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민연금 주부님중에 들어놓으신분?

... 조회수 : 4,196
작성일 : 2012-08-21 09:30:44

저는 퇴사할때 국민연금을 받았어요.

그래서 연금이 없구요.

남편은 국민연금이 있고 따로 든 연금이 있어요...

혹시 집에 계신분중에서도 국민연금을 일부러 들어놓은분 계신가요?

아는 엄마도 주부인대 최저로 해서 들어놓았다고 하더라구요.

저는 우리가 연금 받을때면 고갈되네 하는 얘길 들어서 뭐 크게 생각지 않았거든요.

저도 들어놓는게 나을지 궁금하네요.

연금은 남편앞으로만 되어 있는대 혹시 나이들어서 남편이 먼저 가게 되면 그 연금은 안나오는건가요?

그러면 저도 들어놓는게 나을거 같기도 하고...

국민연금이 나을까요? 아니면 다른 보험사 연금이 나을까요?

당장 살기 힘든대 연금을 들려니 많이 부담되지만 노후도 걱정이 되네요...

수명도 연장되고 있는대 말이죠...

다른주부님들은 어떻게 하셨는지요???

IP : 221.139.xxx.99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8.21 9:39 AM (122.34.xxx.14)

    퇴사할때 국민연금을 받았다는 말씀이 무슨 말씀이신지요?
    저는 변액연금 10만원, 국민연금 최저로 임의가입해서 내고 있어요.

  • 2. 제니맘
    '12.8.21 9:44 AM (61.78.xxx.64)

    저도 주부인데..최대 금액으로 가입해 놓았어요~
    연령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좀 다르게 될거 같은데..
    전 일단 40대중반이라 희망을 가지고 붓고 있네요,
    직장생활을 하면서 12-3년을 가입했었고,,전업주부하면서도 프리랜서로 일을 하고 있기에
    일단 임의가입을 했습니다~

  • 3. ...
    '12.8.21 9:45 AM (221.139.xxx.99)

    제가 국민연금 가입자중에 퇴사하면서 희망하면 연금을 받을수 있는 상황이었거든요...그게 아마 15년 좀더 전인가 그래요...결혼하면서 퇴사하고 연금을 놔둬도 되고 받을수도 있고 그랬거든요...그얘기예요...

  • 4. 예전엔...
    '12.8.21 9:46 AM (125.128.xxx.115)

    저도 윗님처럼 퇴사할때 연금 받을수있었는데...
    신고를 한달 늦게 하는 바람에......못받았어요....ㅠㅠㅠ

    예전...벌써...15~20년쯤 전일까요?
    그때는 퇴사할때...부어놓았던 연금을 일시금으로 다 받았어요...
    국민연금이 의무화가 아닐때였던듯.....

    결혼과 동시에 남편이랑 합쳐지면서....아가씨들은 거의 받았지요~~

    그때는 600가까이 되는 돈을 못받아서 억울했는데
    지금 생각하면 잘된일이였던듯 해요..

    전...지난달에 보험사 연금 하나 들었어요

    제나이...40인데....15년동안....20만원씩 붓고
    65살부터.....60만원정도 나오는걸로요~~

  • 5. ...
    '12.8.21 9:48 AM (221.139.xxx.99)

    그리고 글중에 남편앞으로만 연금이 두개 있는대 남편이 먼저 가면 저는 연금 못받게 되는건지도 알고 싶어요^^ 그러면 저도 들어두는게 나을듯 해서요...

  • 6. 아녀요...
    '12.8.21 9:50 AM (125.128.xxx.115)

    남편앞으로 들어놓은것...
    저도 이번에 넣으면서 물어봤어요...보험사꺼...
    남편앞으로 들어놓은것은......남편이 먼저 가도 부인앞으로 나옵니다..
    이혼하면....말짱꽝이구요...

    이혼하게 되면....부부는 남남이라서.....아이들이 받을수있다고 하더군요..

    하여...
    전 남편앞으로 넣을까 하다가....혹시도 모를 일을 대비해서.....제이름으로 넣었다는.... ㅋㅋ ㅠㅠㅠㅠㅠ
    요즘 사이가 쫌 안좋아서...ㅠ.ㅠㅠ

  • 7. ㄱㄱㄱ
    '12.8.21 10:00 AM (203.226.xxx.52)

    윗님 15년동안 20만원 붓고 60만원 받는 보험사 상품은 어디껀지 여쭤봐도 될까요?저도 비슷한 연배라 귀가 번쩍입니다...알려주세요 연금상품이 다 저정도는 되는건가요?그럼 연금 붓는게 누구에게나 좋은거 아닌가요?

  • 8. Irene
    '12.8.21 10:19 AM (203.241.xxx.40)

    저 예전에 머니쇼 갔었다가 국민연금 설명회 들었었어요.
    원글님 질문에 간략히 설명드리면.
    국민연금은 고정금리로 불어납니다. 예를들어 그해 수익률이 +10프로여도 고정금리, -10프로여도 고정금리.
    국민연금은 10년이상 가입해야만 수령할수 있어요. 최저금액이 89,100원

    예를들어 남편과 아내 모두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경우.
    남편이 먼저 사망했을때 부인은 남편의 유족연금(원래 수령금액의 몇십%)과 본인의 연금수령 둘중에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내 국민연금 수령액보다 남편의 유족연금이 크다면 유족연금을 선택해야겠지요.
    그렇게 되면 내 국민연금은 소멸. 경우에 따라서는 아내는 낸 금액조차 다 못받을 수 있겠죠.
    남편분이랑 예상수명을 대략 계산하셔서 가입 고려하세요.

    그리고 국민연금공단에 대표전화로 전화해서 상담하세요.
    굉장히 친절하게 안내해줍니다.

    제가 강조해드리고 싶은부분은 국민연금 한번도 안낸분들은 꼭! 꼭! 꼭! 알아보셔서 1회라도 납부하세요.
    65세(연금 수령개시나이)가 됐을때 10년치 금액 한방에 납부해서 수령가능합니다. (상황이 어떻게될지 모르니까요.)

  • 9. 저..
    '12.8.21 10:19 AM (218.234.xxx.76)

    저도 한 15~17년 전에 퇴사 후 1년 지나 국민연금 찾았어요, (그 두에 다시 직장 다님)
    국민연금공단에서 예전에 수령해간 돈 다시 넣으면 더 많은 연금 받을 수 있다고 안내해주던데요.
    (직장 쉴 때의 기간까지도 넣으면 더 좋다나..)

  • 10. 공주
    '12.8.21 10:22 AM (114.207.xxx.108)

    국민연금이 젤로 좋다는데 변액이니 개인연금을 왜 따로 가입하나요?그 돈을 국민연금 액수를 올려서 내는것이 낫지 않나요?

    저는 뭐라해도 보험회사에서 하는것 보다 국민연금이 훨씬 낫다고 생각해요.

  • 11. Irene
    '12.8.21 10:28 AM (203.241.xxx.40)

    이어서 조금만 더 붙일께요~!!
    저는 저희 엄마(60년생) 국민연금 최저금액으로 가입해드렸어요.수령액이 현재가치로 17만원인가밖에 안되더라고요. 적은금액이지만 만에하나.. 혹시나.. 하는마음으로 들어드렸어요. 나중에 별일 없더라도 그때가서 이돈으로 장이라도 보시던가 군것질거리라도 사드시라고 할 요량으로요.

    저희는 아빠가 먼저 사망하게 될때는 유족연금을 선택하는게 유리해요. 하지만 엄마가 6년정도만 연금 수령하시면 낸돈이랑 받게되는 돈이랑 비슷해져서요. 지금 내는돈 없는셈치고 납부하고 있어요.

  • 12. ...
    '12.8.21 10:42 AM (183.98.xxx.10)

    직장 다닐때 10년 아주 살짝 넘게 가입했던 것에 일년 쯤 전부터 임의가입으로 연결해서 돈 내고 있어요. 저는 십만원 정도 되게 해놨고 금액을 올리면 더 많이 받을 수 있겠지만 고갈된다는 소리가 자꾸 나와서 망설이는 중입니다.

  • 13. 포도와사과
    '12.8.21 11:02 AM (210.99.xxx.34)

    제가 그나마 엄마한테 효도 한건 국민연금 넣으드린겁니다.
    엄마가 67세신데... 97,8년도 쯤에 국민연금 의무화 될때 가입하셨더라구요..자발(?)적으로.. 그래도 믿을데는 나라 밖에 없다고(그 당시 의심많은 동네 아줌마들이 말리고 그랬대요 ㅎㅎ)
    엄마가 납부하고 계시다가 취직하고 금액올려 7년정도 납부해드렸는데.. 그게 효녀노릇 합니다.
    큰돈은 아니지만 매달 20만원 정도 나오니 용돈삼아.. , 죽을때 까지 나온다 하니 든든해 하십니다.

    별 도움 안되는 예지만.. 참고 하세요

  • 14. 저는요
    '12.8.21 11:04 AM (116.37.xxx.141)

    퇴사할때 찾았응데요
    작년에 다시 살렸어요

    간혹 국민연금에서 투자 잘못해도 어찌 돼었다는 뉴스에 걱정 되시죠?
    근데 돈 번 뉴스는 않나오더라구요.

  • 15. 세금
    '12.8.21 11:43 AM (121.151.xxx.247)

    세금땜에 남편앞으로만 개인연금 드는분있는데
    이혼하면 말짱 황입니다.
    절대 개인연금은 부부 둘이 따로 따로 넣으시구요.
    국민연금 그래도 우리까진 작더라도 받을수 있으니
    조금이라도 넣어두는게 좋을듯해요.

    남편이 받더라도 남편 죽으면 남편연금 60-70%인가.. 와 내 연금중에서 많은거 택할수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남편이 공무원연금이면 둘다 받을수있다고 들었는데..

  • 16. 블루
    '12.8.21 2:04 PM (219.240.xxx.173)

    40중후반인데 지난달 최저로 89100원 가입했어요.
    10년 납입하고 만64세부터인가 낸돈의 2배정도 162000원정도인가 나온데요.
    한5년간만 돌려받으면 원금은 다 돌려받겠더군요.
    그럼 대략 70세이후부터는 공짜돈이라고 보면 되요.

    남편이 일찍 죽으면 남편의 유족연금이 내가 받는 연금보다 많으니까
    내것을 포기해야 하지만.
    사람 죽고 사는것을 어떻게 알겠어요

  • 17. 대박공주맘
    '12.8.21 3:37 PM (1.241.xxx.29)

    국민연금 건강보험 다 나와요

  • 18. 남편사망시
    '12.8.21 3:48 PM (125.187.xxx.84)

    본인의 연금을 선택한다면, 추가로 남편의 유족연금 20%를 받을수 있어요.
    무조건 사라지는건 아닙니다.

    그니까, 유족연금의 20% + 내연금과 오롯이 남편의 유족연금중 큰 금액을 선택하는 것!!!

    대신 부부모두 생존시 연금이 두배니까, 건강관리하시면서 연금도 대비해 두는게 낫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129 부산 자궁근종 수술 병원요~ 4 알려주세요 2012/11/08 3,788
176128 이런말투 쓰는 동네엄마 5 조언좀 2012/11/08 3,572
176127 양가죽자켓 얼룩... 지우는데 얼마나 들까요..? 1 -_- 2012/11/08 1,921
176126 새언니 생일 선물, 무엇이 좋을까요? 2 착한 시누이.. 2012/11/08 3,037
176125 법인회사에서의 지출이 많으면 좋은건가요? 5 스노피 2012/11/08 1,528
176124 쇼퍼백 추천해주세요 3 가방 2012/11/08 2,011
176123 제빵 고수님들, 이렇게 되는 원인이 뭘까요? 4 베이킹 2012/11/08 1,582
176122 이런건 어떻게 포장을해야 예쁠까요~~~ 3 아이구 2012/11/08 771
176121 김치...답좀 알려주세요!! 13 짜증! 2012/11/08 2,226
176120 흠있는 과일이면 먼저 말을 하고 판매하셨으면 해요.. 3 82장터 2012/11/08 1,774
176119 조관우 살 너무 빠졌네요. 1 .. 2012/11/08 1,501
176118 철지난 질문이지만요, 솔직히 SES가 핑클보다 인기많지않았나요?.. 31 두더지 2012/11/08 5,541
176117 밥이 너무 맛있어요. 8 밥맛 잃는 .. 2012/11/08 2,198
176116 김장때 무생채를 따로하면 소금에 절이나요? 1 김장 2012/11/08 1,408
176115 건성인데, 요 크림 좋은듯요~ 2 크림 2012/11/08 1,672
176114 캐릭캐릭 체인지 알 파는곳 아시는분~ 1 오로라리 2012/11/08 1,174
176113 “박근혜 후보, MB정부 최대 상속녀” 샬랄라 2012/11/08 864
176112 찌게 끓이다가 실수로 애호박을 씻지않고 그대로 썰어 넣었는데 8 슬퍼요 2012/11/08 3,532
176111 엄지발톱이 곧 빠질거라는데요 6 회복기간 2012/11/08 3,334
176110 늑대소년 이야기 + 영화관에서 눈물 다들 흘리시나요?ㅠ 7 다들 2012/11/08 2,789
176109 블러그에 하루 몇 번 방문했는지까지 알 수 있나요 ? 2 ....... 2012/11/08 1,446
176108 200만원이 경계인 거 같아요 2 200만원 2012/11/08 3,043
176107 고추장 담그려고 검색하니 메주가루 양이 천차만별이네요. 3 메주가루? 2012/11/08 1,727
176106 자전거도 아니고 스쿠터도 아닌 그 물건의 이름이 뭘까요? 5 신기한게너무.. 2012/11/08 1,206
176105 아이허브에 y.s프로폴리스요 2012/11/08 1,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