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여름엔 냉방하고 겨울엔 난방하는게 당연한거 아닐까요?

.... 조회수 : 2,814
작성일 : 2012-08-01 17:44:48

 이런 폭염에 에어콘 있어도 안틀고 참으시는 분들은

무슨..환경에 대한 소신이 있으신건지 궁금합니다.

 

겨울에 추우면 난방들 하시잖아요??

11월부터 최소 3월까지는..

 

여름은 그것보단 짧을껄요?

 

그리구요..

에어콘 실내온도 28정도로 맞춰놓고 바람세기 약하게 해놓고...

어느정도 실내가 시원해졌으면 제습으로 돌려놓으면

전기요금 그렇게 많이 안나와요.

요새껀 에너지등급도 높아져서 더 괜찮지 않을까 싶은데요..

 

요령있게 쓰시면 되는데 정말 폭탄맞을까봐 더워도 참는 분들 계신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저희집 24평 투인원 쓰는데요.

낮엔 아이와 거실에서..밤엔 벽걸이 살짝씩 한달쓰면 전기요금이 한달에 10만원도 안나와요.

낮에 오래돌려요. 거의 집에 있어서..

 

작년은 비가오고 그리덥지 않아서 작년은 아니고 재작년 기준이었습니다.^^

 

IP : 220.82.xxx.154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8.1 5:45 PM (123.142.xxx.251)

    제습으로만 해놓아도 참을만합니다..

  • 2. 그러게요
    '12.8.1 5:51 PM (223.62.xxx.15)

    근데 이상하게 난방보다 냉방을 미친듯이 아끼게 되네요.
    하지만! 내일부터 저도 안아끼려고요.
    날이 살인적으로 더우니 짜증만땅이어서 애들한테 툭하면 버럭질하는 엄마가 되고있네요. 미련 그만떨고 좀 사람답게 살렵니다~

  • 3. ....
    '12.8.1 5:55 PM (112.121.xxx.214)

    난방이야 안하면 얼어죽고....옛날옛날부터 한거지만
    에어컨은 보급된지 얼마 안됬잖아요...얼나마 됬죠??
    넉넉잡아 이십년 전만해도 다들 에어컨 없이 여름 낫으니까요....

  • 4. ..
    '12.8.1 6:01 PM (110.13.xxx.111)

    냉방병때문에 에어컨 바람이 싫어요.
    작년까지는 선풍기도 안돌렸는데
    올핸 선풍기는 돌리고 사네요.
    안움직이면 안더워요.
    제가 워낙 곰탱이인지. 모든 일은 오전일찍 혹은 오후 늦게 하고 낮은 그냥 가만히 있어요.ㅡㅡ;;
    다들 뭔 사정이 있겠죠.

  • 5. 그게요~
    '12.8.1 6:04 PM (121.130.xxx.99)

    전기세때문만이 아니라....
    냉매땜에 지그온난화의 주범이래나,뭐래나...
    여튼 온난화가 넘 급격하게 진행이되니,
    걱정스러워서 못 트는분들도 많을듯해요.
    정말 밥 굶어도 꽝꽝 틀고 싶을때 많아도,좀 참다가...
    온가족 모이면 살짝살짝 틀어요.

  • 6. ..
    '12.8.1 6:23 PM (220.85.xxx.38)

    그게 냉방의 효과가 너무 극적이라서 전기료가 디게 많이 나올거 같은 거예요

    예전부터 더위 피하는 건 물놀이 그늘 부채..
    이 정도였지만
    추위는 장작을 피웠던..

    그 차이 때문일거 같애요

  • 7. 나이들면
    '12.8.1 6:30 PM (121.147.xxx.151)

    몸이 자연을 좋아해서 그래요.

    자연풍>> 차라리 부채>>>>>>>선풍기>>>>>>>>>>>>에어컨

    물론 에어컨 틀면 시원하고 좋지요만

    하루 이틀도 아니고 몸이 수습 못할 지경으로 안아픈데가 없게 되더군요.

    두통은 필수 손 발 저리고 어깨 쑤시고

    60년 몸을 수고롭게 쓰다 보니 참 그래도 고장이 이만한게 다행이다 싶지만

    잠시만 소파에 앉아도 허리가 아파지고 다리 붓고

    그렇다고 누워 있는 걸 아직은 허용하고 싶지않은 자존심은 있고

    세척기 안쓰면 두 부부 먹은 설겆이 그릇도 좀 무거우면 손목이 시큰 할 적도 있고

    갑작스레 스트레칭 한 방에 손목이 삐긋하기도 하고

    무릎도 어째 시큰 뻐근 살짝 아픈 듯하고

    헌데 에어컨에 하루 종일 몸을 맡기게 되면 대책이 없죠.

    나이들 수록 음식도 자연에 가까운 걸 찾고

    모든 입는 것 덮는 것도 자연친화적인 걸 찾게 되서 그래요.

    또 저녁에는 가족들이 하루 종일 에어컨에 노출되 있으니

    집에서까지 에어컨 틀기를 원치않더군요.


    다행이 이만큼의 더위를 선풍기와 시원한 목수건으로 잘 버텨주는 몸이

    전 고맙고 또 고맙네요^^

  • 8.
    '12.8.1 6:44 PM (111.118.xxx.57)

    난방도 냉방도 어느 정도는 습관인 듯 싶어요.

    찬바람 돌기 시작하면 바로 난방 시작하는 집 사람들은 겨울에 조금만 추워도 견디지를 못하잖아요.

    냉방은 더 그런 경향이 심하죠.
    일찍부터 에어컨 종일 가동하는 집 사람들은 일단 더운 것도 더운 거지만, 습한 걸 참기 힘들어 하더군요.
    그러니, 일단 냉방 시작하면 종일이다시피 돌리게 되더군요.

    물론, 집안 온도 삼십몇도를 상회하면 더워서 능률 떨어지는 것보다는 낫고...
    유달리 열 많고 피부 약해서 땀띠 나는 아기 있는 집 등에서는 당연히 에어컨 사용해야 겠지만...

    저희 집같이 맞바람 잘 통하고 어른들만 있는 집은 굳이 에어컨 안 틀고 선풍기만으로도 지낼만 하네요.

  • 9. 저랑
    '12.8.1 7:37 PM (110.12.xxx.230)

    생각이 반대세요.
    저는 겨울엔 좀 춥게 겨울엔 좀 덥게 지내려고 해요.
    그게 자연스러운것 같아요.
    물론 겨울엔 보일러 틀고 여름엔 선풍기를 두대나 돌리지만
    겨울엔 실내에서 가디건 하나정도 입을정도로 여름엔 움직이면 땀이좀 날정도로 지내요.
    지구가 좀 걱정되기도 하고요.

  • 10. ...
    '12.8.1 7:49 PM (121.162.xxx.31)

    밖에서 이 더위에 일하는 사람들도 있는데...요즘 같은데 젊은애들이 가장 하기 싫어하는 알바를 인형탈쓰는걸로 꼽더군요. 그게 아니더라도 밖에서 그 뙤약볕에서 일하시는 분들 많잖아요. 그에 반해 저같은 사람은 실내에서 걍 특별히 그보다 더 중요한 일 하는 것도 아닌데...이렇게 컴도 하고 있는 시간도 있고..죄송해서 에어컨 못틀겠에요. 지구 온난화 이런 것은 전혀 안중에도 없구요.
    울아들은 이런 저의 생각에 멀리 있는 사람 생각만 하지 말고 옆에 있는 자기가 불쌍한 사람이니 에어컨 좀 틀자네요. ㅎㅎㅎ

  • 11. 전기요금이
    '12.8.1 11:01 PM (203.226.xxx.154)

    무서운게 아니라 환경에도 좋고 내 몸에도 어느 정도 계절에 맞게 맞춰주는게 더 좋으니까 여름이 냉방 자제하고 겨울에 난방 자제 합니다. 겨울에도 난방 얼어죽지 않을 정도로 최소만 해요. 누가 몰라서 돈 아끼겠다고 안하나요. 나름 나혼자만이라도...라는 신념이니 냅둬 주세요.

  • 12. 블루
    '12.8.2 10:21 AM (219.240.xxx.173)

    전기세 생각보다 많이 안나와요. 하루이틀 먹거리만 참아도 되고,, 하루이틀 외출 안해도 한달 에어컨 전기세 충분히 감당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2142 9월 11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2/09/11 554
152141 식탁보 어디서 사세요? 1 ... 2012/09/11 1,093
152140 오늘이 911 테러가 있었던 날이네요. 1 바로 2012/09/11 927
152139 졸업반지. 2 2012/09/11 1,256
152138 초록마을 이용해보신 분들께 여쭐게요 3 궁금 2012/09/11 1,628
152137 박근혜의 지지율을 높은걸보면, 후불제 민주주의가 맞는거 같아요... 2 피코 2012/09/11 1,022
152136 참 세련되었다 라고 느낄 때는 언제 16 일까요? 2012/09/11 5,875
152135 재건축 전문가님~~~~ 2 아래 글 쓴.. 2012/09/11 722
152134 새로운 고사성어 금정지교 <琴 鄭 之 交 > 1 ... 2012/09/11 1,068
152133 데이터 사용량 보는 방법 7 스마트녀 2012/09/11 1,541
152132 대구에 전자 바이얼린 배울 곳 없을까요? 1 ^^ 2012/09/11 550
152131 최근 신규나 번호이동으로 새 스맛폰 개통하신 분들 조건 풀어봐요.. 10 스맛 2012/09/11 1,162
152130 식기세척기 배수 호수 노출... 1 2012/09/11 2,349
152129 집에 묵혀둔 기타 어떻게 하세요? 4 .. 2012/09/11 1,297
152128 쿠쿠, 쿠첸 밥솥들 코팅이 벗겨져도... 2 랄랄라 2012/09/11 3,830
152127 지금 KBS 아침마당에 나오는 lemont.. 2012/09/11 1,282
152126 봉숭아물 열손가락 다 들이면 정말 마취안되나요?ㅠㅠ 10 덜렁맘 2012/09/11 5,382
152125 직장 4대보험드는데 월급을 적게 받는거로 신고한다는데... 7 ... 2012/09/11 5,911
152124 제가 어떻게 처신해야 할까요 ? 조언 좀 해주셔요. 17 입장곤란 2012/09/11 3,524
152123 젊은 남편 둔 새댁들 남편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2 늙은이 2012/09/11 1,205
152122 에스티 더블웨어화운데이션-겨울 대체 화운데이션 추천해주세요 1 벌써 땡겨요.. 2012/09/11 1,770
152121 아이 스마트폰 보험드시나요? 7 가을이다 2012/09/11 847
152120 대구에 임대놓을만한 소형아파트 괜찮은거 있을까요? 4 임대 2012/09/11 1,327
152119 제주여행문의합니다 윌마마 2012/09/11 670
152118 강남역에 KT 올레플라자 큰거 혹시 있나요? 2 도라에몽몽 2012/09/11 1,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