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중학교 수학 어느 정도 선행을 해야 하나요?

수학 어려워 조회수 : 3,453
작성일 : 2012-10-19 18:03:54

전교에서 공부를 잘하는 아이인데 수학 선행을 어느정도 해야 효과가 있을까요

어떤 선생님은 1년은 해야 효과가 있아고 하고 그래서 고2때 고3 수학까지 다 끝내야 한다고 하고 어떤 분은 6개월 이상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하는데 도대체 어느 말이 맞는 것인지 잘 모르겠어요

아무래도 애한테 선행을 많이 시키니 너무 힘들어 해서 좋은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IP : 118.218.xxx.22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kdl
    '12.10.19 6:11 PM (122.59.xxx.49)

    아이의 능력 만큼 선행 하시면 될것 같아요 아이가 욕심도 있고 의욕도 많다면 그냥 진도 전혀 상관없이 진도 쭉 빼시는것도 괜찮은것 같요 어차피 수학이란게 돌고 도는거고 선행이 결국 앞에 배운것 심화이기 때문에 능력이 되는 애들은 진도를 빼는 자체가 심화까지 해결 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 우리애는 능력은 빠지지 않는것 같은데 ( 엄마 콩깍지 눈으로는 ㅋㅋ) 의욕이 별로 없는 편이예요 본인이 재미를 느끼는 부분에만 집증하려들죠 엄마의 욕심으로 정확히 일년 선행하면서 심화 병행사는데 ..아이가 의욕이 있는 경우는 진도는 큰 의미가 없더라구요

  • 2. ..
    '12.10.19 6:19 PM (112.121.xxx.214)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까지 하면 되요.
    수학은 1학기엔 주로 대수를 2학기엔 기하와 통계를 배우기 때문에
    6개월 선행하면 내용이 서로 달라서 아이에게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는데
    1년 선행을 하면 선행의 내용이 현재 진도의 심화가 저절로 되서 부담이 적습니다.
    그런데 선행 한다면서 내신에서 90점 밑으로 점수 받으면 선행이 중요한게 아니고 내신에 중점 둬야 하고요..
    90점 이상은 유지를 해야 선행이 의미가 있는거죠.

  • 3. 고3엄마
    '12.10.19 6:33 PM (122.199.xxx.101)

    서울권외고 고3. 전교권이고,
    수능 수학 만점 혹은 만점 가깝게 나옵니다.
    고등학교 입학전에 10상,하 2번쯤 보고 갔습니다.
    진도 많이 뺀다고 잘하는 거 아니구요,
    특목고 전교전이라고 다 하고 오는 것도 아닙니다.

    이과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 4. 강두선
    '12.10.19 8:59 PM (222.117.xxx.114)

    이곳에 문의 하셔도 여러가지 답이 나오니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일듯 합니다.
    선행학습은 소신껏, 아이의 능력에 맞게 하는것이 좋을것입니다.

    저의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지나치게 많은 선행은 좋지 않다는 생각 입니다.
    설사 아이의 능력이 뛰어나 고등 전과정 선행을 할 능력이 있다 하여도
    공부의 흥미 면에서 그다지 바람직 하지 않을것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선행의 분량은 한 학기(6개월) 선행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수학과 관련하여 저의 아이 이야기 올린글 한번 참고 하세요. ^^

    http://www.82cook.com/entiz/read.php?num=1380818

  • 5. 수학
    '12.10.20 11:14 AM (118.218.xxx.227)

    여러 의견들 정말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477 아이러브커피라는 모바일 게임 중독 30 솜사탕226.. 2012/10/19 4,654
169476 헉할 패션을 봤어요. 4 헉 오늘 2012/10/19 3,566
169475 썬라이즈블럭 구입했는데,,,, ^^* 2012/10/19 2,642
169474 외모 때문에 왕따 성형후에 너무 예뻐졌네요(有) 25 ..... 2012/10/19 14,195
169473 그랜저랑 알페온중 어떤차 선택? 15 선택 2012/10/19 5,018
169472 서울대 담배녀 찌질하네요 44 ,,,, 2012/10/19 14,956
169471 와이파이전용 아이패드를 어디서 사는게 가장 좋은가요? 1 아이패드 2012/10/19 1,958
169470 어른들 오징어초무침 좋아하시나요? 이거 맛나게 하는 비법 좀 알.. 4 오징어 2012/10/19 3,118
169469 고1 혈압이 135/75면 병원에가야겠지요?? 9 로즈마리 2012/10/19 13,389
169468 꿈 해몽 4 2012/10/19 2,090
169467 아이가 욕을 한다면... 2 초등3 2012/10/19 1,454
169466 오원춘이 무기로 감형됐대요. 허 허~~ ... 2012/10/19 1,721
169465 박근혜, 스마트폰 '거꾸로' 든 이유는… 9 .. 2012/10/19 3,741
169464 짜파게티 맛있게 끓이는 방법 있나요? 16 ... 2012/10/19 5,496
169463 베스트글 ..새벽에 일어나 2 .. 2012/10/19 2,371
169462 빌라 재건축 3 르네 2012/10/19 3,757
169461 19금 ........ 4 반지 2012/10/19 4,379
169460 저한테 전혀 투자안하는 부모님 어떻게 생각하세요? 34 ... 2012/10/19 11,621
169459 립밤은 입술 보호제인가요 보습제인가요? 2 dd 2012/10/19 2,155
169458 네스프레소 웰컴팩&에어로치노 뭘 선택해야 할까요? 3 아날로그 2012/10/19 2,281
169457 한우 사태는 꼭 피를 빼야하나요? 그냥 삶아 먹으려구요. 3 사태 2012/10/19 1,891
169456 크림스파게티와 어울리는 음식 뭐가 있을까요? 8 놀러와 2012/10/19 15,850
169455 부모님모시고 다녀올만한 곳 추천 좀 해주세요 3 국내 2012/10/19 1,689
169454 시장에서 호박고구마를 사서 구웠는데... 4 2층집 2012/10/19 2,517
169453 성스 보신 분들~~~ 8 선덕선덕 2012/10/19 2,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