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난맥상과 측근비리 수사국면 전환 그리고 안철수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해.....
작금의 국민은행의 대출약정서 변조사실 보도를 보면서 내심 쾌재를 부르는 이들이 있었다.
경제정책실패로 살기 어려워진 서민들에게 대형시중은행만큼 만만한 비난거리가 없었다.
이제는 은행 때리기를 통해서 국민들의 관심을 돌려놓을 절호의 기회가 온 것이다.
이번에는 신한은행이다. 낙하산 인사를 받지 않아 안 그래도 미웠는데 잘 걸려든 것이다.
촌지없는 신한은행에서 신용대출의 새로운 장을 열은 것이 ‘신용평점시스템에 의한 신용대출’이다.
은행은 신용대출을 할 때 1999년 이후 직업별, 직급별, 학력별로 고객을 구분해서 대출하지 않는다.
그런 방식으로 대출해 줬다가 IMF위기 때 엄청난 대손비용을 부담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통계학의 ‘판별분석’기법을 이용해서 판별변수와 함수를 추출하고 이를 적용해 오고 있다.
과거 은행에 대출금 미상환으로 손해를 안겨줬던 집단의 직업별, 직급별, 학력별, 자가보유여부,
급여수준, 가족구성원수, 거주형태, 자산현황 등 여러변수를 대입해서 여기에서 추출된 변수와 함수로
신용평점을 산출하고 대출한도와 대출승인여부를 결정해오고 있다.
그 결과 은행은 신용대출상품을 과거처럼 기존거래가 없어도 창구에서 바로 가부결정을 하고,
한도를 산출해서 거의 원스톱으로 신용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지점장을 몰라도 창구직원에게
잘 보이지 않아도 창구상담만으로 대출을 받는 편리한 시절이 되었다.
대출고객 중에 학력별로 따져보면 직장이나 소득이 유리해서 신용평점이 좋을 가능성이 높은
고학력자군이 대출한도나 대출금리에서 우대받을 수 있다. 그만큼 은행에 대출금 미상환으로
손해를 끼칠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은 정부에서 맨날 이야기하는 국제적인 기준이다.
학력차별을 은행에서 한 것이 아니고 국제기준으로 신용평점을 산출하다보면 나올 수 밖에 없는 현상을
이제는 학력차별로 몰고 간다.
다음은 어느 은행 차례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