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남권 어민들은 독도를 팔아먹으면서 이권을 챙기려 하면 안됩니다.

알자 조회수 : 732
작성일 : 2012-08-20 21:54:29

현명한 분노 표출법


한창 논란이 되고 있는 한·일 어업협정 하면 기자의 머리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버르장머리’ 발언이다.

1995년 11월 당시 김영삼 대통령은 장쩌민(江澤民)중국국가주석과 정상회담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일본의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고 말했다. 지금처럼 독도를 둘러싸고 한·일간 감정이 고조된 상태에서 그야말로 ‘감정 그대로의 표출’이었다.

일본이 1965년 체결된 한일어업협정의 ‘일방적 종료’를 통보해온 것은 그로부터 약 2년2개월 후인 1998년1월이다. 이 두 사건 사이의 인과관계는 국내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다. 당시 외무부 출입기자로서 ‘버르장머리’ 발언부터 어업협정 파기까지의 과정을 생생히 지켜봤던 기자 역시 두 사건의 인과관계에까지는 미처 생각이 이르지 못했다. 그런데 그로부터 몇 개월 후, 한·일간 어업협상에 깊숙이 관여했던 한 정부당국자로부터 사석에서 충격적인 고백을 들었다.

“YS의 그 발언 때문에 우리가 얼마나 애먹었는지 압니까.” 이 당국자는 일본의 어업협정 파기가 치밀하게 계획된 수순이며, YS발언에 대한 ‘보복’이었다고 단언했다. 그의 이런 판단이 충분한 근거를 갖는 것임은 그 후 주일특파원 시절 일본 정부관계자들을 취재하는 과정에서도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버르장머리’ 발언 자체에 대한 일본의 반응은 그리 크지 않았다. 한·일간 갈등이 수면위로 떠오른 것은 그로부터 약 1년반 뒤, 일본이 이른바 ‘직선영해기선’을 적용, 한국 어선들을 나포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이에 앞서 일본은 1994년 발효된 유엔해양법협약에 근거해 근해의 작은 섬들을 직선으로 연결, 영해기선을 새롭게 설정하고, 1997년 1월1일을 기해 시행에 들어갔다. 착실히 명분을 축적해온 것이다. YS 발언 직후부터 수면 밑에서 어업문제 쪽으로 한국정부에 대한 압박의 강도를 꾸준히 높여왔던 것으로 보인다.

1997년5월 당시 유종하 외무장관은 미국방문 길에 수행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어업문제에 대한 일본의 요구가 더 이상은 버티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러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1998년9월 최종 마무리된 한·일간 신어업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은 이런 상황에서 시작됐다. 새 유엔해양법조약에 따른 양국간 배타적경제수역(EEZ) 경계획정 문제가 맞물려 기본적으로 복잡한 구조인데다, 한국으로서는 나포된 선박과 선원 처리에 있어서 ‘명분’까지 확보해야 하는 힘든 상황이었다. 칼자루를 쥔 쪽은 명백히 일본이었고, 한국은 “한·일간 어업문제의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논리로 맞서는 것이 고작이었다.

YS정권은 결국 97년10월 일본측이 제시한 ‘잠정공동수역안’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같이 판을 깰 경우 우리 어민들이 입게 될 경제적 손실이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독도영유권 훼손이라고 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 ‘공동수역’은 이렇게 탄생했다. 한·일 어업협정은 DJ정권에서 최종 타결됐지만 문제의 조항을 수용한 것은 YS정권이었다. 일본의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기는 커녕 거꾸로 당하기만 한 셈이다.

최근 독도문제가 다시 불거진 이후 일각에서 한·일 어업협정을 파기하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지에 대해 아무런 대안제시가 없다. 결국 또 한번의 ‘버르장머리’ 발언이 되지는 않을까.

불의를 보고 분노하고, 또 그것을 표출하는 것은 정당하다. 하지만 분노 표출은 상대가 두려워하고 아파할 때 비로소 의미가 있다. 상대가 이해할 수 없는 분노, 상대의 더 큰 반발심을 부르는 분노는 드러내지 않느니만 못하다. 한번 표출되는 분노는 무게가 있어야 하며,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돼야 한다.

[[이병선 / 국제부장]] leesun@munhwa.c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1&aid=000...


IP : 175.201.xxx.98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알자
    '12.8.20 10:07 PM (175.201.xxx.9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1&aid=000...

    이 세상은 참 오묘해요.
    특히 한국은 더 말입니다.

    자칭 보수들의 유일신 김대중은 모든것의 중심에서 비난받고 욕먹고 이득 챙기는 세력들은 따로있고.

    독도가 중간역에 합의된 것은 깅영삼 정부때인 1997년 10월 합의 되었고.
    독도가 중간수역에 들어간 원인은 경상도 어민들의 이권이 걸린 대화퇴 황금어장을 확보하기 위해서 합의해준것 같은데.

    이것 김영삼 정부 합의된 초안위에서 후임 김대중 정부는 어종 쿼터 조정해서 신한일어업협정 비준을 1999년에 국회에서 받았는데.
    그당시 국회 과반수 다수당은 새누리당.
    1996년~2000년, 신한국당 139석 새정치국민회의 79석 자민련 50석

    결국 영남권 어민들 이권 챙기려고 독도 중간수역으로 내줘놓고 욕은 김대중에게 해대는데,
    그렇기에 신한일어업협정 절대 파기하지도 않는 것이고.

    또한 김대중 정부가 신한일어업협정 문서만들때 문구에다 신한일어업협정은 영토권과 관계없다고 못밖아 놨기에 영토권과 관계 없다는것을 알면서도 김대중 비난하기 위해서 독도 팔아먹었다고 떠드는데.

    신 한일어업협정 파기해야 합니다.

    어찌되었던 김대중 그 미치광이 영감이 독도 팔아먹었다니까.. 신한일어업협정 파기하고 독도 되찾읍시다.
    영남권 어민들이 이권 포기하면 됩니다.

    영남권 어민들은 독도를 팔아먹으면서 이권을 챙기려 하면 안됩니다.

  • 2. 관심
    '12.8.20 10:32 PM (61.81.xxx.14)

    김대중 전대통령을 보수들의 신이 될 뿐만 아니라 야권 특히 노무현 추종자들에게도 신이죠.

    꼭 민주당의 양보나 지들에게 유리한 양보를 얻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이름은 되지만, 김대중씨의 탈상 3년 기념일에도 추호의 관심도 나타내지 않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3253 영업하시는 분들 인터넷 홍보(파워링크..등)하시면 훨씬 잘되나요.. 4 ... 2012/08/24 719
143252 바보만들기 느림보의하루.. 2012/08/24 665
143251 오늘 밤 [85만 돌파] 합시다. 18대 대통령후보선출 민주당 .. 1 사월의눈동자.. 2012/08/24 789
143250 얘 또 나타났네 5 -_- 2012/08/24 1,397
143249 열받아 죽을뻔 했어요. 자식 친구관계 문제예요. 시시때때로 자식.. 5 초2 2012/08/24 2,718
143248 애플이 독도를 다케시마로 기재한것도 몰랐음???? 2 ㅋㅋㅋ 2012/08/24 743
143247 이제 일반폰은 효도폰뿐 인가요? 3 스맛폰시러 2012/08/24 1,119
143246 전 은둔형 외톨이의 엄마 찬양 ^^ 1 .. 2012/08/24 2,089
143245 혹시 옵티머스 lte 태그 써보신 분 계신가요??? 2 옵옵 2012/08/24 712
143244 냉면육수의 비밀- 2탄 3 방송 2012/08/24 3,449
143243 여자들은 상당히 미국에 호의적이네요 9 ㄷㄷㄷ 2012/08/24 1,539
143242 제 생일... 4 오늘 2012/08/24 784
143241 영화 아저씨의 소미엄마로 나온분 놀랬어요. 함 보고... 4 오우 2012/08/24 7,324
143240 또 한번 드라마속 주인공에 빠질라해요 4 은오야~ 2012/08/24 1,767
143239 [장준하]이털남 김종배 162회-'유골이 말한다' [장준하님, .. 사월의눈동자.. 2012/08/24 605
143238 경주 콘도 추천 좀 해주세요 2 온돌호텔??.. 2012/08/24 1,556
143237 인천, 서울 근교분들 가르쳐주세요 9 가는길 2012/08/24 1,069
143236 1년 집 비워두면 집 망가지나요. 1년 주재원 가는데요 10 배관 2012/08/24 7,602
143235 대치해법수학 어떤가요? 2 궁금이 2012/08/24 4,608
143234 박종우선수에 대한 국회청문회(속이 시원 합니다!!) 그랜드 2012/08/24 1,044
143233 살면서 욕실수리 해보신분..기간을 얼마나, 그 동안 욕실 사용은.. 1 ... 2012/08/24 2,874
143232 미국인의 아이폰 사랑은 애국심때문이죠 19 ㅎㅎ 2012/08/24 2,160
143231 태풍 볼라벤,, 2003년 매미급이라네요 7 방울방울 2012/08/24 2,769
143230 (급질)파스타에 화이트 와인...스파클링 넣어도 되나요? 2 파스타 2012/08/24 1,047
143229 애기 엄마들 장마중에 애기랑 뭐하며 놀아주세요? 1 장마 2012/08/24 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