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망진창 세종시
아직 도시 기반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서 그런지
세종시로 이전된 부처 소속 공무원들의 고달픈 일상이 안스럽군요.
그러게 뭐하러 세종시는 만들어가지고...
======================================================================================================
시범운행 광역버스…세종시와 KTX 오송역을 연결하는 광역BRT(간선 급행버스체계) 도로가 지난 9월 개통한 가운데 22일 BRT 전용버스인 `바이모달트램`이 시범 운행되고 있다. 바이모달트램은 버스 2대를 연결한 `2량 1편성` 차량으로 세종정부청사 공무원들의 핵심 교통수단으로 이용될 예정이다. <이승환 기자>
#지난 9월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에 첫 입주한 국무총리실 소속 공무원 A씨. 그는 서울에 두고온 부인 때문에 최근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다. 지난 16일 부인으로부터 갑자기 배가 아프다는 전화를 받았지만 멀리 떨어져 있는 탓에 "얼른 병원에 가보라"는 말밖에 할 수가 없었다. A씨 부인은 오후 초등학생 자녀가 귀가할 때까지 배를 움켜쥐며 참다가 병원 응급실로 실려가 급성맹장수술을 받았다. A씨가 오후에 뒤늦게 반일휴가를 내고 세종시에서 서울 소재 병원으로 갔지만 이미 수술은 끝나 있었다. A씨를 보자마자 부인은 서럽게 눈물부터 훔쳤다. A씨는 "세종시에서 함께 살고 싶어도 마땅한 집이 없어 주말부부가 됐는데 앞으로 이보다 더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면 어떻게 할지 답답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장맛비 같은 가을비가 내리던 지난 22일. 세종시 정부청사에서 만난 A씨의 표정은 궂은 날씨처럼 어두웠다. 이곳에는 지난 9월 17일 정부 중앙부처 및 산하기관 중 처음으로 국무총리실 6개 부서 119명이 입주해 있다.
`세종시 시대`를 연 첫 주역이지만 A씨를 비롯한 입주 공무원들은 하나 같이 "생각했던 것보다 주변 여건이 너무 열악하다"며 한숨을 쉬고 있었다. 온통 주변이 공사장인 세종시 한가운데서 외딴 섬처럼 `고립무원`의 일상을 보내고 있다는 설명이었다.
취약한 주거ㆍ교통 인프라에 바가지 택시요금 등 `3중고`에 시달린다며 이들은 "주변 기반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연말 기획재정부 등 6개 부처 4139명이 입주하게 되면 큰 혼란이 예상된다"고 입을 모았다.
총리실과 연말 6개 부처를 시작으로 세종시 정부부처 이전은 오는 2014년에 최종 완료된다.
16개 중앙행정기관과 중앙행정기관에 소속된 20개 기관 공무원 등 1만여 명이 순차적으로 이곳에 둥지를 틀게 된다.
그러나 주변 아파트가 이제 막 분양을 마치고 공사를 시작한 터라 상당수 공무원들이 서울에서 KTX 등을 이용해 출퇴근하고 있다.
대전, 조치원 등 주변 지역에서 가까스로 원룸을 구해 2~3명이 집단생활을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1차 입주한 총리실 소속 공무원들에게 가장 시급한 건 뜻밖에도 `셔틀버스`였다.
정부가 내년 예산안에 세종시~수도권을 오가는 셔틀버스 운영 예산을 반영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세종시 셔틀버스 운영 여부는 세간의 화제가 됐다.
셔틀버스가 운영되면 입주기관 소속 공무원들이 세종시로 내려가려 하지 않고 서울과 수도권에 잔류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이다. 정부 스스로 세종시를 자족기능을 갖춘 행정중심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을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그러나 총리실 공무원들은 "현실을 전혀 모르고 명분만 내세운 논리"라며 격앙된 목소리를 표출하고 있었다.
한 고위공무원은 "셔틀버스는 주변 주거ㆍ교통 인프라가 사실상 제로인 상황에서 공무원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최소한의 조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공무원은 "셔틀버스를 항구적으로 운영하는 게 아니라 주변 주거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질 때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면 된다"며 "최소한 내년까지 월요일 출근, 금요일 퇴근 때 셔틀버스를 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머지 화~목요일은 수요조사를 해서 탄력적으로 운영하면 된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총리실 직원은 "최소한의 복지 차원에서 셔틀버스는 운행되는 게 맞다"며 "입주가 숙성 단계에 이르면 셔틀버스 이용객 수요도 자연스럽게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민 혈세를 써서 셔틀버스를 만들어주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는데 이건 최소한의 복지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호소했다.
암암리에 기승을 부리는 택시요금 폭리도 원룸 월세, KTX 출퇴근 비용 때문에 홀쭉해진 세종청사 입주 공무원들의 지갑에 시름을 더하고 있다. 공무원 B씨는 "세종정부청사 출근 첫날 청사에서 첫마을까지 택시를 탔는데 합의요금에 이른바 `콜비`까지 요구했다"며 "덕분에 4~5㎞를 이동하는 데 9000원 가까운 요금을 내야 했다"고 토로했다.
대전 노은지구, 청원 오송역 등에서 첫마을과 청사로 올 때 적용하는 `시계 외 할증` 요금도 골칫거리로 꼽혔다.
B씨 동료인 또 다른 공무원은 "오송역에서 불과 500m만 넘으면 바로 세종시로 시계가 바뀌면서 할증요금이 붙는다"며 "이로 인해 과도한 택시요금이 문제가 돼 각 지자체가 할증을 없애기로 했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시행이 안 되고 있다"고 전했다.
교통을 중심으로 최소한의 주변 여건마저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입주 공무원들의 분노는 지자체인 세종시로 향하고 있다. 공무원 C씨는 "단계별로 대규모의 공무원 이동이 이미 충분히 예정된 상황이었는데 세종시와 충북도가 제대로 준비한 게 거의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장맛비 같은 가을비가 내리던 지난 22일. 세종시 정부청사에서 만난 A씨의 표정은 궂은 날씨처럼 어두웠다. 이곳에는 지난 9월 17일 정부 중앙부처 및 산하기관 중 처음으로 국무총리실 6개 부서 119명이 입주해 있다.
`세종시 시대`를 연 첫 주역이지만 A씨를 비롯한 입주 공무원들은 하나 같이 "생각했던 것보다 주변 여건이 너무 열악하다"며 한숨을 쉬고 있었다. 온통 주변이 공사장인 세종시 한가운데서 외딴 섬처럼 `고립무원`의 일상을 보내고 있다는 설명이었다.
취약한 주거ㆍ교통 인프라에 바가지 택시요금 등 `3중고`에 시달린다며 이들은 "주변 기반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연말 기획재정부 등 6개 부처 4139명이 입주하게 되면 큰 혼란이 예상된다"고 입을 모았다.
총리실과 연말 6개 부처를 시작으로 세종시 정부부처 이전은 오는 2014년에 최종 완료된다.
16개 중앙행정기관과 중앙행정기관에 소속된 20개 기관 공무원 등 1만여 명이 순차적으로 이곳에 둥지를 틀게 된다.
그러나 주변 아파트가 이제 막 분양을 마치고 공사를 시작한 터라 상당수 공무원들이 서울에서 KTX 등을 이용해 출퇴근하고 있다.
대전, 조치원 등 주변 지역에서 가까스로 원룸을 구해 2~3명이 집단생활을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1차 입주한 총리실 소속 공무원들에게 가장 시급한 건 뜻밖에도 `셔틀버스`였다.
정부가 내년 예산안에 세종시~수도권을 오가는 셔틀버스 운영 예산을 반영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세종시 셔틀버스 운영 여부는 세간의 화제가 됐다.
셔틀버스가 운영되면 입주기관 소속 공무원들이 세종시로 내려가려 하지 않고 서울과 수도권에 잔류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이다. 정부 스스로 세종시를 자족기능을 갖춘 행정중심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을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그러나 총리실 공무원들은 "현실을 전혀 모르고 명분만 내세운 논리"라며 격앙된 목소리를 표출하고 있었다.
한 고위공무원은 "셔틀버스는 주변 주거ㆍ교통 인프라가 사실상 제로인 상황에서 공무원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최소한의 조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공무원은 "셔틀버스를 항구적으로 운영하는 게 아니라 주변 주거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질 때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면 된다"며 "최소한 내년까지 월요일 출근, 금요일 퇴근 때 셔틀버스를 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머지 화~목요일은 수요조사를 해서 탄력적으로 운영하면 된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총리실 직원은 "최소한의 복지 차원에서 셔틀버스는 운행되는 게 맞다"며 "입주가 숙성 단계에 이르면 셔틀버스 이용객 수요도 자연스럽게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민 혈세를 써서 셔틀버스를 만들어주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는데 이건 최소한의 복지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호소했다.
암암리에 기승을 부리는 택시요금 폭리도 원룸 월세, KTX 출퇴근 비용 때문에 홀쭉해진 세종청사 입주 공무원들의 지갑에 시름을 더하고 있다. 공무원 B씨는 "세종정부청사 출근 첫날 청사에서 첫마을까지 택시를 탔는데 합의요금에 이른바 `콜비`까지 요구했다"며 "덕분에 4~5㎞를 이동하는 데 9000원 가까운 요금을 내야 했다"고 토로했다.
대전 노은지구, 청원 오송역 등에서 첫마을과 청사로 올 때 적용하는 `시계 외 할증` 요금도 골칫거리로 꼽혔다.
B씨 동료인 또 다른 공무원은 "오송역에서 불과 500m만 넘으면 바로 세종시로 시계가 바뀌면서 할증요금이 붙는다"며 "이로 인해 과도한 택시요금이 문제가 돼 각 지자체가 할증을 없애기로 했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시행이 안 되고 있다"고 전했다.
교통을 중심으로 최소한의 주변 여건마저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입주 공무원들의 분노는 지자체인 세종시로 향하고 있다. 공무원 C씨는 "단계별로 대규모의 공무원 이동이 이미 충분히 예정된 상황이었는데 세종시와 충북도가 제대로 준비한 게 거의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