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제민주화 공부-요게 핵심

학수고대 조회수 : 759
작성일 : 2012-10-24 17:08:09
지금 우리나라는 경제민주화 논의가 한창이다. 헌법에 나와 있기는 규정을 두고 벌이는 논쟁이다. 어째서 헌법규정에 비추어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어야할까?

많은 사람들은 법이라고 하면 판검사들이 관여하는 형법이나 민법을 주로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법은 헌법이다. 헌법은 한 국가의 가장 근본적인 원칙들을 규정하기 때문이다. 형법이나 민법을 포함한 모든 법률의 근거는 헌법이다.



지금 논란이 되는 경제관련 헌법규정들(제119조-127조)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추상적이고 불확정적인 개념들이 있기에 단순한 원칙에 불과할까? 아니면 법적 구속력을 가진 실효규정일까? 한번 자세히 살펴보자.

일반적인 규정인 119조은 ‘대한민국의 경제 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는 시장자율이라는 원칙규정 1항과, ‘국가는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라는 2항이 있다. 이 가운데 2항을 경제민주화규정이라 하며 지금 정치권에서 더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제민주화 규정만으로는 모든 정책의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 더욱 근본적인 헌법 제37조 제2항이 정하는 기준이 있다. 목적이 정당하고 수단도 이에 맞추어 정당한 경우에만 기본권의 제한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목적이 정당하다고 하여 모든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우리 속담 중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을 태운다.’라는 말이 있다. 무엇이든지 과하면 모자라는 것만 못하다.


(사진출처: 조세일보)


경제민주화 목적의 정당성은 시대적 상황에 있다. 빈부격차 확대,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로 인한 자영업자의 어려움, 그리고 대기업의 단가후려치기와 하도급의 문제점 등이다. 그러나 목적이 정당하다고 해도 실효성 있는 수단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현행제도는 경제력집중을 통해 재벌의 독과점적 위치를 보장해 주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경제민주화의 유형을 수단을 중심으로 분석해보자.


첫째, 사후적 책임 강조형이다. 자유를 원칙적으로 폭넓게 보장해주는 엄격한 책임을 전제로 한다. 강화된 처벌을 통해 대기업이 룰을 어기거나 법적 문제를 일으켰을 때 큰 부담을 지게 만드는 방식이다.

둘째, 좀 더 강력한 방법은 사전적 규제 강화형이다. 미리 엄격한 입법·행정적 규제 즉 출자총액규제와 순환출자의 금지, 기타 논란이 있는 재벌해체여부, 하도급권력남용의 문제를 미리 금지하고 감독하는 방식이다.

세번째로 절충형이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쓰는 것이다. 가장 강한 형태의 국가개입이므로 극단적 경제위기시에만 가능하다.


현재의 논의는 결국 하나다. 법을 어기는 개별행위에 대해서만 규제할 것인가, 아니면 근본적인 재벌구조개혁을 하여야 하는가의 문제다. 추상적인. 경제민주화논쟁보다는 실질적으로 어떤 수단이 더 국민을 위해 좋은 효과를 가져올 지 면밀히 검토되었으면 한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3546 예비 중학생들 방학 어찌 보내고 있나요? 6 중1 2013/01/03 1,464
    203545 루카라고 카누 따라나온거요 11 2013/01/03 1,678
    203544 시민단체 “이번 대선 결과 무효로 해달라”소송 [경향 16;3.. 2 ,, 2013/01/03 1,838
    203543 재수 드럽게 없는 기분도 드러운 날 16 0000 2013/01/03 4,948
    203542 급질>컴퓨터가 먹통이예요 3 도와주세요 2013/01/03 557
    203541 아...~ 고쳤어요 저혼자ㅋㅋ 1 보ㅛ일러 2013/01/03 1,656
    203540 동네 길냥이 14 허당이 2013/01/03 1,455
    203539 전세계 한국인들이 부정선거에 대해 국제언론에 호소하고 있다.(펌.. 3 알립시다. 2013/01/03 1,498
    203538 염색방 어떤가요? 2 ^^ 2013/01/03 4,818
    203537 이중에서 어떤걸 배우면 좋을까요? 2 계획 2013/01/03 1,097
    203536 광화문에 조용히 회의하면서(4~5명정도) 식사할 곳 추천해주세요.. 여쭤봅니다... 2013/01/03 1,229
    203535 82쿡 역사 그리고 사건들 기억나는거 적어보아요 40 오랜만이에요.. 2013/01/03 7,215
    203534 이삭토스트 소스 3 화초엄니 2013/01/03 5,170
    203533 과고 입학하면,,,최소한 카이스트 확보 아닌가요? 7 궁금 2013/01/03 4,347
    203532 장터부츠 사이즈 원래 신는 사이즈 주문하면 되나요? 5 고민 2013/01/03 1,289
    203531 시댁에만 가면 알러지 생기는 아이 9 알러지 2013/01/03 3,076
    203530 애들 영어공부 어떻게 시키세요? 1 질문 2013/01/03 1,482
    203529 영화 보는데 아이한테 자막을 읽어주네요. 8 허걱 2013/01/03 2,467
    203528 자식이름으로 집이 근저당 잡혀있음 대출 못받나요? 4 근저당 2013/01/03 1,313
    203527 밍크 롱조끼도 많이 입나요? 6 추워요 2013/01/03 3,440
    203526 도대체 왜 민주당이 안나서는걸까요? 11 투표관련 2013/01/03 2,667
    203525 홍경민 여친이 입은 점퍼 어디껀가요? 5 ... 2013/01/03 3,301
    203524 을지로. 명동 근처 40대초 여성 식사할 곳? 맛집 2013/01/03 565
    203523 동지 지났다고 7 .. 2013/01/03 2,058
    203522 캠리타고 인천항만에서 목동아파트까지 한달에 ... 2013/01/03 1,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