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풍요의 세대

걱정 조회수 : 1,940
작성일 : 2012-07-22 01:41:54
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정말 소비를 많이 하고사는거같아요 필요이상으로..
남자인 친구들 돈모으기보다 취업하자마자 외제차부터 사고 
양가에서 물려받을거 없는 그냥 대기업맞벌이부부도 버는거 다 쓰고 외제차 두대에 골프치고 철철이 해외여행..
애기있는 젊은 부부들 툭하면 호텔팩 가고 비싼 유아용품..
집에 돈이 있고없고 불문하고 있는집 애들은 있으니까 쓰고, 없는 집 애들도 주변에 있는집 애들 보고는 똑같이 배우고 똑같은 회사 다니는데 나라고 못할거 뭐있냐 이러면서 기죽지않으려고 할거 다 하고 살아요. 
아직 삼십초반인데 벌써부터 저리 좋은거 밝히고 쓰는 버릇들면 애기 커가고 나이 들면서 어찌 감당할까 싶네요. 저도 비껴가는거 아니고요 ㅜㅜ 
미래걱정은 덮어두고 현재의 풍요와 즐거움만 좇는데 급급한 젊은이들이 너무 많은거같아요. 
있는 사람들이 쓰는건 모르겠는데 보통 사람들도 지기싫어서 남들 하는거 다 하려는 소비가 문제인거같네요. 
남한테 피해주는거 아니니 신경끄라는 말도 맞는데 사실 걱정되요. 애들 커가면서 드는 돈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텐데 나중에 감당안되서 들 상실감과 당혹감 이런게 너무 예상되는데.. 저렇게 저축안하고 살다 나중에 애들 교육환경좋은데로 이사가고싶어도 못가고 결국 돈안보태준다고 시댁 원망하고.. 이런 하소연 들어주는것도 정신적 피해-_-

저부터도 한번 늘어난 지출 줄이기가 어찌나 힘든지.. 좋은거 너무 넘치는 세상에서 절제하고 살아가기가 참 힘든거같아요. 
IP : 218.50.xxx.25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슈나언니
    '12.7.22 1:49 AM (113.10.xxx.126)

    미래만 걱정하고 허리띠 졸라매는 사람도 있고 그 순간 좋은거 갖고 즐기고 그렇게 사는 사람도 있고
    사는 패턴은 제각각입니다. 정답이 어딨나요?
    제 주변에도 삼십대 후반인데 그 나이되도록 가방은 만원짜리 옷은 몇천원짜리 화장품은 샘플 생기는거 쓰고
    그렇게 사는 사람이 있어요. 그게 나쁘다는게 아니라 어느때 보면 짠해요.
    저렇게 일만 하면서 일생 죽을때까지 좋은거 한번 사보지 못하고 싼것만 싸구려만 쓰다가 죽는것도 허망하지 않나요?
    적당히 좋은것도 써보고 사치도 해보고 인생 한번인데 너무 먼 마래만 걱정하고 지금 불행하게 사는건 저는 별로라고 생각해요.

  • 2. ......
    '12.7.22 6:49 AM (116.39.xxx.17)

    주변 사람들 보니 있는 사람 보다 없는(수준이 안되는데) 사람들이 더 잘 쓰던데요.
    진짜 저 정도 있으면 써도 되겠다 싶은데도 한두푼도 아까워 하고 저 정도벌이에 어떻게 저렇게 쓸까 싶은데 헉 할정도로 쓰구요.

    정말로 힘들게 벌어 건물 갖고 있는 분들은 소소한거에도 돈 아끼구요.
    평범한 월급쟁이들이 주변사람들 쓰는거에 기 죽지 않으려고 과소비 많이 하더라구요.

  • 3. 대박공주맘
    '12.7.22 11:05 AM (1.241.xxx.29)

    주변 사람들 때문에 사는 사람들이 제일불쌍....특히 부모 눈치 보고 돈 한푼 더 받아볼꺼라고...절대 돈 못쓰는 인생이 젤 불쌍...

  • 4. ...
    '12.7.22 11:38 AM (110.14.xxx.164)

    전에는 덜벌면 덜썼는데 요즘은 없어도 남이 하는건 다 하고살더군요
    애들 백화점 명품 옷에 사교육에 차에 외식,해외여행에....
    이삼십년후가 걱정될 정도로요

  • 5. 이런 맞벌이
    '12.7.22 1:36 PM (115.161.xxx.205)

    저도 맞벌이..40대 중반인데, 서울강북에 아파트 한채 장만하니 현금은 하나도 없네요.. 결혼했을 땐 전세금도 없어서 시댁에 얹혀 살다가 1년만에 전세 자금 마련해서 분가했구요. (악착같이 모았네요 그떄) 재테크 같은 거 없고, 시세 차익 노리지도 못하고, 지금 사는 집은 그냥 돈 모은 그대로 구입한 거에요. 그러니 그 집값이 우리 현금 모은 금액하고 똑같은 거죠. -_- 빚은 없어요..

    가족 해외여행은 두 번이었고,
    소소한 국내 여행 위주로만 했구요,
    차도 15년된 2000cc.. 그것도 중고차로 구입해서 8년째 몰고 있습니다. (에어컨도 비실비실..ㅠㅠ)
    옷도 뉴xx 아울렛에서 주로 사입구요 (아이들은 더 싼 곳 찾습니다..)
    부모님 중요행사 (육순 칠순) 때 각 2-300만원씩 드렸습니다.
    장기적금 (연금보험, 변액 연금 같은것..) 은 계속 들고 있고, 불입한 금액이 6-7000 됩니다. 평가금액은 나중에 되봐야 알겠죠..

    기댈 언덕 없는 맞벌이는 기댈 언덕 좀 있는 외벌이보다 훨 치열해요. 미래 생각하면 과소비는 할 수 없는 구조죠. 저는 소소한 소비는 즐기는 편이에요.. (외식, 짜질한 옷, 책 등--> 이것도 모이면 과소비려나..-_-) 큰 단위의 소비는 못해요. (자동차, 해외여행, 등이요..) 이제 저도 회사 그만두고 싶은데 (꽤 괜챦은 외국인 기업 다니지만, 이제 지친 것같아요.. 쉬고 싶네요..) 남편 혼자 부양의 짐을 지게하려니 미안하고 불안하네요.

    의료나 교육만 유럽만 같아도, 이렇게 아등바등 살지 않을듯요. 세금이 많아도, 그 세금이 우리 가족에게 어짜피 돌아오고, 좀 덜돌아와도 사회안전망을 설치해 줘서 많은 사람들이 좀 덜 불안한 삶이 된다면, 그게 저 개인한테도 결국 이득일 듯요..

    맞벌이 생활 반추하다가 사회 얘기까지..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364 서울에서 지방으로 식기세척기를 받으려고합니다. 3 급질문요~ 2012/10/11 1,230
164363 겐조 옷은 얼마정도 하나요 겐조 2012/10/11 2,811
164362 식기세척기, 드럼세탁기.. 가루세제 권하는 이유가 뭔가요? 7 넘궁금해요 2012/10/11 5,218
164361 이 스카프 괜찮나요? 10 bb 2012/10/11 2,868
164360 안철수가 대통령이 되기를 43 지지자 2012/10/11 2,914
164359 코스트코에서 산 다우니...다 미국산 아니죠? 6 다우니 2012/10/11 4,386
164358 매식 vs 레또르식품 어느게 몸에 더 나쁜가요 7 san 2012/10/11 1,954
164357 스마트폰 750메가 가 얼마나?? 8 스마트한뇨자.. 2012/10/11 4,004
164356 “누가 집권하느냐가 빈부격차 좌우” 3 샬랄라 2012/10/11 1,245
164355 朴, 국민통합위원장 직접 맡기로 4 세우실 2012/10/11 1,680
164354 생협 김장 담근 김치 드셔 보신분??? 2 계시나요? 2012/10/11 1,629
164353 문안드림 물밑으로 오가는 모양입니다. 1 .. 2012/10/11 1,328
164352 중학교 1학년 수학과 영어 제가 가르치고 싶어요...도움좀 주세.. 10 스스로 2012/10/11 1,977
164351 아기사랑 세탁기 언제까지 유용할까요?? 11 여쭤봅니다... 2012/10/11 3,408
164350 임신7개월인데 앞으로 쭉~잘 쓸만한 오디오 추천해주세요~~ 1 ... 2012/10/11 1,689
164349 중국비자 발급받으려는데요. 2 중국비자 2012/10/11 2,280
164348 트렌치 코트 색상.. 저는 봄에 질문했는데 밝은색이 이쁘다는 댓.. 2 /// 2012/10/11 2,244
164347 방송에서 노벨문학상에 무라카미 하루키가 유력 후보라고. 8 우와 2012/10/11 2,821
164346 딤채 스탠드 4 모터 2012/10/11 3,286
164345 층간소음...정말 피말리네요.... 32 벼리 2012/10/11 15,184
164344 10월 11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10/11 1,369
164343 자전거가 10인치면(?) 몇살이 탈 수있나요? 5 11살 2012/10/11 2,121
164342 뒤늦게 마메종 도기후라이팬에 꽂혔는데, 방사능걱정...ㅠㅠ 1 그런데..... 2012/10/11 2,642
164341 피임에관한건데요.(미레나부작용) 11 산부인과 2012/10/11 13,691
164340 반응이 느린아이는 어디가 안좋은걸까요? 2 초등저 2012/10/11 2,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