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4평 아파트 거실에 티비는 몇 인치가 적당할까요?

행복이 조회수 : 8,853
작성일 : 2012-07-30 09:47:06

안녕하세요

결혼 할 때 장만한 브라운관 티비가 상태가 안 좋아서 새로

사려고 하는데요.

24평 아파트 거실에 벽걸이형으로 장만하려고 하거든요.

초등 저학년 두 아이들이 있는데 이런 경우 몇 인치 티비에

시력보호를 위해서는 어떤 종류(?) 티비가 좋은지 잘 모르겠어요.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IP : 112.72.xxx.10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복단이
    '12.7.30 9:54 AM (121.166.xxx.201)

    그닥 도움이 되지 않는 조언일 수도 있겠지만,
    시력 보호를 위해서는 아이들이 최대한 티비나 컴퓨터 모니터 들여다보는 시간을 줄이도록 신경써주시는 게 좋을 것 같구요,
    24평이라고 몇 인치 사야한다, 뭐 그런 건 없어요 요즘.
    아무리 큰 걸 사도, 처음에만 와~ 크다~ 이러지 보다 보면 다들 더 큰 걸로 살 걸 그랬나? 하게 된다더군요.

  • 2.
    '12.7.30 9:54 AM (63.72.xxx.142)

    26평인데 복도식이고 10년된 아파트라서 거실이 좀 작아요.
    저 넒은 원룸 혼자 살때 쓰던 26인치 모니터TV 일단 놨는데 딱이예요 -_-;
    벽걸이라도 너무 큰거 하지 마세요.
    저 32인치 40인치도 생각했었는데 안사길 너무 잘했다는...! -ㅁ-

  • 3. ..................
    '12.7.30 9:57 AM (180.224.xxx.55)

    티비는 무조건 그냥 큰게 제일 좋은거같던데.. 집은 좁은데 티비가 크다면.. 나중에불끄고.. 티비보면 영화보는거같아요.. 거기다 바다해저..같은거보면 완전.. 극장이 따로없구요

    혹시 30평대 나중에 이사가실 계획이 있다면.. 큰거사세요 ..

    제가 아는분 20평대 있다가.. 나중에 30평대로 이사갔는데.. 처음살때 큰거 살껄 후회하더라구요

    크다함은.. 50인치정도.. 말하는거예요 ..

    복도식은 집이 너무 작게 빠져서리.. 크다 느낄수도있는데 계단식이라면.. 그렇게 크단 느낌 안들꺼같아요...

  • 4. 큰거
    '12.7.30 10:04 AM (203.234.xxx.100)

    혼수로 작은거 해왔는데 (42) 지금 너무 후회함

    크면 클수록 좋아요~ 예산 되는 선에서 제일 큰걸로 사세요 ㅎㅎ

    티비 한번 사면 오래 쓰는데, 바꾸기 너무 힘들구요~

  • 5. 47
    '12.7.30 10:08 AM (180.71.xxx.37)

    저희 24평 복도식이구 거실 엄청 좁아여
    근데 47인체 사고서 너무 큰거 아니야 고민했는데
    집에오고 나서 보니 그리 큰거 같지도 않아요.
    뚱땡이 브라운관 보다가 큰거보니까 너무 선명하고
    볼때마다 감탄해고 봐요

  • 6. ..
    '12.7.30 12:21 PM (175.118.xxx.149)

    33평 아파트에 22인치 TV 써요. TV가 귀엽다는 말 들어봤구요. LED TV이고 컴퓨터 모니터용으로 샀는데 아직 컴퓨터 모니터가 짱짱해서요. 정수기 없애고 TV줄였더니 전기세가 많이 줄어서 2만원 미만이네요. ㅎㅎ

  • 7. 원글맘
    '12.8.1 7:39 AM (112.72.xxx.102)

    여러 님들 답변 감사합니다. 계단식 24평 아파트에 방이 2개라
    거실이 좀 평형에 비해 커요. 저희 아이들은 평일에는 티비를 안보고
    주말에만 보는데다 남편이나 저나 티비를 많이 안 봐요.
    그래도 주말에 가족 모두 티비 볼 때나 아이들 영어dvd 보여줄 때를
    위해서 님들 조언 참고해서 큰 거로 장만해야겠어요.
    날도 더운데 조언 주신 님들 정말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6369 우리나라 날씨는 내세울만한 장점일까요? 18 더워라 2012/08/07 2,257
136368 지하철보다 버스가 좋아요. 9 ... 2012/08/07 1,511
136367 딸아이 염색해줬는데 개학때는 어쩌나요? 4 말복 2012/08/07 1,140
136366 모 유행가수가 공대생 비하 발언을 했다던데.. 15 ... 2012/08/07 3,770
136365 아이 키우기 힘드네요 ㅠㅠ ^^ 4 감사 맘 2012/08/07 1,280
136364 양학선 선수의 너구리 31 +++ 2012/08/07 10,777
136363 지금 집안 온도 얘기해 봐요~ 18 제이미 2012/08/07 2,427
136362 노래부르는 양학선 어머니 영상..눈물 나요 10 뭉클.. 2012/08/07 4,025
136361 19일 오션월드 추울까요? 5 휴가 2012/08/07 1,075
136360 중고등 한국문학, 세계문학 추천해주세요 중등엄마 2012/08/07 1,047
136359 3,4위전서 일본 이겨 동메달 땄음 좋겠어요 17 축구 2012/08/07 2,634
136358 늘 이맘때면 남편에게 볼 면목이 없네요 ㅠㅠ 11 착한남편 2012/08/07 3,711
136357 휴대전화 위치 추적에 덜미… ‘거짓말 릴레이’ 끝나나 세우실 2012/08/07 922
136356 고3 원서써야하는데 경영학과 어떤가요? 19 새벽 2012/08/07 3,118
136355 오이가 얼었는데 이걸로 얼굴 맛사지해도 될까요? 2 맛사지 2012/08/07 1,251
136354 좋아하는 칼국수집의 비결 아시나요? 34 올리브 2012/08/07 5,714
136353 넘 더운 주방, 살 길을 찾아보다. 3 현수기 2012/08/07 1,566
136352 예금분산에 대하여 8 익명 2012/08/07 2,206
136351 구체적인 결혼 얘긴 어떻게 시작해야하나요...?^^ 9 쿵쿵쿵쿵 2012/08/07 2,100
136350 정품?호환품? 프린트 칼라.. 2012/08/07 536
136349 독특한 꽃배달 아시는 분? 아니카씨 2012/08/07 821
136348 바다래프팅에 대해서 궁굼합니다. 1 현명이 2012/08/07 491
136347 시어머님 싫어하시는분들~ 7 .... 2012/08/07 2,007
136346 씨에프에서 다양한 선수들을 보고 싶네요 6 rosa70.. 2012/08/07 864
136345 이것도 열대야로 인한 증상일까요? 1 팥빙수 2012/08/07 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