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 한국의 중산층 기준

생각해 봅니다 조회수 : 1,809
작성일 : 2012-10-20 22:33:52
◈ 한국의 중산층 기준(직장인 대상 설문 결과)
1. 부채 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소유
2. 월 급여 500만 원 이상
3. 자동차는 2,000 CC급 중형차 소유
4. 예금액 잔고 1 억 원 이상 보유
5. 해외여행 1년에 한차례 이상 다닐 것
 
◈프랑스의 중산층 기준
(퐁피두 대통령이 Qualite de vie ‘삶의 질’에서 정한 프랑스 중산층의 기준 )
1. 외국어를 하나 정도는 할 수 있어야 하고
2. 직접 즐기는 스포츠가 있어야 하고 (스포츠카 아님-.-;;)
3. 다룰 줄 아는 악기가 있어야 하며
4. 남들과는 다른 맛을 낼 수 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어야 하고
5. '공분'에 의연히 참여할 것
6. 약자를 도우며 봉사활동을 꾸준히 할 것
 
 
◈ 영국의 중산층 기준
(옥스포드 대학에서 제시한 중산층 기준 )
1. 페어플레이를 할 것
2.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질 것
3.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말 것
4.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할 것
5. 불의, 불평, 불법에 의연히 대처할 것
 
◈미국의 중산층 기준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의 기준 )
1.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고 
2. 사회적인 약자를 도와야 하며
3. 부정과 불법에 저항하는 것 
4. 그 외, 테이블 위에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비평지가 놓여있을 것.
IP : 175.119.xxx.20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조선시대의 중산층
    '12.10.20 11:24 PM (1.244.xxx.166)

    볕을 쬘수 있는 툇마루 한켠, 거문고 하나, 책 무더기,.... 음, 또 뭐였더라..
    아, 계절마다 입을 옷 두벌씩....
    아까 어디선가 읽은 내용이네요. 읽으면서 너무 멋지고 아름답다고 느꼈어요.

  • 2. Bㅎㅎ
    '12.10.21 12:47 AM (61.79.xxx.87)

    뭔가 프랑스까지는 경제적 능력과 연관이 있는것 같은데 그 밑으로는 지성인의 기준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3. ....
    '12.10.21 1:11 AM (122.34.xxx.15)

    한마디로 천박하네요

  • 4. ...
    '12.10.21 1:16 AM (78.225.xxx.51)

    조선 시대 책 한 무더기면 살아도 좀 사는 집이 아닙니다. 지금처럼 책이 흔한 시절이 아니라 중국서 넘어 온 책 한 권이 집 한 채 값 하던 시절이니 책 한 무더기면 대단한 집. .일제 시대까지도 그래요.

  • 5. 중산층 개념
    '12.10.21 1:35 AM (182.216.xxx.9)

    자체가 다르네요
    우리나라가 언제부터 이렇게 물질만능주의에 물들어 황폐화 되었는지 모를 일이네요
    OECD 가입국 중 자살율 1위가 괜히 1위가 아니네요

  • 6. 기준자체가..
    '12.10.21 2:37 AM (183.102.xxx.197)

    다른 외국들의 경우 중산층의 기준이 정립이 되어있다고 해야하나..
    뭔가 연구를 한듯한 필이 느껴지지만
    우리나라의 중산층 기준은 단순히 직장인 대상 설문조사가 고작이네요.

  • 7. 중산층
    '12.10.21 2:25 PM (121.170.xxx.74)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도 언젠가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6611 개표만 기다립니다. 3 츄파춥스 2012/12/19 617
196610 맥주 두캔 마시고 앉았어요 5 커피가좋아 2012/12/19 861
196609 광화문 보따리 풀고 올라이트 준비를.... 6 분당 아줌마.. 2012/12/19 1,353
196608 안철수로 단일화 됐어야 했다!!!!!!!!!!!!!!! 33 예견된 결과.. 2012/12/19 3,062
196607 누가 되든 전 행복하게 살 겁니다. 7 ~~ 2012/12/19 1,590
196606 아직 투표 못하신분들이 많으신가요?! .. 2012/12/19 654
196605 구미는 불산사고에도 끄떡 없네요? 16 .. 2012/12/19 1,925
196604 결국 1 멘붕 2012/12/19 806
196603 오차 범위내라면 아슬아슬 2012/12/19 582
196602 출구조사가 5시까지의 집계라는데 4 .. 2012/12/19 1,244
196601 나이 많은분들이 원망스럽다.... 11 슬프다..... 2012/12/19 1,590
196600 분당 탄천 일반인참관 신청하신분! 저도 같이 가면 안될까요 어디 2012/12/19 758
196599 부재자 투푶반영 된건가요 2 사탕별 2012/12/19 938
196598 인터넷 여론은 온라인 여론일뿐 ^^ 22 ... 2012/12/19 2,934
196597 틀려.. 방송3사 출.. 2012/12/19 1,428
196596 침착해야 합니다. 1 .... 2012/12/19 720
196595 예전에 김대중 노무현대통령 당선이 감격이었던 이유가, 그전엔 살.. 2 2012/12/19 1,576
196594 60대이상이 투표율이 엄청 강했고,거의 75%는 밀어준듯.. 1 ,, 2012/12/19 946
196593 지금 박빙인데요 혹시 출구조사 뒤엎어서 다른후보가 당선된적 .. 11 궁금금 2012/12/19 3,487
196592 정말 너무너무 화가납니다................ 13 tapas 2012/12/19 2,558
196591 정말 그지같이 당해봐야 하나요... 11 모서리 2012/12/19 1,787
196590 출구조사 발표때 박수치고 소리지르고 난리났네요. 7 강남부끄러워.. 2012/12/19 3,118
196589 지금 ytn 새눌당 대변인 나와서 히죽히죽 웃으면서 말하는데 왜.. 5 뭐지? 2012/12/19 2,751
196588 세대교체.. ... 2012/12/19 663
196587 6시 투표율은 왜 안나오죠? 8 투표율 2012/12/19 2,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