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6월 14일, '미군이 독도를 폭격한 까닭은?'의 일부다.

알아야 이긴다! 조회수 : 872
작성일 : 2012-07-20 09:37:13

― < 그들이 살았던 오늘 > 에서

6월 14일, '미군이 독도를 폭격한 까닭은?'의 일부다. 목록을 훑다가 줄곧 우리의 우방국이었던 미국(군)이 우리를, 우리의 독도를 왜 폭격한 것인지 궁금하고 의아해 가장 먼저 찾아 읽은 이야기이기도 하다. 제목만으로도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사건 같은데, 이제까지 왜 단 한 번도 들은 적이 없을까? 라는 의문과 함께.

1948년 6월 8일, 미 공군은 독도 인근에서 조업 중이던 배와 어민들을 향해 무차별 폭격을 한다. 뒤늦은 보도로 폭격 사실이 알려지고 여론이 들끓자, 당시 유력한 용의자였던 미국은 발뺌한다.

그러다가 마지못해 "선박과 바위를 구분하지 못해 일어난 우발적인 사고다" "폭격 30분 전에 정찰기를 보내 상황을 확인했는데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약 7000m 고공에서 연습탄을 투하했던 바 사고가 발생했다"고 해명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누가 봐도 근거 빈약한 거짓말이었다. 어민들은 비행기에서 미 공군의 표식인 원과 별을 보았음을 증언했다. 육안으로 하늘을 가장 높이 올려다 볼 수 있는 높이의 한계는 1000m. 그렇다면 아무리 높아봤자 1000m라는 것인데, 당시의 숨 막히는 상황을 미뤄 짐작하면 한계 높이보다 훨씬 낮은 곳에서 폭격이 이뤄졌다는 이야기다. 게다가 기총사격까지 가했다면 상공 7000m에서 떨어진 연습탄일 수 없다.

당시 경찰 추산에 따르면 미 공군의 폭격으로 "배 14척이 침몰되고, 11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그러나 생존자의 증언과 언론의 보도는 저마다 달라 사망자는 수백 명까지 올라간다고 한다. 과연 몇 명이 죽었을까? 그 진실은 아무도 모른다. 1948년 5·10 총선거로 구성된 대한민국 제헌국회의 첫 긴급동의(독도폭격에 관한 진상규명) 이었음에도 해결되지 못한 채 64년째 잠자고 있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모른 채 말이다.

책에는 사건 당시 미군의 오만한 태도와 사건 발발 2년 뒤에 위령비가 세워졌지만 일본 어민이 이를 파괴한 만행 등이 소개된다. 참고로 들끓는 여론에 미군은 피해자 가족에게 사람의 목숨 값으로 요크셔 돼지 한 마리 값만을 보상한다. 그런데 이마저도 받지 못한 사람이 부지기수였다고 한다.

 

http://book.daum.net/media/detail.do?seq=38170493&nil_no=258444&t__nil_book=i...

IP : 175.211.xxx.146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우리 나라는
    '12.7.20 10:43 AM (218.159.xxx.194)

    미국에 대한 호감이 비교적 많은 나라죠.
    아마 광복 이후 친일파가 친미로 돌아서며 실세를 잡고 친미 이데올로기를 주입시킨 결과 때문 아닐까 싶은데...
    사실 미국이란 나라야말로 진정한 깡패국가라는 게 여러 매체에서 밝혀지고 있는 걸로 압니다.
    특히 우리나라도 그 미국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본 나란데 대중적인 정서는 아직도 미국에 대해 부정적인 걸 납득하지 못하는 편인 것 같아요.
    책 소개 잘 읽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3177 남자가 신을 크록스 있을까요? 3 더워 2012/07/25 1,051
133176 강아지 시판 과자 믿을만한 브랜드 좀 알려주세요 8 과자 2012/07/25 1,025
133175 소변 검사 결과 잠혈이라는데요 3 6학년딸 2012/07/25 6,278
133174 골든타임에서 이성민씨 17 .... .. 2012/07/25 4,162
133173 죄송한데...쪽지 어떻게 보내죠?? 2 달땡이 2012/07/25 803
133172 영화 <두개의 문> 성남/용인/광주 상영하네요. 강물처럼 2012/07/25 881
133171 ‘추적자’가 우리에게 남긴 것 샬랄라 2012/07/25 838
133170 비행기모드 3 2012/07/25 1,849
133169 샴푸의 목적 샴푸종류 그리고 샴푸방법 1 gnaldo.. 2012/07/25 8,212
133168 통영 초등학생 너무 마음 아프네요. 5 너무 슬프다.. 2012/07/25 2,385
133167 호주 내일 갑니다.. 2 chelse.. 2012/07/25 1,117
133166 한명숙, 폭염 속 반값등록금 실현 촉구 1인 시위 14 참맛 2012/07/25 1,960
133165 부여 궁남지에... 7 촌닭 2012/07/25 2,038
133164 영화 '도둑들' 12 조조 2012/07/25 3,640
133163 수돗물 끓여먹는 것 안좋은가요? 8 물때문에 2012/07/25 3,848
133162 안철수의 도전, 큰 정치 샬랄라 2012/07/25 999
133161 요즘 세차비 얼마에요? 4 왕충격 2012/07/25 2,830
133160 이 전화 뭘까요? 수상해 2012/07/25 1,037
133159 여성가족부에서 온 우편물 4 @@ 2012/07/25 2,087
133158 다크나이트 라이즈, 좀 우울한 분위기였지만 4 ... 2012/07/25 1,701
133157 초등학생 핸드폰 전화통화기능만 있는폰 없을까요? 5 뎁.. 2012/07/25 2,873
133156 강아지 미용하고 배 찝힌데 바르라고 주신약요. 피부약 2012/07/25 1,272
133155 커피로 흰머리염색 하는거 어떨까요? 3 멕스웰하우스.. 2012/07/25 4,806
133154 박근혜 당황케한 ’만사올통’, 그게 뭐지? 3 세우실 2012/07/25 1,976
133153 제사 비용. 얼마씩 분담하시나요? 13 비용 2012/07/25 7,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