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오늘 백분토론 이정우 교수님....

노란색기타 조회수 : 1,853
작성일 : 2012-10-24 02:55:22
이정우 교수의 명확한 경제정책 제시로 희망이 생깁니다.
각 캠프의 경제 브레인들 중 가장 명쾌하고 실질적인 내용을 언급했습니다.
부자증세, 복지 확대, 재벌개혁, 종부세의 기준강화 등 가장 용감한 발언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경제민주화라는 화두가 경제적 약자들의 증오와 저주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냐는 패널의 지적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너무 억울한 사람들이 많다고 하셨고, 
이는 감정적인 문제가 아니라 존재하는 현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취지의 말씀....
한 시민패널이 종부세 관철방안을 갖고 있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 질문하자, 
종부세는 효율적이고 공평한 세금으로 가장 훌륭한 세금인데
참여정부에서 세금폭탄이라는 등의 오명으로  왜곡되어 버렸다고...
그러나, 헌법재판소 결정에서 보듯이, 수많은 공격이 있었지만, 부부합산과세만을 제외하고는 여타의 종부세에 대한 공격이 근거가 없음이 이미 밝혀져 있고,
하여, 부부합산과세를 부부별산으로 바꾸고, 과세기준을 다시 정하는 방향으로 종부세를 강화할 것이라는 언급을 해주셨습니다.

문재인 캠프의 경제정책에 대해 간결하면서도 조리있게 설명해주셔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 말씀이 인상적이었어요.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는데, 하루라도 빨리 복지국가 건설과 양극화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우리에게 남아있는 기회는 많지 않고 시간이 별로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정치개혁도 중요하지만, 정권교체를 통한 경제민주화가 훨씬 더 시급하다는 생각이 들구요.
시간이 많지 않은 것 같아요. 
경제민주화가 되어야 경제성장도 이룰 수 있지 않을까요?


IP : 211.246.xxx.12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24 3:15 AM (155.230.xxx.35)

    밀린 일 하느라 이교수 꺼 놓쳤네....
    저도 그 분 팬.^^

  • 2. 복지에
    '12.10.24 3:20 AM (125.141.xxx.237)

    대한 인식에도 변화가 있어야겠지요. 나이 많으신 분들은 여전히 복지와 퍼주기를 동의어로 받아들이니까요.;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 복지 하다 나라 망한다, 수구 언론에 의해 이런 왜곡된 인식들이 뿌리 깊게 박혀 있어서 어른들한테 복지 이야기 잘못 꺼내면 역정부터.;;; 복지는 퍼주기가 아닌 또 하나의 성장과 소비의 동력, 이런 식으로 대국민 홍보 방송이라도 매일 때리든가 해야 할까요. ㅎㅎ
    정치 제대로 하려면 자기들 이권 보호에 방해되는 정책마다 발목 붙잡는 수구 언론부터 어떻게든 정신 차리게 만들어야 할텐데.; 언제까지고 수구 언론에 놀아날 수는 없잖아요.;

  • 3. 아요 못봐서 아깝네요.
    '12.10.24 4:57 AM (118.33.xxx.250)

    요약 잘해주셔서 감사해요

  • 4. 이정우 교수님
    '12.10.24 8:28 AM (221.154.xxx.181)

    참여정부 때 정책위에서 일하신 분이라 실무에도 밝으시고
    무엇보다도 올곧고 청념하신 분이시죠.
    존경하는 분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190 토익문제 한글버전으로 본다면? 1 토익시험만2.. 2012/10/30 1,275
172189 대기업 생산직및 현장관리직 연봉 많다고 부러워했는데.. 2 // 2012/10/30 5,064
172188 실파 빨리까는 요령이 있을까요...?ㅠ 9 파김치 2012/10/30 1,856
172187 (급질) 돼지갈비찜에 무 넣어도 되나요? 가장 빨리 하는 방법은.. 1 .. 2012/10/30 2,650
172186 기분 우울할때 어떻게 하시나요?? 1 sjy114.. 2012/10/30 1,374
172185 연애가 힘들어지면 직장생활도 힘들어져요 1 ㄴㅁ 2012/10/30 1,450
172184 상하지 않으면서 요기가 될 만한거 추천부탁드려요 3 요기 2012/10/30 1,432
172183 병원 어디를 가봐야 할까요? 2 .. 2012/10/30 1,017
172182 아는분 아드님이 수능 보는데 적절한 선물이 있을까요? 7 수능 2012/10/30 2,008
172181 작은 정부로의 회귀는 불가능할까요? ㅠㅠ 2012/10/30 883
172180 수능 앞둔 조카의 합격기원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2 합격 2012/10/30 1,437
172179 ss501 멤버 박정민 11살 연상 연인 폭로 파문. 28 ... 2012/10/30 18,411
172178 중학생 아이들 영어 어떻게 공부하고 있나요? 3 열혈맘 2012/10/30 2,117
172177 투표일이 공휴일인 유일한 나라 9 우리나라 2012/10/30 2,227
172176 요즘 이사비용 얼마나 드나요? 3 궁금 2012/10/30 1,970
172175 서울에 곶감걸이 파는 데 없을까요? 9 큰일났어요 2012/10/30 3,919
172174 팔부분이 레이스로 된 옷 길이수선 될까요? 3 파ㄹㄹ 2012/10/30 1,034
172173 냉동훈제연어 냉장실에 3일 먹어도 되나요..? 1 훈재연어 2012/10/30 1,342
172172 5살 아들치과치료 비용..바가지일까..궁금한데요 치과에서 일하시.. 4 충치 2012/10/30 2,505
172171 반지의제왕 프리퀼 영화 나온다는데 아세요? 3 규민마암 2012/10/30 1,212
172170 키자니아 내 음식점 뭐뭐 있어요? 4 질문 2012/10/30 1,431
172169 고구마 삶다가요~~~ 5 애공 2012/10/30 1,644
172168 ... 24 .. 2012/10/30 9,879
172167 뇌경색은 고혈압환자에게서 나타나나요? 5 ㄴㄴ 2012/10/30 2,755
172166 한강신도시 살기에 어떤가요? 9 한강신도시 2012/10/30 3,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