반납하면 되구요... 장난감은 정말 애들 잠깐 쓰고 마는거라 빌리는게 훨 좋은 것 같아요.. 집에 자리도 많이 안 차지하구요... 그리고 놀이방 매트는 정말 유용해서 장만하심이 좋을 듯 싶네요...

    옷 같은 것은 주변에서 혹 물려주신다 하면 받아 놓으세요.. 물려입은 옷 중에 상태 안 좋은 것들은 집에서 입혀도 아주 유용해요.. 애들 뭐 흘리고 하다보면 하루에도 옷 갈아입히는게 일인데... 막 입힐 옷들 많으면 많을 수록 좋더라구요..

    그리고 외출복 같은거는 큰 돈 안 들여도 엄마 센스가 좋으면 잘 입힐 수 있아요.. 이왕이면 외출할때 이쁘게 입혀서 사람들이 이쁘다 칭찬해주는게 기분 좋쟎아요 시장 옷이든 저렴한 옷이든 세일 품목이든 잘 고르고 코디 잘하면 괜찮습니다.. 거기다 아기가 좀 이쁘게 생겼으면 옷빨도 더 잘 받으니 더 좋구요..

    책도 너무 과하게 사지말고 내용 좋고 그림 좋은 단행본부터 천천히 사주셔도 되구요.. 요즘 어린이 도서관 잘 되어 있으니 집에 있으면 갑갑할때 애 데리고 도서관 나들이 가셔서 책 읽어주셔도 되구요... 또 돌 지나면 도서관에서 이것저것 아기들 대상 프로그램도 많아요.. 무료구요..경쟁이 좀 쎄긴 하지만요.. 그리고 시에서 주최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도 종종 있으니 사이트 잘 확인하시고 들으시면 육아에 도움도 많이 된답니다.


    제 딸 4살이지만 키워보니 단계마다 뭐 갖춰야 할 꺼 같고 그거 없음 안 될 것 같고 하지만.. 일단 생각을 없으면 없는대로 일단 버텨보자 앞서 지르지 말자 생각하시고... 그때 그때 필요한거 정 사야겠다 싶은 것만 최소한으로 투자하시면 될 것 같아요..

  • 7. ...
    '12.10.29 1:22 PM (210.118.xxx.115)

    1. 뭐든 최대한 늦게 구입하세요.
    선물로 들어올 경우도 있고, 다른 사람이 아무리 잘 썼다 해도 막상 우리애는 관심없는 경우도 있어요.

    2. 카시트, 유모차 등은 선물 받을 곳이 있으면 받으세요.
    저는 받을 곳이 없으니 그냥 샀지만, 주변 보면 카시트나 유모차는 선물받는 경우 많아요.

    3. 놀이방 매트는 사세요. (특히 아파트)
    당장은 필요없겠지만, 아이가 크면 필요해요.

    4. 대부분의 유아용품은 아이를 위한 것이 아닌, 엄마를 위한 거예요.
    아기체육관, 점퍼루, 쏘서 등이 없다고 아이가 불평하거나 뒤쳐지진 않아요.
    이런 물품들이 있어서 편한 건 엄마예요. 아이가 그걸 타는 동안, 엄마의 시간이 생기니까요.
    집안일 하고, 밥이라도 먹고, 숨 좀 돌리기 위해서 빌리거나 사는 것도 괜찮겠지만, 모두들 사니 나도 사야지.. 그럴 필요는 없어요.

  • 8. 음..
    '12.10.29 1:39 PM (210.121.xxx.253)

    "..."님 말씀에 적극 동의~

    사실.. 유아용품은 양육자의 쉬는 시간을 벌어줄 뿐인데.. 그 시간이 얼마 안 되는 경우도 많아요, 아기에 따라서요.

    아이가 뛰어다니기 시작하면, 옷이 많은게 좋긴 한 거 같아요. 특히 원에 다니는 유아의 경우, 하루에도 2-3벌씩 갈아입어야 할 때가 생기곤 해서.. 자주 빨아도 괜찮은 옷을 찾게 되더라구요.

    아이 사진은.. 아이가 뛰어다니기 전에 많이 찍을 수 있는 것 같아요. 그나마 그때가 통제가능?한 시기랍니다. 인조이~ :)

    책, 좋아하신다면... 북스타트 프로그램 찾아보시길 추천해요. 의료보험증 갖고 북스타트 프로그램 있는 도서관을 찾아 가시면 책꾸러미 받을 수 있는 걸로 알아요. 아마 관련된 놀이프로그램도 있을 거에요. 없는 동네도 있지만..

  • 9. 달코
    '12.10.29 1:51 PM (183.104.xxx.130)

    요즘 시나 구청에서 하는 장난감도서관 너무 잘 되어있어요. 장난감 대여하시면 부족한 거 못느끼실거에요. 엄마들이 선호하는 점퍼루 쏘서 걸음마보조기 등등 다있어요. 엄마가 조금만 부지런떨면 됩니다^^

  • 10. 감사합니다
    '12.10.30 7:13 AM (14.53.xxx.65)

    말씀들처럼 어릴땐 최대한 아껴서 정말 돈 필요한 시기에 효율적으로 써야겠어요.예방접종은 보건소에서 진행함 되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0910 시민 입니까? 국민 입니까? 12 주붕 2013/01/22 1,020
210909 저 전 이마트 직원인데.. 2 이마터 2013/01/22 1,984
210908 진짜 카더라는 죄악인듯!! 3 아놔 2013/01/22 1,216
210907 깐호두,잣 보관-냉동실?냉장고?기타밀봉관련 1 // 2013/01/22 4,481
210906 전 가사도우미나 베비시터도 전문직 이라구 생각해요 13 ... 2013/01/22 2,284
210905 32평 책장 책이좀 있어요. 4 이사비용 2013/01/22 940
210904 전세집 보조키 보통 어떻게 하시나요? 4 보조키 2013/01/22 4,457
210903 강아지가 이제 혼자 12시간을 있어야되요 ㅜㅜ 11 소금인형 2013/01/22 8,737
210902 남편 문자 메시지 내폰으로 볼 수 있는 방법 알려주세요. 3 아침에빵 2013/01/22 1,682
210901 자궁근종 수술 문의좀 드릴게요 1 문의드려요 2013/01/22 1,325
210900 독감예방접종 맞아도 될까요? 2 지금이라도 2013/01/22 612
210899 개누리 지지 연예인중 안타까운 한명 ㅠㅠ 11 슈퍼코리언 2013/01/22 3,340
210898 일억이면 보통얼마에 거래되는거예요? 공시지가 2013/01/22 494
210897 제일 힘든게 사람 만나는 것 같아요 바라보기 2013/01/22 1,264
210896 인천에 교정치과 정보 좀 나눠주세요 3 교정 2013/01/22 2,256
210895 이동흡 청문회 보기 어렵네요 4 ??? 2013/01/22 1,118
210894 탈모약 프로페시아 복용하시는 남편 계세요? 8 탈모 2013/01/22 16,510
210893 이동흡 헌재소장 후보자 청문회 1 생중계주소 2013/01/22 480
210892 딸아이가 제 핸드폰을 갖고 학교에 갔나봐요ㅜㅜ 11 아기엄마 2013/01/22 2,239
210891 교육부 장관이 교과서 수정가능하도록 법개정? 2 뉴스클리핑 2013/01/22 646
210890 요즘 감기 되게독하네요 ,, 2013/01/22 636
210889 남자들이 신을만한 따뜻한 신발은 없나요? 6 추천해주세요.. 2013/01/22 1,568
210888 국회, 이동흡 2일차 청문회…추가 검증 2 세우실 2013/01/22 561
210887 웃을때 천진난만한 사람 5 웃음 2013/01/22 3,759
210886 연말정산 인적 공제 질문좀 드릴께요 3 연말정산 2013/01/22 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