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 비용. 얼마씩 분담하시나요?

비용 조회수 : 7,532
작성일 : 2012-07-25 13:35:46
아랫동서 가 둘 있는 맏며늘이에요
제사가 1년에 두번 있어서 많지는 않아요
그런데 두번 다 여름이라.음식하는것도 쉽지않네요
동서는 둘 다 지방 살아서. 신랑이 출근해서 애 데리고 혼자 오
기 그럿다고 안 옵니다. 주로 평일에 제사가 많거든요

제사비용 은 각 5만원씩 받고. 명절때는 식구들 많이 오는 관계로 10만원 받아요. .시누들은 명절이나 제사때 오지 않는 동서들한테 모라 말 좀 하라고 하지만. 말해봤자 대답이 뻔하니 말하기 실은거죠

시아버님도 모라 안하는데 제가 나서서 말하기도 그렇구요

10년넘게 제사를 거의 혼자 음식하다보니 이젠 슬슬 짜증이 나네요ㅠㅠ

다른집 들은 제사비용 얼마씩 분담하시나요?

이번주에 제사 있어서 과일 사려고 봤더니 상당히 비싸네요ㅠ

다음 제사 때는 비용 좀 더 내라고 말해야할것 같은데(음식해서 본인들이 먹는것도 아닌데 좀 더 내라고 함 좀 그럴까요?
IP : 223.62.xxx.14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님네가
    '12.7.25 1:38 PM (58.231.xxx.80)

    재산 받으거 많거나 형편이 넉넉하면 원글님네가 좀더 부담 하시고
    아니면 1/N 하는게 맞다 생각 하세요
    그런건 맏며느리가 대차야 한다 생각해요
    아버님 돌아가시면 돌아 가면서 제사 지내던지 아니면 도우미 비용이라도 더 내라고 하세요

  • 2. 글쎄요.
    '12.7.25 1:39 PM (14.37.xxx.90)

    제사라고 동서한테 돈을 따로 걷어야 하나요?
    저희는 시부모님이 알아서 다 하시던데... 장보고 음식하는거..모두 시어머니가 하심..
    그마저도 시가부모님 돌아가시면 아예 안할건데요.. 저희도 장남..
    뭐..이런집도 있다구요...

  • 3. ...
    '12.7.25 1:40 PM (115.22.xxx.33)

    그래도 5만원이라도 받네요.
    전 전화는 커녕 함흥차사입니다.
    친정에는 효녀심청이라던데요.
    동서 결혼 10년쯤되서 너무한다싶어서 제사날짜적어주니까,
    난 형님처럼 안살아요. 인터넷주문하면되는데 왜 그렇게사세요?하고
    두눈똑바로 뜨고 따지데요.
    인간취급안하기로했습니다.

  • 4. ..
    '12.7.25 1:42 PM (59.19.xxx.155)

    울형님은 재산 다 가져가고 지금 시부모 요양비 무조건 똑같이 내고있어요 제사비용은 밑에 동서들이

    알아서 내라고 하네요,,울형님은 완전 도 둑 x 이거든요,,,형제들 돈 가져가서 무조건 안 줘요

  • 5. 메아쿨파
    '12.7.25 1:43 PM (110.10.xxx.114)

    저희는 삼형제가 계를 해서 다달이 3만원씩 모아 제사와 명절제사 다 치러요. 총 7번인데...형님과 동서는 맞벌이라서 중간에 전업인 제가 음식 일찍 가서 음식하는 경우가 많고..ㅜㅠ물론 제사 후의 뒷설거지는 나눠서 하구요. 돈은 같이 내면서 제사 지내고 음식 잘 안싸줘서 좀 불만이에요. 제사 음식 가져오면 한두끼 정도는 반찬 안해도 되서 좋은데...ㅜㅠ

  • 6. 파란장미
    '12.7.25 2:06 PM (49.132.xxx.11)

    헉.. 둘째며느리인데.. 한번도 제사라고 돈 보내본 적 없습니다..
    명절때는 어머님께 넉넉히 드립니다..(외국이거든요..)

    부끄럽지만 제사가 언제언제인지도 잘 모른다는..(좀 많기는 한던데..)

  • 7. ..
    '12.7.25 2:08 PM (203.228.xxx.24)

    지방에 살면 평일 제사는 못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지방 살아서 못 오는데 한소리 들어야 되는게 대한민국 며느리 현실이군요. ㅠㅠ
    이런 불합리한 관습을 누구 마음대로 만들어놓고 며느리들 골병을 들게 하는건지.
    저도 맏며느리. 제사 정말 정말 싫어요.
    시부모님 돌아가시고 나면 3년 정도 지내고 다 없애려고 맘 먹고 있어요.
    정말 이런 짓을 더이상은 하지 않겠다고 다같이 선언해야 됩니다.
    제사 비용은 보통 주는대로 받죠.
    얼마를 내라고 하는 경우는 못 봤네요.

  • 8. ;;;;;
    '12.7.25 2:32 PM (125.181.xxx.2)

    시어머님이 정해 주셨습니다. 10만원........ 명절에는 20만원......
    보통 윗사람이 정해 주는게 편합니다.

  • 9. 없는
    '12.7.25 2:55 PM (125.191.xxx.39)

    집 장남(받은 건 십원 한 장 없고 준 것만 있음)에 아랫시누만 셋,

    결혼 후 지금까지 30년 동안 제사, 명절 비용 모두 대고
    10년 전부터 제사 주관?하고 있는데 시누들한테 딱 30만원(시아버지 제사) 받아 봤네요.
    자기 아버지 제사 때도 잘 안 오는 사람들이니.....
    이젠 남이다,생각하고 삽니다.

  • 10. 이글의
    '12.7.25 8:27 PM (125.128.xxx.98)

    리플은 다 좀 이상한 사람들이네요

    며느리라서 돈을 내는게 아니고 ..
    아들이라서 내는거고.. 남편 대신 주는건데..
    나는 안보낸다고들 하시니..
    본인 남편들이 아들역활을 제대로 안하는거 아닌가요..이건,, 반칙...


    큰형님이.
    재료비 얼마, 음식만드는 수고비 얼마.
    나 얼마 .. 밑에 동생들얼마..
    그렇게 해서 .. 나눠야 맞는거 아닌가요..


    당연..재산은 모두 같이 나누고..


    아랫동서님들..난 안준다 마시고..
    눈치껏 형님께.. 제사비용 등 넉넉히 보냅씨다..
    차비 안들여, 고생안해.. 그것만 따 져도 얼만데.
    딱 재료비만 보낸다니...

    그게 정상인줄 아는 ..윗님들이 ..난 참 이해가 안되네요

  • 11. 이어서
    '12.7.25 8:28 PM (125.128.xxx.98)

    글쓴님 위로차 .. 이리 썼습니다..
    위로가 좀 되시길..

  • 12. 원글
    '12.7.25 10:48 PM (115.137.xxx.20)

    입니다. 재산은 아예 없구요. 결혼함 서 홀시아버님 모시고 산지 14년 됏어요

    모든 첫걸음이 중요한거라고. 기일이 언제인지도 모르고 제가 얘기해야 돈 부치는 동서들이 참 부럽더군요.

    시어머니 대신 하려니 짜증도 나구요.ㅠ

    댓글 들 감사합니다,

  • 13. 여름
    '12.7.25 10:54 PM (59.19.xxx.159)

    우리 시댁은 10만원씩 냅니다.
    며느리가 세명에 큰며느리, 동서는 멀리 산다고
    못올때도 있고 저는 가까이 살아서 제사, 명절장
    제가 다 봅니다. 못오면 돈은 통장으로 부칩니다.
    지방사는 며느리가 제사에 못오면 한소리 듣는게 가까이 산다는 이유로 모든걸 다해야 하는 며느리만 못할까요. 전 차라리 한소리 두소리 듣고 혼자 일하는 또 다른 며느리한테 웃돈이라도 얹어서 보내고 몸은 편하고 싶습니다.
    제사비용 안내시는 분들은 시어른이 알아서 해서 그런건지 아니면 아무말도 안하니 그냥 모르쇠로
    일관하는 건지 부러우면서도 궁금합니다.

  • 14. 천년세월
    '20.1.25 1:54 PM (223.39.xxx.206) - 삭제된댓글

    얌체들...
    제사 참여안하는게 미덕이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6096 <난 이거는 안 아끼고!!!싶다&am.. 6 아낌이 2012/09/19 1,932
156095 시부모님이나 친정부모님 연로하셔서 모실때 전혀 터치안하고 사생활.. 9 bloomi.. 2012/09/19 3,604
156094 공인인증서 질문 드려요. 2 ^^ 2012/09/19 1,444
156093 굽이높으면서 편한신발은 없는건가요? 10 .. 2012/09/19 5,125
156092 나이 꽉 찬 분들, 이런 사람...... 어떠시겠어요? 4 고민 2012/09/19 2,379
156091 한의사 와 경제. 10 ㄹㄹㄹㄹ 2012/09/19 2,630
156090 동그랑땡 질문이요.. 3 다시처음으로.. 2012/09/19 1,873
156089 여러분 저 강남스타일 플래시몹 찍었는데용 ㅠㅠ 4 Luvna 2012/09/19 2,874
156088 층간소음의 주원인은 아이들인가요? 5 층간소음 2012/09/19 2,081
156087 광교 신도시 매매, 적정가는 얼마일까요?? 5 고민녀 2012/09/19 3,051
156086 아들을 잃은 외국분께 뭐라고 위로의 메일을 보내야할까요? 2 도와주세요... 2012/09/19 1,944
156085 남자친구가 이런 말을 하는데요 12 .... 2012/09/19 3,943
156084 장준하선생님 암살배후 밝히자는 100만인 서명에 참여하셨나요? 17 바람이분다 2012/09/19 2,421
156083 명절전 하소연좀 하면 풀릴까요? 1 뒹굴뒹굴2 2012/09/19 1,824
156082 하나은행 수표를 우리은행 계좌로 입금할려고해요 4 급해요 2012/09/19 4,509
156081 후보 단일화의 중요성이 이 한장의 사진에!!! 아흑! ㅜ.ㅜ 6 필또오옥!!.. 2012/09/19 3,917
156080 한약을 계속 먹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7 질염,진짜 .. 2012/09/19 1,981
156079 도와주세요-국내여행숙박 4 .. 2012/09/19 2,047
156078 전문직은 제각각이에요 8 착각 2012/09/19 3,716
156077 동행이라는 영상이네요 ㅎㅎ가을에 어울리는ㅎㅎ 하시미 2012/09/19 2,048
156076 안철수님 단일화 발언 관련으로 불안하신분들~~ 3 필독~권유~.. 2012/09/19 2,481
156075 크록스 신발 많이 늘어나나요? 2 .. 2012/09/19 4,662
156074 홈쇼핑에서 킹크랩 괜찮은곳.. 은새엄마 2012/09/19 1,701
156073 그럼 생각보다 훨 잘생겨(이뻐)보였던 연옌있으세요? 48 baliii.. 2012/09/19 14,173
156072 그러고보면 이정권들어 한마디 2012/09/19 1,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