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은행 대출 CD금리 담합 조작은 엄청난 범죄네요.

은행들아 조회수 : 1,620
작성일 : 2012-07-19 12:51:42

뉴스에 보니  은행들이  CD금리 담합 조작하였고 일부 은행은 막대한 과징금을

피하기 위해서  자진신고 하였다고 합니다.( 물론 확정은 아니고 공정위등에서  조사중이라고 함)

 

다들 아시다시피  은행에서 부동산 대출시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을 때 CD금리 + @ 인데

이상하게도 한은에서 금리 내려도 CD금리에 연동한 변동대출 금리는 안내리거나 더 적게 내린경우가 태반이었읍니다.

올릴 때는 득달같이 따라서 올리고요.

뉴스에서 보니 은행에서 0.5 %정도 금리만 추가로 올려도  한 해 대출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이자는

무려 1조 8천억 정도라고 하네요. ( 자기 대출금에 +0.5% 금리가 추가되었다고 생각하면~)

그런 악의의 수익으로  은행들은 큰 수익들 내고, 임직원들 급여는 빵빵했겠지요.

 

 이런게 드러난 계기는  영국 리보금리 조작사건에 대한  수사로  그 파장이  일파만파로

번지는 것과, 요즘 부동산 담보대출에 대한 이자 갚기에 허덕이는   대출자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것이라고 봅니다.

연간 1조8천억의 부담이면   엄청난 액수이고  보통 부동산 담보대출의 경우 장기대출인데

오랜기간 동안 이런게 관행적으로  이루어져서   대출받은 국민들의  피를 뽑아 먹은걸 생각하니 은행들에 대해

분통이 터집니다.  그 중에는 내가 낸  추가이자부담분도  있으니까요.

 

영국의 리보금리(기본금리) 조작사건이  머나먼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이렇게 미치게 되네요.

 

 

 

 

 

 

 

 

 

 

 

 

IP : 110.10.xxx.5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
    '12.7.19 1:04 PM (110.10.xxx.57)

    이미 은행 한곳에서 과징금을 면하기 위해서 자진신고하였다고 하고,2번째 자진 신고은행은 과징금 50% 감면이라 초 읽기라고 합니다.

    거의 사실확정같고 , 정말 칼만 안들었지 강도와 별반 다르지 않아요

  • 2. 블루
    '12.7.19 1:08 PM (219.240.xxx.173)

    과징금하면 국가세금으로 들어가는건데 솔직히 대출자들에게 환급해줘야 하는게 아닌지...

  • 3. 원글
    '12.7.19 1:14 PM (110.10.xxx.57)

    그게 맞죠, 아니면 별도로 단체 소송을 해야 할 수도 있구요.

    만약,1 억 대출이라면 연간 50 만원 추가 부담된거죠.

    대출연수 * 대출금 * 0.5%

  • 4. 그렇군요
    '12.7.19 1:33 PM (218.159.xxx.194)

    알아야 할 사실 알려주셔서 감사드려요.

  • 5. 하바나
    '12.7.20 4:57 PM (125.190.xxx.22)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사실이라면 단군이래 최대의 금융사기입니다

    CD금리가 어디 대출에만 사용되나요,,, 은행의 각종 수익증권/보험사의 수익증권/증권사의 파생상품
    까지 연관되지 않은데가 없습니다

    주식시장에서의 해당 은행과 증권사의 무형의 평가 유형의 주식 거래금액과도 모두 연관이 되어 있습
    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301 불산유출된 지역과 금오공업고와의 거리 1 궁금 2012/10/10 1,426
164300 양배추 어떻게들 드시나요?꼭 댓글요^^ 25 댓글주셔요~.. 2012/10/10 4,772
164299 운동 하시는 분들..오늘 운동 하셨나요 13 ... 2012/10/10 3,067
164298 차기 정권은 소통이 되는 강력한 리더쉽이 필요한데 9 단일화 2012/10/10 1,374
164297 웅진플레이도시 어떤가요? 미우차차 2012/10/10 1,280
164296 영어 문법좀 봐주세요 2 서술형 2012/10/10 1,380
164295 일반 수학공부를 위해서는 책많이보는건 필요없지만 논리학의 정점인.. 1 루나틱 2012/10/10 1,813
164294 다른 집 대학생도 이런지... 15 현수기 2012/10/10 3,727
164293 마셜 맥루한의 미디어의 이해에서 독서의 견해좀 부탁드려요. 3 과제 2012/10/10 1,623
164292 책 많이 읽는다고 수학을 잘할수는 없쟎아요 21 아~~ 2012/10/10 3,281
164291 그대없인 못살아 넘 웃겨요 13 2012/10/10 4,869
164290 가을이 되면 해충들이 더 난리난다던데요~ 미르미루 2012/10/10 3,181
164289 정동영, 경제민주화 '빛나는 명언' 5 prowel.. 2012/10/10 3,025
164288 석모도 다녀왔어요 ~ 2 크레요옹 2012/10/10 2,706
164287 뒤늦게 공주의 남자봤는데요 4 시후멋져 2012/10/10 2,405
164286 맞벌이 안하고 결혼할때 해온것 없으면... 27 ㅇㅇ 2012/10/10 9,085
164285 사이즈 좀 알려주세요 수영복이요!.. 2012/10/10 1,462
164284 추석 지나면 일자리좀 나오나 했더니.. -_- 2012/10/10 1,884
164283 이 번 선거는 조중동과 mbc가 리스크다. 점쟁이 2012/10/10 1,601
164282 유명한 화가는 대부분 미술전공자 들인가요?? 2 .. 2012/10/10 2,267
164281 학원샘 상담전화 자주하는게 좋죠?? 2 대구사람 2012/10/10 2,086
164280 치실 오래 한 분들 확실히 충치 안생기거나 5 치과 2012/10/10 3,780
164279 문재인 후보의 슬로건은 무엇인가요??? 3 궁금 2012/10/10 1,462
164278 마늘장아찌 고수분들께 여쭤봅나다~~~ 11 궁금 2012/10/10 3,268
164277 이 경우 매너인지요? 4 도토리 2012/10/10 1,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