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제민주화 공부-요게 핵심

학수고대 조회수 : 751
작성일 : 2012-10-24 17:08:09
지금 우리나라는 경제민주화 논의가 한창이다. 헌법에 나와 있기는 규정을 두고 벌이는 논쟁이다. 어째서 헌법규정에 비추어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어야할까?

많은 사람들은 법이라고 하면 판검사들이 관여하는 형법이나 민법을 주로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법은 헌법이다. 헌법은 한 국가의 가장 근본적인 원칙들을 규정하기 때문이다. 형법이나 민법을 포함한 모든 법률의 근거는 헌법이다.



지금 논란이 되는 경제관련 헌법규정들(제119조-127조)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추상적이고 불확정적인 개념들이 있기에 단순한 원칙에 불과할까? 아니면 법적 구속력을 가진 실효규정일까? 한번 자세히 살펴보자.

일반적인 규정인 119조은 ‘대한민국의 경제 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는 시장자율이라는 원칙규정 1항과, ‘국가는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라는 2항이 있다. 이 가운데 2항을 경제민주화규정이라 하며 지금 정치권에서 더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제민주화 규정만으로는 모든 정책의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 더욱 근본적인 헌법 제37조 제2항이 정하는 기준이 있다. 목적이 정당하고 수단도 이에 맞추어 정당한 경우에만 기본권의 제한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목적이 정당하다고 하여 모든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우리 속담 중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을 태운다.’라는 말이 있다. 무엇이든지 과하면 모자라는 것만 못하다.


(사진출처: 조세일보)


경제민주화 목적의 정당성은 시대적 상황에 있다. 빈부격차 확대,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로 인한 자영업자의 어려움, 그리고 대기업의 단가후려치기와 하도급의 문제점 등이다. 그러나 목적이 정당하다고 해도 실효성 있는 수단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현행제도는 경제력집중을 통해 재벌의 독과점적 위치를 보장해 주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경제민주화의 유형을 수단을 중심으로 분석해보자.


첫째, 사후적 책임 강조형이다. 자유를 원칙적으로 폭넓게 보장해주는 엄격한 책임을 전제로 한다. 강화된 처벌을 통해 대기업이 룰을 어기거나 법적 문제를 일으켰을 때 큰 부담을 지게 만드는 방식이다.

둘째, 좀 더 강력한 방법은 사전적 규제 강화형이다. 미리 엄격한 입법·행정적 규제 즉 출자총액규제와 순환출자의 금지, 기타 논란이 있는 재벌해체여부, 하도급권력남용의 문제를 미리 금지하고 감독하는 방식이다.

세번째로 절충형이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쓰는 것이다. 가장 강한 형태의 국가개입이므로 극단적 경제위기시에만 가능하다.


현재의 논의는 결국 하나다. 법을 어기는 개별행위에 대해서만 규제할 것인가, 아니면 근본적인 재벌구조개혁을 하여야 하는가의 문제다. 추상적인. 경제민주화논쟁보다는 실질적으로 어떤 수단이 더 국민을 위해 좋은 효과를 가져올 지 면밀히 검토되었으면 한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0949 생리전증후군 약 없을까요? 13 질문 2012/12/27 11,875
    200948 제기 크리스마스에 겪은 극장 민폐.. 4 겨우 참았어.. 2012/12/27 2,209
    200947 경주 한화스프링돔vs대명아쿠아월드 조언부탁드려요. 친정엄마와의.. 2012/12/27 963
    200946 임파선전이 답답한 마음.. 2012/12/27 3,262
    200945 휴지통을 사야하는데 10리터 봉투를 사면 몇리터 휴지통을 사면 .. 2 .... 2012/12/27 1,172
    200944 요즘 무자식 상팔자란 드라마를 보는데요.. 6 뚱땡이맘 2012/12/27 2,871
    200943 벤타 공기청정기 담배냄새 제거에 효과 있을까요? 3 공기청정기 2012/12/27 3,261
    200942 궁금한게 있어요,난방에 대해서. 1 난방비 무섭.. 2012/12/27 656
    200941 벙커원으로 출발! (중간중간 업데이트 할게요) 38 우발적으로 2012/12/27 5,143
    200940 저 미쳤나봐요..ㅠㅠ 3 눈물이.. 2012/12/27 1,539
    200939 모두들 카드 리볼빙에 동의하셨나요? 14 조조 2012/12/27 4,866
    200938 레미제라블-i dreamed a dream 노래예요 1 팡틴 2012/12/27 1,347
    200937 대구에 있는 이비인후과...문의드려요 3 .... 2012/12/27 2,954
    200936 종이컵모양의 머그 컵은 어디사 파나요? 5 ... 2012/12/27 1,577
    200935 항상 목에 가래가 끼어있어요. 16 dmdmr 2012/12/27 12,477
    200934 친정 제사 참석 안하는분 계세요? 9 춥다 2012/12/27 2,326
    200933 초등 5학년 울아들 방학하고 어떻게 지내나 지켜봤더니 .. 2012/12/27 750
    200932 요즘 마클 솔담성 장난 아니던데요 5 .... 2012/12/27 2,473
    200931 오래된 고추가루 색이 바란거 먹어도 되나요 3 다연 2012/12/27 7,539
    200930 영화 어벤져스 보기전 뭐뭐 봐야 이해가 쉽나요 4 .. 2012/12/27 724
    200929 전세를 1년 남기고 나가려는데... 1 이런경우? .. 2012/12/27 857
    200928 영화 예매 안해도... 당일 볼수 있을까요? 이런... 2012/12/27 503
    200927 갤럭시 노트 10.1 가격이요.. 4 첨밀밀 2012/12/27 1,234
    200926 연산 학습지 아님 사고력 수학 학습지라도.. 3 초3 2012/12/27 1,511
    200925 남편의 이런 말투 거슬려요. 52 ㅇㅇㅇ 2012/12/27 1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