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평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쓰레기 조회수 : 3,473
작성일 : 2012-10-24 22:03:28

오늘 아파트에 붙은 공문을 보니 다음달부터 예비 시행으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를 한다네요

자세히 보니 여태 그냥 버렸던 음식물쓰레기통에 관리소에서 스티커를 붙여놓고

단지 사람들이 버릴때마다 관리비로 나오나봐요

그럼 많이 버리는 사람 적게 버리는 사람 똑같이 낸단건가요

티비 광고로는 적게 버리면 적게 낸다더니 그것도 아니네요

혹시 다른 동네 사람이 와서 버리고 가도 우리가 돈 더 내야 하는거고 그런가봐요

아 짜증나요

이제 산에다 파묻는 사람도 나올지경이네요

IP : 119.70.xxx.201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24 10:07 PM (124.49.xxx.117)

    각 가정마다 카드가 배부되고요. 특수 제작된 통을 카드로 열어서 쓰레기를 버리면 그 무게만큼 카드에 기록되어서 요금이 부과되는건데요. 여기 제주도에선 이미 연습 중이네요.

  • 2. 원글
    '12.10.24 10:08 PM (119.70.xxx.201)

    저희는 그런 카드도 없고 특수 제작통도 아니네요
    그냥 전에 있던 통에 스티커 붙여놓고 하던데요

  • 3. aaa
    '12.10.24 10:15 PM (58.226.xxx.146)

    지금은 어떻게 부과하고 있나요?
    저희도 지금 통 바꾸고 가정마다 카드 줘서 동,호수 확인하고 제가 버린 양만큼 무게 재서 관리비에 정산되서 나오는데,
    그전에는 한달에 1200원으로 고정적이었어요.
    고정적으로 낼 때보다 제가 내는 것만 계산하는게 덜 나와요. 700-900원 내고 있어요.
    통에 스티커 붙여놓고 공고한 다음에 저울 들어가 있고, 카드로만 열리는 새 통을 가지고 오겠지요.

  • 4. Zzz
    '12.10.24 10:19 PM (1.243.xxx.175)

    위에 점세개님 말씀이 맞구요
    아직 쓰레기통 보급이 안돼서 시범지역
    먼저 실시하고 내년 3월정도까지 순차적으로
    늘려간다네요

  • 5. aaa
    '12.10.24 10:47 PM (58.226.xxx.146)

    아파트 각 세대마다 버린만큼만 내게 다 다르게 나와요.
    집집마다 주소 들어있는 카드를 두 개 줘요. 하나는 신용카드처럼 생겼고, 하나는 폰에 걸 수있는 작은 교통카드처럼 생긴거요.
    이사할 때 넘기고 가야할 것같은 카드.
    집집마다 다르게 나옵니다~

  • 6. 홍시
    '12.10.24 10:55 PM (112.165.xxx.147)

    제가 사는 지역에선 벌써 시행중이에요.
    똑같이,가 아니라 버리는 무게만큼 내야 한답니다.
    그러니 최대한 물기를 짜서 버려야 해요.

    전국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왜 공평하지 못하게 순차적으로 하나 모르겠네요.
    한 달이라도 억울하네요~~~~~

  • 7.
    '12.10.25 9:00 AM (1.221.xxx.149)

    어쨌든 내가 먹다 남긴 쓰레기이니 돈을 내고 버리는것이 맞다고 생각은 해요

    물론 부작용은 있겠지만
    쓰레기봉투 처음에 종량제 시작할때처럼 차차 나아지겠지요..

  • 8. 저희
    '12.10.25 1:28 PM (222.107.xxx.181)

    저희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써요.
    큰 통에 다 버리다가 세대별로 쓰레기 봉투 쓰고
    통에 버리도록하니 아무래도 물기나 배출양에 신경을 쓰게 되더라구요.
    조금 불편해도 전체적으로 좋아지는거면
    그렇게 해야겠죠.
    근데 위에 적어주신 방법은 최첨단 방법이라
    전체적으로 시행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1057 단종이 죽었을때도 사람들은 그랬겠죠... 3 ... 2012/12/27 2,183
201056 전 우리엄마가 좋아요 6 cafe 2012/12/27 1,316
201055 5살 아이와 워터파크갈건데..부천 웅진플레이도시와 케리비안베이중.. 3 스파 2012/12/27 1,585
201054 해외 직구관련하여 질문 몇 가지 드릴께요. 4 초보 2012/12/27 956
201053 수검표하자고 저리~~~ 난리인데,, 5 .. 2012/12/27 1,540
201052 노무현대통령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10 궁금 2012/12/27 1,800
201051 딸아이가 생리통이 심할때는 어떻게 하세요? 29 초등생 2012/12/27 3,124
201050 박근혜 노인 기준 10살 상향 4 ... 2012/12/27 1,803
201049 어머님은 제가 아기를 잘못키우고 있다고 하세요 19 속상 2012/12/27 4,809
201048 전라도 맛집,여행지,농산물 마지막 총정리~~ 194 반지 2012/12/27 17,823
201047 월세집 옵션 세탁기 고장.. 누가 비용을 지불해야 하나요? 7 tint 2012/12/27 10,593
201046 40대 초반 아줌마가 할수 있는공부? 2 수프리모~ 2012/12/27 2,575
201045 서울 조금은 위로가되는 교육현실. 3 .. 2012/12/27 1,234
201044 벙커원 봉도사 방문 일정 시간(딴지트윗펌) 1 포트락 2012/12/27 1,499
201043 진짜 왜이리 춥죠?날씨가 8 날씨가이상함.. 2012/12/27 2,656
201042 이 상황...왜 이런지 아시는분? 10 화나네요 2012/12/27 2,182
201041 혈압이 107, 74 정도면 어떤 상태인가요? 10 혈압 2012/12/27 12,420
201040 카드를 받지 않는 아이 학원비.. 소득공제에 넣을 방법이 있는지.. 5 학원비 2012/12/27 2,121
201039 오래 쓸만한 방석이요~ 1 동글이 2012/12/27 657
201038 안철수는 인터뷰에서 여러분들 집값을 올려주고 싶다고... 38 ... 2012/12/27 3,656
201037 지성용 향이 좋은 린스..꼭!!! 4 알려주세요 2012/12/27 1,307
201036 헌재, 곽노현전교육감 '사후매수죄' 합헌 12 파사현정 2012/12/27 2,249
201035 레 미제라블의 Do you hear~ 악보 어디서 구할 수 있을.. 4 ... 2012/12/27 1,859
201034 새누리 엄청 꼼꼼한듯 노인복지줄이면 청년탓! 1 ㅇㅇ 2012/12/27 1,209
201033 벌레없고 키우기 쉬운 화분 뭐가 있을까요? 7 처음 2012/12/27 5,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