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식과 남편땜에 속썩는 분들에게

좋은 방법 조회수 : 2,355
작성일 : 2012-08-14 08:39:07

내지르세요.

뭐하러 참고 삽니까.

참아봐야 힘든거 안알아줍니다.

그게 당연한 줄 압니다.

맨날 먹을꺼나 양껏 먹고 방안에서 게임만 하는 아이,

그 아이를 위해서라도 그냥 두면 안됩니다.

비만과 정신적 피폐,

눈나빠지고 한마디로 아이의 미래는 없는거죠.

아이방의 컴퓨터를 없애버리세요.

아침 저녁으로 무조건 밖에 나가서 한시간씩 걷기운동하라하고

먹을껏도 양껏 먹게 쟁여놓지 마시고

딱 적정양만큼 밥해서 반찬외 다른 음식은 사다나르지 마세요.

라면박스도 치워버리고요.

앉혀놓고 한마디 조용히, 따끔하게 하세요.

난 도저히 이 상태로는 못살겠다.

니가 알아서 밥해먹고 청소하고 살아라,

나도 손 놓고 싶다고.

일상을 유지시켜주는 힘이 엄마의 노동인줄 아예 몰라서 그러나본데

의사소통이 필요합니다.

 

참는것만이 능사가 아니고, 의사소통을 잘해야 상대도 그제야 이해하게 됩니다.

아니면 그냥 자기입장만 생각하죠.

직장도 그렇고

가정내 가족이라도

의사소통을 잘하고 살아야합니다.

 

 

IP : 121.165.xxx.55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75.198.***.166. 님이 아무리 악플러지만
    '12.8.14 8:48 AM (121.165.xxx.55)

    너무 얼토당토않은 악플은
    반감만 불러일으킨다는거 명심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2024 아마 이렇게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4 재벌들은 2012/08/14 1,659
142023 주부습진(손)에 좋은 약이나 연고 추천해 주세요 2 맘이아픈 2012/08/14 5,854
142022 이것은 1 82cook.. 2012/08/14 1,148
142021 최고의 노후대책은 돈을 모아두는게 아니라.. 7 ... 2012/08/14 6,137
142020 조카가 올라와요 5 서울구경 2012/08/14 2,090
142019 전기세 1 ㅠㅠ 2012/08/14 1,370
142018 (급) 남자 선글라스 추천드려요 (면세점) ㅠㅠ 3 갸루 2012/08/14 3,750
142017 안녕하세요 보셨어요? 남동생 중요부위도 터치하는? 13 어제 2012/08/14 4,706
142016 미국가면서 친구한테 갖다 줄껀데, 혹시 반입금지 품목 있는지 좀.. 7 뉴욕 2012/08/14 9,009
142015 말려주세요... 8 곰녀 2012/08/14 2,111
142014 추석연휴에 제주도 배타고 가면 어떨까요? 1 제주여행 2012/08/14 1,360
142013 길에서 어떤 여자가 카라멜색 가방을 들고 있었는데 10 뭘까 2012/08/14 4,816
142012 8월 14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08/14 1,164
142011 이번주 주말에 여수여행 !! ^^ 상콤호야 2012/08/14 1,212
142010 코스트코에 2 코스트코 2012/08/14 1,641
142009 녹조가 국민건강을 위협해도, MBC는 MB편 1 yjsdm 2012/08/14 1,095
142008 여행 답사기에 관한 책 추천해주세요 3 추천 2012/08/14 1,143
142007 오랜만에 올훼스의 창이라는 만화책을 다시 읽었는데요.. 4 올훼스의 창.. 2012/08/14 2,139
142006 질문?? 기름종이?? 2 .. 2012/08/14 1,264
142005 흰설탕하고 황설탕하고 어떤게 좋은건가요? 9 몰라요 2012/08/14 7,665
142004 4-50대 중년의 남자가 읽어보면 좋을 책 8 마누 2012/08/14 2,811
142003 나는 딴따라다 3 가을을 꿈꾸.. 2012/08/14 1,424
142002 갱년기에 좋다면서 1 50대 아짐.. 2012/08/14 2,519
142001 던 이란 광고 이젠 재밌네요.. 3 .. 2012/08/14 1,379
142000 박사과정 공부는 창의력도 중요하지 않나요? 8 콩나물 2012/08/14 2,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