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겨레 대선주자 탐구]41평 아파트서 4년 전세 살고선…“집없는 설움 잘 안다”

탐구 조회수 : 1,417
작성일 : 2012-10-12 12:01:17
41평 아파트서 4년 전세 살고선…“집없는 설움 잘 안다”

등록 : 2012.10.11 20:40수정 : 2012.10.11 21:57


2012 대선주자 탐구|안철수 부동산
2000년 본인 명의 아파트 팔때도
2001년 부인 명의 아파트 살때도
시세 절반으로 ‘다운계약서’ 작성
“더 엄중한 잣대로 살것” 공식사과 

안철수 후보의 책 <안철수의 생각>에는 “아이 때문에 신세지는 것 외에 부모님께 손 벌리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오랫동안 전세살이를 해봐서 집없는 설움을 잘 안다”고 말하는 부분이 나온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안 후보의 부동산 취득·거래 내역을 보면, ‘부동산 투자’라고 말할 수는 있어도 ‘전세살이의 설움’을 말하기엔 민망한 수준이다.

안 후보는 자신이 결혼하던 해인 1988년 4월 사당동 재개발 지역의 대림아파트 25평형(약 82.5㎡)의 이른바 ‘딱지’(입주권)를 산 뒤 이듬해 12월 입주해 1993년까지 4년간 살았다. 당시 사당동은 서울 시내 재개발 구역 가운데 철거민들의 생존권 투쟁이 격렬했던 지역 중 한 곳이다.

안 후보 쪽은 사당동 아파트에 대해 “어머님이 결혼할 때 마련해준 것”이라고 설명했고, 안 후보의 아버지는 언론 인터뷰에서 “아들이 대학 내내 장학금을 받고 다녀, 학비를 모아둔 돈으로 집을 마련해 준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안 후보가 사당동 아파트 ‘딱지’를 살 때의 시세는 2800만~3000만원이었고, 2000년 10월 이 아파트를 처분할 때 시세는 1억5000만원선이었다. 안 후보는 당시 이 아파트를 팔 때 구청에 7000만원으로 신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공개적으로 사과했다.

안 후보는 1993년 강남구 역삼동 럭키아파트(34평형·112㎡)로 이사했는데, 이 집도 안 후보 어머니 소유였다. 부산에 살던 안 후보의 어머니는 재개발 지역인 서울 강남구 역삼 1구역 대지(397㎡) 가운데 3분의 1을 구입하는 ‘지분 쪼개기’로 조합원 자격을 얻어 이 아파트를 분양받았다. 분양받은 시기도 사당동 ‘딱지’ 아파트를 구입했던 시기와 똑같은 1988년 4월이었다. 안 후보가 서류상 이곳에서 1997년까지 4년간 산 것으로 파악됐다.

13 class="photo-view-area" style="font-size: 12px; font-family: 돋움, Dotum, Verdana, Arial, AppleGothic, sans-serif; color: rgb(102, 102, 102); line-height: 1.3; margin: 0px 0px 0px 25px; padding: 0px; border: 0px; border-spacing: 0px; border-collapse: collapse; ">
역삼동 럭키아파트 입주가 1993년부터였기 때문에, 안 후보는 결혼 이듬해인 1989년부터 8년동안 어머니가 재개발 지역에 투자해 마련한 새 아파트에서 차례로 산 셈이다. 사당동 아파트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안 후보가 증여세를 냈는지 여부에 대해 안 후보 쪽은 “오래된 일이어서 증여세 납부 등 매입 과정에 대해 정확한 확인이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안 후보가 그 뒤로도 직장이나 유학 등으로 여러 차례 이사를 했고 다른 사람의 집에 전세로 거주한 기간은 8년”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안 후보 가족이 이후로도 전세살이 설움을 겪었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안 후보는 이후 송파구 문정동 41평형(약 135㎡) 전세로 이사했고, 2001년엔 부인 김미경 교수 명의로 같은 단지 같은 평형의 아파트를 샀다. 김 교수는 실거래가 4억6000만원선인 이 아파트를 사면서 거래 가격을 2억5000만원으로 낮춘 다운계약서를 썼다. 안 후보는 지난달 27일 이에 대해 “앞으로 더 엄중한 잣대로 살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사과한 바 있다.

2008년 미국 유학에서 돌아온 안 후보 부부는 소유하고 있던 송파구 아파트(시가 11억원) 외에 전세를 2채 얻기도 했다. 카이스트 교수였던 부부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택에 살지 않고 학교로부터 1억원을 지원받아 전세금 3~4억원대 빌라(194.6m², 60평)에 살았고, 서울에는 여의도 주상복합아파트인 더샵아일랜드파크(전세금 약 5억1000만원)를 얻었다.

이밖에도 안 후보가 고등학생이던 17살 때 삼촌 안영길씨로부터 부산 시내의 농지 248㎡를 어머니와 각각 절반씩 나눠 증여받았으며, 같은 시기 할아버지 안호인씨에게서 부산시 수영구 남천동의 224㎡ 토지를 가족들과 함께 증여받았다. 또 대학 때인 1983년에는 99㎡(29평)짜리 2층 주택을 역시 가족들과 함께 증여받은 사실도 공개됐다. 안 후보 쪽은 이에 대해 “할아버지가 안 후보 이름으로 거래를 한 것으로 보이는데, 경위는 알 수 없지만 후보는 모르고 있던 일”이라고 해명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IP : 211.189.xxx.16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허참
    '12.10.12 12:22 PM (61.101.xxx.62)

    안 후보가 사당동 아파트 ‘딱지’를 살 때의 시세는 2800만~3000만원이었고, 2000년 10월 이 아파트를 처분할 때 시세는 1억5000만원선이었다.

    밝히면서 뒤에는
    사당동 아파트 매입과정에 증여세를 냈는지 거론한다는 자체가 세법의 ㅅ자는 커녕, 은행 거래만 해도 알수 있는정도의 일반적인 상식조차 없는 무식한 기자가 쓴 글이라는 생각이네요.

    거기다가 딱지를 3000만원에 사서 로또처럼 나중에 5배 뻥튀기해서 1억 5천만원에 판 줄아나봐요.
    그럼 재개발 지역 원주민들이 무슨 수를 써서라도 버티겠지 그걸 팔겠습니까?
    딱지 소유한 사람이나 산 사람도 아파트 건설사에 건설비 내야합니다. 근데 원주민들은 그 부담을 할 능력이 없으니 예전에 재개발 딱지를 팔도록 허용을 해줫어요. 당장 하루벌어서 사는 사람들이 어떻게 건설비를 냅니까?
    그런데 마치 3천만원짜리 사면 시세차익 1억 2천이 되는것 처럼 기사를 써놨는지. 정말 무지한 기자들도 많네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돌을 깨우져 줘야하는지.

  • 2. 탐구
    '12.10.12 12:44 PM (211.189.xxx.168)

    지금까지 보면 안후보의 부동산, 가족 관계에 대한 검증?은 이정도 인거 같아요.
    그시절 관행 이었죠.. 이부분에서 더 나올건 없을듯해요.

  • 3. ..
    '12.10.12 1:03 PM (121.162.xxx.111)

    탐구라 쓰고 알바라 읽는다.

  • 4. 근데 검증이라기엔 웃기죠?
    '12.10.12 3:21 PM (39.112.xxx.208)

    있는집 자식인데.....저 정도 누리고 사는게 뭐가 문제인가도 싶고요.

    오히려 재력이나 사회적 위치 생각하면 엄청 소탈하게 산듯 싶은데요..


    굳이 책을 잡자면 설움을 겪을 처지가 안되는 분이 안철수의 생각에서 전세사는 설움을 말했다는 거.. 근데...그걸 검증이라며 난리치기엔 새누리 더런 의원님들.......스스로 거울 좀 보고 살라는거죠.

    안철수엔 초정밀 현미경 지들은 알도 없는 안경.

    웃깁니다.

    . 밥에 돌이 나왔다고 똥을 먹으면 안되죠...근데 우린 여태 똥을 먹어왔고 그덕에 온몸에 똥독 올리있다는.....젠장.........ㅠ.ㅠ

  • 5. mi
    '12.10.12 8:05 PM (121.167.xxx.82)

    별 꺼리도 안되는걸 가지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696 어떤 책을 읽다보니, 우리나라만큼 시인이 많은 나라도 드물다고 .. 15 나의 여인숙.. 2012/11/06 3,136
173695 가볍게 세포기만 미리 담궜는데 벌레가 어찌나 많은지.. 1 ㅠㅠ 2012/11/06 1,158
173694 재밌는 미드 추천 좀 해주세요 :) 10 ... 2012/11/06 1,649
173693 대학원 대학교란 무슨 학교? 1 ... 2012/11/06 3,107
173692 아르마니 메베쓰는데요..촉촉한 메베 추천 부탁해요~아르마니 4 소리 2012/11/06 2,159
173691 “장물로 만든 정수장학회 공익법인으로 재탄생해야” 1 샬랄라 2012/11/06 658
173690 아이 현장학습 도시락 어떻게 싸줄까요? 2 ^^ 2012/11/06 925
173689 성대훌들이 오버하는건 있지만 이건 있는거같아요. ... 2012/11/06 801
173688 고추장 담그려고 견적 냈어요. 15 물가고민 2012/11/06 2,055
173687 피부과에서 20분 기다리다가 진상 부리고 왔어요 ㅠㅠ 7 왜그랬지 2012/11/06 4,769
173686 대원외고앞 이쁜이네 떡볶이 아시는분~~ 5 헤롱헤롱 2012/11/06 3,781
173685 이야기가 길어지면 좋은가여? .. 2012/11/06 798
173684 나이 31인데 벌써 새치가..ㅠㅠ 5 .. 2012/11/06 1,787
173683 아까 퀸센스 반값에 판다는 글 어디갔죠? 2 못찾겠어요... 2012/11/06 1,367
173682 1학년 국어 V한개짜리는 띄어쓰기 VV두개짜리 겹친건 뭐죠? 3 국어 2012/11/06 2,022
173681 미국에서 샐러드마스터 이미지 어떤가요? 2 미국에 계신.. 2012/11/06 7,766
173680 결혼해보니 여자손해네요 42 ㄴㄴ 2012/11/06 15,007
173679 날 추워지니 사고 싶은거 너무 많아요 5 따뜻하게 2012/11/06 2,926
173678 요즘 지방도 부동산매매 잘안되나요? 2 .. 2012/11/06 1,757
173677 맘마미아 에서도 나왔던 허니허니~~하며 부르는 팝제목이 뭘까요?.. 4 pop 2012/11/06 1,344
173676 중학생 학원가기전 저녁? 간식? 뭐 주세요? 5 나무 2012/11/06 3,286
173675 시어머니......제발. 102 며늘 2012/11/06 19,213
173674 떡볶기 맛있는집 추천좀 해주세요 21 떡볶기홀릭 2012/11/06 4,113
173673 커피 드시고 싶은신 분들 양스타222.. 2012/11/06 1,311
173672 박원순시장 일 정말 7 ... 2012/11/06 1,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