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떻게하면 아기와 개를 잘 키울수 있을까요?

고민 조회수 : 2,365
작성일 : 2012-07-18 19:50:23
이제 막 기기 시작한 아기가 있는 애엄마입니다.
키우고 있는 개는 두살됐구요.

제가 신경이 쓰이는 부분은
아기와 개를 앞으로도 잘 키울수 있는지와
지금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에요.

좀 길지만 제 상황을 자세히 말씀드리는게 좋을것 같아
두서없이 적어보도록 할게요.

개를 아주 어릴때(젖뗄 무렵)데려와서 남편이랑 쪽잠 자가며
우유주면서 마치 사람 아기처럼 키웠어요.
강아지 걱정에 외식하러 나가지도 않고 24시간 붙어있었는데
그래서인지 약간 분리불안처럼 저희하고 붙어있으려해요.
요즘은 그나마 저희가 장보러가거나 외식하면 잠시 혼자 있게해서
예전보다 좋아진것 같긴해요.

아기가 기려고해서 바닥에 놔둬야 할것 같은데,
혹시 제가 잠시 한눈판 사이 아기가 개의 똥오줌을 만지진 않을까 걱정돼요.
물론 개는 배변판 위에서 용변을 봅니다.
그런데 워낙 깔끔떠는 성격이라 응가를 한후 저희가 모르고 안 치워주면
그 배변판 자체에 올라가기 싫어해서 그옆 바닥에 쉬를 할때가 있어요.
안 그럴때도 많은데 연달아 용변을 볼때가 종종 있네요.

얘가 잠이 없어서 새벽에도 돌아다니다가 응아할때가 있는데요.
예전같으면 제가 그 소리듣고 일어나서 치워주곤 했는데
요즘은 아기 키우다보니 정신없이 자느라 못들어요.

또 하나 걱정인게 아기가 잘때 개가 짖어서 깨는거에요.
평소엔 조용하고 얌전하게 있는 아이인데요.
택배 기사 아저씨가 오시면 벨소리에 짖기 시작하는데
물건받고 문닫으면 그제서야 안도하는지 안짖어요.
(얘가 겁이 엄청 많아요. 산책할때도 낯선 사람, 특히 남자 보이면 일시정지에요)

아기가 자다가 개가 짖는 소리에 깬적이 몇번 있는데
간신히 잠들었는데 그러면 화나고 얄미워요.
그래서 제가 막대기처럼 긴 물건으로 코를 때리며
그러지말라고 혼내도 소용이 없어요.

남편이랑 제가 지금까지 생각해본 최선의 방법으로는
개를 거실이 아닌 다른 공간에 놓자는건데요.
앞베란다가 마루바닥처럼 깔려있어서 좋긴한데
아파트 1층이라 사람들 소리나 모습이 보이면 짖을거에요.
(그럼 지금보다 짖는게 더 잦을듯함)
그래서 다용도실쪽인 뒷베란다에 놓는건데
여긴 그나마 사람이 거의 안다니는 곳이네요.

이렇게 하고 짖는건 따로 훈련소 같은데 가서 교육을 받아야 할까요?

시부모님께서는 얼마전 저희보러 한국에 나오셨다가
아기가 있으니 이제 개를 어디 보내라고 하셨어요.
저희보고 조금만 더 살다가 부모님 계신 곳으로 오라고 하시는데
그럼 얘를 또 어떻게 해야하나요.
데려갈려고 마음먹으면 비행기 태울수 있긴한데
작은 애가 10시간 넘게 버틸수 있을지도 모르겠어요.

저처럼 애기 있으면서 개 키우시거나 경험있으신 분들 좀 알려주세요.

IP : 221.165.xxx.18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냥냥
    '12.7.18 8:12 PM (223.62.xxx.90)

    전 한마리가아니라 여러마리에요^^
    아기낳고는 제일 말잘듣는녀석이랑 지내다
    한마리씩 데리고왔는데 좋은점도있었고 힘든점도 당연히있었어요
    몸은 힘들어도 우울증올때 얘들보며 웃고그랬네요
    짖는문젠 저도 힘들었어요
    재워놓고 숨죽여있으면 꼭 그때 택배가ㅡ.ㅡ
    애들을 아기랑 멀리있는방에 두던가하셔야할거에요
    훈련소는 절대 보내지마시구요
    안좋은 사건들 너무 많아요 절대 보내지마세요
    해외나가시면 비슷한 후기 검색해보시면 데려가도될거같다하실거에요
    몇시간 고생하고 가족이랑 사는게 개입장에서도 당연히 좋을거에요
    아기랑 개랑 키우면 솔직히 초반에 손이 많이가서 힘들지만 아기는 정서상 좋아요 아시겠지만^^
    아기랑 개랑 건강하게 잘키우세요^^

  • 2. ㅜㅡㅜ
    '12.7.18 8:28 PM (1.224.xxx.77)

    흠,,, ㅜ제 주변 친구 두명은.. 신혼 저부터 키워서.. 지금.. 애가 5살 됬는데도 개랑 키우고 있어요.. 그 개가.. 애 생기도 엄청 스트레쓰 받아서 털까지 뽑혔다는데.. 저는 다른 집에 보내는 건.. 정말.. 아닌 것 같아요.. 예쁠 때는 키웠다가.. ㅜ,ㅜ 예를 들어 제 친구는 개를 소파, 침대에 못 올라오게 했구요.. 특정 방도 못 들어 오게 교육 시켰어요.. 애 낳고 나서요.. 그래서 개가 애 근처에 안간데요.. 진짜 큰일 나는 줄 알구..

    그리고 애 1살쯤 되니까.. 둘이 장난치고 잘 놀아요.. 심지어.. 아기가 과자를 개한테 주근 시늉 하면서 뺏어 먹는데요.. ㅋㅋㅋㅋ

  • 3. ...
    '12.7.18 9:46 PM (1.247.xxx.247)

    상근이 아빠 이웅종씨가 그러더라구요.
    외출하거나 통제가 힘든 상황일때 케이지에 넣어두라고요. 말안들으면 겁주지 마시고 케이지에 몇시간 두세요 개도 그게 편하데요. 사람입장에서 생각하지 말고 개 입장에서 생각하래요. . 개는 주인에게 복종당할때 편안함을 느낀데요. 사랑과 권위를 적절히 쓰세요.
    힘들지만..

  • 4. 원글님
    '12.7.19 12:59 AM (124.61.xxx.39)

    아이랑 같이 키우겠다고 노력하시는 그 마음 참 대단하고 존경할만 해요.
    다들 임심과 동시에 개따위... 버리는 일 흔하잖아요.ㅠㅠ
    일단 배변판이라도 화장실이나 베란다쪽으로 이동해야 할거 같아요.
    아이가 기기 시작했다면 순식간에 손으로 만지고 입으로 가져갈 수도 있잖아요.
    그리고 강아지가 택배기사가 오면 짖는다고 하셨는데... 초기에 교육이 안된거 같아요.
    흥분하거나 무서워할때 주인의 명령하거나 안심시키면 짖지 않는게 기본이거든요.
    지금이라도 안된다고 훈련시키세요. 서로 지킬건 지켜야 힘들지 않지요. 아이도 잠깨면 얼마나 짜증나겠어요?
    늘 아이가 먼저, 아이가 일순위라는 인식을 심어줘서 만약에라도 개가 함부로 대하지 못하도록 서열을 확실하게 정해주세요.
    그럼 아기랑 강아지랑 얼마나 잘 노는데요. 울 조카들 어릴때도 울 개님 아파도 힘들어도 늘 놀아줬어요.
    지금 생각해도 짠해요. 개도 생각이 있어서 어린 애기들보면 자기가 지켜줘야한다고 느끼나봐요. 책임감 가지고 잘 참아줬어요. 서로 순수해서 잘 통하더라구요. 조카들이 실수로 세게 가격(?)해도 화내지않고 자기는 힘 안줄려고 안물려고 노력하는게 보였거든요.
    그리고 원글님과 떨어져사느니... 열 시간 비행기 타는거 참는게 백만번 낫지요.
    개들은 가족에게 버림받으면 평생 죽을때까지 원글님만 기다릴텐데요.

  • 5. 음.
    '12.7.19 11:13 AM (222.107.xxx.181)

    저도 개 먼저 키우다 아이를 낳고 키웠지만
    크게 문제된건 없었어요.
    길어야 1년,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 것이고
    괜찮다고 생각하면 다 괜찮은 일들입니다.
    낮잠 자다 개가 짖어 깨면 다시 재우면 되고
    못재우면 깨어나서 놀면 되는거고.
    그런저런 이유들로 개를 다른 곳에 보낸다면
    개에게 너무 미안하잖아요.

    저희집은 이젠 아이는 크고 개는 늙어,
    같이 살 수 있는 기간도 얼마 남지 않은 듯해요.
    늙은 개는 산책도 오래 못하고
    피부가 약해져 없던 비듬도 많이 떨어지고
    냄새도 심하게 납니다.
    그래도 늙어가는게 애닯지,
    내 생활 불편한 것 때문에 개를 어디에 치운다는건 생각도 안하고 있어요.
    처음에 개를 키울 때 가졌던 그 마음 잊지 마시고
    끝까지 잘 키워주셨으면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879 '남자김치' 드셔보신 분 4 선택 2012/10/10 2,269
163878 영국 BBC 방송국 기자들에 의해 밝혀진 예수의 비밀, 3 노곡지 2012/10/10 3,585
163877 싸이가 빌보드 1위를 한들 기뻐해야하나 말아야하나 22 ... 2012/10/10 4,138
163876 (방사능) 군대 보내신 어머님들 보세요 3 녹색 2012/10/10 2,528
163875 김진 표졍이 이러네요.. 5 ㅇㅇㅇㅇㅇㅇ.. 2012/10/10 3,870
163874 정기정금 이율 높은 은행은 어디일까요? 3 마스코트 2012/10/10 2,750
163873 단호박 찌면 하얀진액 같은게 나오나요?? 6 건강요리 2012/10/10 9,436
163872 시누이 병을 속이고 결혼한 경우 49 혼인 2012/10/10 19,685
163871 거실에 버티칼 하신분들..어떤가요? 지저분해지나요? 9 dma 2012/10/10 3,535
163870 금태섭: 김진 대결시작.. 3 .. 2012/10/10 2,256
163869 지역 복지관이나 구청에서 하는 바자회 날짜 좀 알려주세요 거주지 2012/10/10 1,610
163868 오늘 백토 재밌는데요..ㅎㅎㅎㅎ 2 안 보세요?.. 2012/10/10 1,931
163867 스페인에서 살기 좋은 도시 추천 부탁요 ^^ 28 야가시아크 2012/10/10 8,269
163866 남편눈이 자꾸 부어요 4 김돌돌부인 2012/10/10 2,449
163865 겨울에도 플랫슈즈 신으시나요?? 6 .... 2012/10/10 4,839
163864 가전제품 보증기간에 관하여 1 ... 2012/10/10 1,340
163863 100분 토론보니 속 터지지만.. 2012/10/09 1,604
163862 남성연대 성재기 올린글을 보며................ 9 커피 2012/10/09 2,012
163861 제가 선택한 제주 맛집들 가보신 분들 후기 좀 알려주세요. 66 여행 2012/10/09 4,498
163860 제주 처음 가보는 데.. 제주도가 그렇게 큰가요?? 11 제주 여행... 2012/10/09 2,043
163859 남편 사후 시어머니 부양 문제... 87 abc 2012/10/09 23,945
163858 오늘 신의 너무 먹먹하네요. 15 신의 2012/10/09 2,307
163857 가수 김장훈 심경고백…"싸이 주장 사실과 달라".. 152 ........ 2012/10/09 26,865
163856 정부, 국산 쌀 비소 오염 쉬쉬 3 ㄷㄷ 2012/10/09 1,807
163855 이젠 생오미자 구할 수 없을까요.. 4 ㅜㅜ 2012/10/09 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