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60년 대한민국, 2경원 빚진 노인나라 된다(?)

학수고대 조회수 : 823
작성일 : 2012-10-25 17:59:33
미래의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요? 모두 궁금하게 생각하는 일입니다. 더욱 강하고 부유한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지요. 그런데 기대와 달리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 여파로 2060년의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의 2.2배 수준인 2경(京)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6월 2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12~2060년 장기 재정전망 및 분석’ 을 보면 대한민국 재정은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2034년부터는 지속가능성을 상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가채무 규모는 2023년에 1000조원, 2041년에 5000조원, 2051년에는 무려 1경원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연금 적자 전환과 기금 고갈 시기는 각각 2041년, 2053년으로 기존 전망보다 각각 3년, 7년 일찍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즉 48년 뒤면 한국 정부 살림이 그리스, 스페인 같은 재정위기 국가들보다도 부실해진다는 진단입니다.

잠재성장률은 2025년까지 3%대를 유지하다가 2%대로 떨어지고 2040년부터는 1%대, 2055년부터는 1% 미만으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재정 총수입보다 총지출이 가파르게 늘면서 관리대상수지는 올해 GDP 대비 1.2% 적자에서 계속 악화됩니다. 특히 2053년 국민연금기금이 고갈된 이후인 2060년엔 적자폭이 13.1%로 커질것으로 전망됐지요.

박종규 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장은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고령사회에 들어서는 2018년 이전에 비과세감면을 대폭 축소하고 국민연금 보험료율 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래세대가 막대한 국가채무를 지지 않게 하려면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보고서는 재정악화의 부담이 고스란히 중년층 이하 젊은 세대일수록 무겁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미 1957년 이후 출생한 사람부터 정부로부터 얻는 편익보다 조세 부담이 더 크다”고 합니다. “현재의 중노년 계층과, 이후 세대간 불균형 문제가 계속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비관적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우리 사회가 2026년에는 노인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기 때문입니다. 인구구조가 노령화될수록 노동투입은 줄고 민간소비나 투자도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분석엔 복지정책을 더 도입하지 않고 세법도 2060년까지 바꾸지 않는다는 전제가 깔려있지요.

그런데 오늘날 각 정당이 경쟁적으로 제시하는 무상복지 공약은 어떤가요? 경제적 측면에서 깊이 있는 고찰을 거친 현실성 있는 정책일까요? 이들이 내놓은 각종 복지정책을 시행한다면 우리경제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한번 깊이 생각해봐야겠습니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2009 런던에서 하루+반나절 일정- 뭘 보면 좋을까요? 3 ... 2013/01/24 876
    212008 문재인을 왜 그렇게 떠 받드는가? 13 .... 2013/01/24 1,826
    212007 아빠말만 듣는 아이 4 육아는힘들어.. 2013/01/24 848
    212006 입술 주변에 포진이 ㅜㅜㅜ 3 어우 2013/01/24 1,972
    212005 아이패드로 좋은 음악 듣고 싶은데.. 머리아프다... 2013/01/24 702
    212004 부대찌개에 넣는 베이크드 빈스요... 8 화초엄니 2013/01/24 5,634
    212003 아이들끼리 피자시켜먹어도 위험하지않을까요? 7 초5엄마 2013/01/24 1,690
    212002 이번 초등2학년 교과서에 달력(날짜계산) 나오나요? 1 ... 2013/01/24 1,358
    212001 민트소스 용도 좀 알려주세요 대용량 2013/01/24 548
    212000 동네엄마들과 한번 놀때 5만원씩 89 2013/01/24 19,413
    211999 의문사 고 장준하 선생 39년 만에 무죄 세우실 2013/01/24 846
    211998 뭘해도 연예인을 해야 되는겁니까? 27 멘붕이다 2013/01/24 4,371
    211997 윈도우 정품시디 구입 알려주세요. 컴맹 2013/01/24 873
    211996 개라구!!!!!!!!!!! 9 존심 2013/01/24 1,256
    211995 정관장 로얄문의 1 갑순이 2013/01/24 771
    211994 방배 현대홈타운2차 2 방배 2013/01/24 3,558
    211993 출산후 다이어트 스쿼시 VS 수영 3 다시돌아갈래.. 2013/01/24 2,193
    211992 비과세상품 어디서 팔죠? 1 2013/01/24 644
    211991 팀버튼전 입장 오래 기다리나용? 1 문화인 2013/01/24 938
    211990 코 재건 수술 성형외과?대학병원? 어디로 가야해요? ** 2013/01/24 1,032
    211989 양산타워 가보신 분 1 질문있어요... 2013/01/24 670
    211988 MBC 라 좀 그렇치만 "공유경제" 흥미롭군요.. 주붕 2013/01/24 501
    211987 프로포폴 관련하여 의사도 소횐되나요? 3 .. 2013/01/24 996
    211986 핸드폰 기본요금 70% 인하상품 사용후기 2 혜령맘 2013/01/24 1,075
    211985 영화만 보면 꼭 잠들어요. 8 ... 2013/01/24 1,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