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국과 우리나라 도시의 충격적인 차이

도시 사진 조회수 : 4,679
작성일 : 2012-09-03 04:35:27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mbsIdx=1204636

 

19세기말~20세기 초  미국과 우리나라 도시 사진입니다. 

극과 극이네요.

한편으로는 지금 우리나라 엄청 발전한듯..

IP : 118.128.xxx.16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도시 사진
    '12.9.3 4:35 AM (118.128.xxx.163)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mbsIdx=1204636

  • 2. 건축
    '12.9.3 5:21 AM (112.72.xxx.77)

    19세기부터 건축에 철골구조가 적용이 되었습니다. 파리 에펠탑도 이때 등장하구요.

    철골구조는 건축물의 초고층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마천루 빌딩은 19세기말 시카고를 시작으로 해서 미국의 주요도시에 속속 등장하기 시작하죠.

    미국은 초고층 빌딩의 발상지입니다.

    1890년대 구미각국을 방문했던 청나라의 북양대신 이홍장은 유럽보다는 미국에서 큰 충격을 받았던 모양입니다.

    하늘높게 솟아오른 고층빌딩들 때문에요.

    당시에는 유럽에서도 고층빌딩이 없었죠.

  • 3. 건축
    '12.9.3 5:36 AM (112.72.xxx.77)

    기와집이나 초가집만 보다가 난생 처음으로 고층빌딩들이 즐비하게 들어선 도시를 보면 상당한 충격을 받을겁니다.

    거대건축물을 처음 접한 사람들에게는 위압감을 심어주기에 충분하죠.

    그리고 1차대전까지 영국의 파운드화가 기축통화의 지위를 유지했지만 이미 19세기말에 미국의 경제규모는 영국을 훨씬 능가했습니다.

    미국은 일단 영국이나 다른 유럽나라들과는 그 덩치부터가 차원이 다르죠.

    이러한 미국 번영의 상징이 마천루 빌딩인거 같아요.

  • 4. ㅠㅠ
    '12.9.3 7:16 AM (203.226.xxx.230)

    우리나라 진짜 짧은 시간에 엄청나게 발전한거 같아요

  • 5. ㅠㅠ
    '12.9.3 7:26 AM (203.226.xxx.230)

    그런데 링크 댓글보니 옜날에 우리나라 사신이 미국대통령한테 엎드려 큰절올린거 같은데 미국사람들 당황했을듯

  • 6. 발전의 정도보단
    '12.9.3 10:28 AM (211.219.xxx.103)

    과정을 중요시했다면 지금처럼 빈부격차가 심하지도
    소수를 위해 대다수가 들러리 서는 일도
    소외당하는 사람들이 많지도 않았을텐데..
    항상 그게 아쉽습니다..
    이래서 어떤 지도자를 뽑느냐가 중요한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029 게시판 글 수정 어떻게 해요? 1 .. 2012/10/17 794
167028 부모님의 죽음을 앞두고 4 ㄴㅁ 2012/10/17 3,846
167027 댓글대로 신고 준비할께요 감사합니다. 15 && 2012/10/17 3,375
167026 칼부림 사건 CCTV 영상 6 탐탐커피 2012/10/17 8,764
167025 딸이 저에게만 귤 속껍데기를 줬어요! 4 이.럴.수... 2012/10/17 2,014
167024 코스트코 인터넷쇼핑몰 어디가 좋나요? 3 붉은 감 2012/10/17 6,929
167023 오늘 내일 하느 홍시가 들왔느데 ... 보관법 하고 먹는방법좀 .. 4 횽아 2012/10/17 2,176
167022 불가리 옴니아 어메시스트 향수 쓰시는분 계시나요..? 7 향수 2012/10/17 1,922
167021 40대 여성 예쁜 바람막이 점퍼 추천 부탁드려요. 1 바람 2012/10/17 3,025
167020 아베크롬비 후드집업 싸이즈 4 궁금 2012/10/17 2,255
167019 세종시 강제 이주 당할거 같은데 여러분같으면 어떡하실지? 20 ... 2012/10/17 4,729
167018 초콜릿 중독 ㅠㅠ 10 ㅡㅡ;; 2012/10/17 2,159
167017 집안 초상났는데..출산축하하러 가는거 언제가나요? 5 형님 2012/10/17 1,676
167016 가방 수납 어떻게 하시나요? 11 하늘 2012/10/17 3,312
167015 누구 팬카페에 가입하셨나요?? 40 궁금 2012/10/17 2,172
167014 퀼트가 넘 배우고 싶은데 ㅜㅜ 9 퀼트퀼트 2012/10/17 2,304
167013 50평 아파트 샤시 금액 얼마나 나올까요? 5 효녀되자 2012/10/17 7,190
167012 과자이름 5 ㅇ.ㅇ 2012/10/17 1,353
167011 초등남자아이 한 철에 운동화 몇켤레 가지고 신나요? 3 ^^ 2012/10/17 1,598
167010 새누리 정문헌과 민주당사이의 녹취록 논란 깔끔 정리 9 참맛 2012/10/17 2,332
167009 토익 공부를 위해 공부 한다는 건.... 랄랄ㄹ랄라 2012/10/17 906
167008 꼭 윗 상사가 퇴근을 해야만 부하직원들도 그때 퇴근 해야 하나요.. 4 짜증나 2012/10/17 1,606
167007 친구생일선물 3 선물 2012/10/17 1,115
167006 해피트리 나무의 잎 상태 보시고 좀 알려주세요. 5 해피트리 2012/10/17 7,889
167005 토익을 위해 공부 한다는 건... 랄랄ㄹ랄라 2012/10/17 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