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금리를 내린 이유 [펌]

저녁숲 조회수 : 1,963
작성일 : 2012-07-16 20:05:15

금리를 내린 이유

 

 

금리를 올리는게 정상인데 왜 그리 못할까?

결국 금리를 내렸다. 그래서 3%라는 역대 최저금리 기록을 세웠다. 설치류 정부 들어서 최저 금리 신기록 행진은 계속되어 왔다..

따라서 한국의 적정금리 수준인 4%를 회복하려면 차기정부는 1%의 금리인상을 해야하는 부담을 지게 됐다. 애초에 미국발 금융위기를 빌미로 대폭적인 금리 인하를 해서 2010년 '쥐20(?)' 회담때 가장 먼저 경제위기를 극복했다고 선전을 했는데 진짜 이유는 따로있다..

정권 출범과 동시에 고환율 정책으로 재벌들 밀어 주기를 니까. 모든 에너지, 원자재 글구, 저가 소비재와 핵심 부품을 수입하는 한국은 당연히 물가가 폭등하게 마련이다..

그러자 정신 제대로 박힌 경제학자들이 금리인상 필요성을 주장했거든 물가가 오르니 당연한거고 근데 정부는 슬슬 금리 인상 요구를 슬슬 피하다가 금융위기가 터지자 금리를 대폭 인하 하게 된다.글구 지금까지 저금리 노선을 고수하는 중이다..

그럼 물가는 폭등하고 그렇다고 임금이 올라가는 것도 아니고, 서민들만 죽어나고 애초에 설치류 정부는 뭘 기대 했을까? 바로 부동산이다..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땅 투기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서 "박정희때 처럼 부동산 거품으로 흥청거리다. 정권 바뀌고 거품 빠지면 다음 정부에서 알아서 깨져라!" 요거다..

즉 한국인들 부동산에 환장 해서 사니까 땅투기의 원흉인 박정희가 '구국의 영웅'으로 칭송받는거고 글믄 명바기도 박정희 처럼 18년도 아니고 그렇게 딱 5년만 버티면 거품 효과로 지지율 올라가고 차기정부에서 깨지면 근엄하게(?) " 내 임기때는 경기가 좋았는데.." 요렇게 썰을 풀면서 존경받는(?) 전직 대통령이 되려고 잔머리 굴린거다..

특히 명바기가 딴건 몰라도 노가다 쪽으로는 한가닥 하잖아? 그런데 애초에 착각한 것이 박정희때는 주택이 모자라던 시절이고 지방가면 초가집에서 살던 시절이다. 그런데 대한 민국 주택보급율은 이미 노대통령 시절에 100%를 넘어섰고 실질적으로 부동산이 떨어지기 시작한것이 "노무현의 부동산 정책은 실패 !"라고 조중동이 거품을 물던 2004년 부터다. 거래량이 뚝 떨어지기 시작했거든..

실제로 조중동이 정말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길 원할까? 천만에 정말 그러믄 지들만 손해 인데? 그래서 늘 대충 비판하는 척 해왔는데 헌정이래 가장 게거품을 물었던 시절이 참여정부 시절이다.왜? 진짜로 떨어 지니까...

그런데 그거 아나? 노 대통령은 한번도 부동산을 잡으려고 한 적이 없다는거. 다시 말하믄 노 대통령은 부동산이 오르는 것이 문제가 아니고 서울과 수도권만 오르고 지방은 늘 그 수준인 불공정한 상황을 시정하려고 했다.

그리고 그로 인해서 수도권의 부동산이 하락해도 지방이 좀 살아나서 균형도 맞추고, 또 지방 사람들 그동안 불공정하게 지방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재산상의 손해를 입는 관행도 바꾸려고 한거라고..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일본처럼 부동산이 무너져서 장기 침체로 가는 것을 막으려고 한거야. 그래서 수도이전을 추진한거고 , 수도권은 다주택 보유자들에 대한 누진세 부과, 다시 호화 주택에 대한 세제 감면 중지, 거기에 종부세 부과, 그러고 나서 다시 자금 규제 등등 으로 눌러 대면서 지방은 수도이전을 통해서 과거 수도권에만 집중되온 개발혜택을 나눠주고 지방 정부 세수도 늘려 주고 하면서 전체적으로는 부동산 폭락을 막고 연착륙 시키려고 한거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것은 가장 혜택을 볼 지방사는 촌놈들이 줘두 못 먹은거 되겠다. 박근혜는 수도이전에 찬성해 놓고 총선에서 패하자 헌법소원을 통해 행정수도로 배신 때리고 명바기는 그 마저도 뭉게려고 했지?

자고로 민도가 떨어지면 민주주의는 안되는 거야. 명바기는 노 대통령과 정 반대로 4대강으로 지방 경기 활성화하고 수도권은 뉴타운으로 거품경제를 만들려다가 말아먹었는데..

솔직히 박정희시절에도 못했을 만큼 각종 부동산 투기 관련 규제는 다 풀고 세금은 깎아 줄 수 있는 만큼 갂아 줬는데도 안되니까 최후의 수단인 금리인하를 들고 나왔다..

이게 뭘 의미 할까? 올해 경제성장율은 3% 정도를 국내외에서 예측하고 있는데 아엠에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중국의 경우 역시 올 상반기 7%대 성장에 그치자 당장 고용문제가 심각해 졌다. 실업자 최소5천만은 늘어난거다, 근데 문제는 앞으로 유럽과 미국의 경기가 회복되지 않으면 수출이 줄어 들것이고 그러믄 실업자 1억 증가는 아주 쉽다..

한국의 경우 물가를 그렇게 올려 놨는데도 성장율이 참여정부 보다 떨어지믄? 고용은 늘어나지 않고 물가는 오르고 특히 청년실업은 전체 실업율의 두배가 넘고 거의 내란 , 폭동을 우려 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김 대중 대통령 시절에 구조조정할 때 당시 국민의 정부는 폭동 가능성 까지 염두에 두고 정책을 추진했거든 근데 지금은 상황이 더 않좋다. 특히 당시는 그래도 어떻게던 아엠아프 벗어나믄 되겠지... 하는 희망이라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것도 없다..

그런데 금리를 올리믄 어떻게 될까. 미국이나 일본 처럼 된다. 현재 가계대출이 위험수위라서 금리를 인상하면 특히 명비가 취임 할때쯤 은행에서 돈빌려 아파트 산 인간들 파산할거다. 건설회사 줄 도산할거고 일본 미국처럼 부동산 폭락으로 뉴타운 망한다. 아엠에프 시절이 그리워 질거다..

2년전 이맘때 쥐 20 할때 부터 금융위기때 일시적으로 내린 금리를 순차적으로 올렸어야 했다 그 당시가 적기였거든 그랬으면 물가도 어느 정도 잡을 수 있었는데 못한 이유는 그노무 부동산 때문이다..

거품만 생기믄 되는데 좀처럼 안생기쥐? 그러자 금리를 미국이나 일본 처럼 내리기 시작했다. 다른 방법은 없고 사실상 포기 했다는 뜻이다..

즉 부동산 폭락은 이미 진행중인데 '부동산 폭락!' 이란 조선일보 헤드라인만 막겠다는 거다. 그러고 나서 차기정권으로 떠넘기자는 수작이다. 어차피 정권바뀌면 조중동을 비롯한 국산언론들이 협조해 줄테니 내 보기에 불가능한 꿈은 아니다...

 

 

 

 

출처  http://cafe.daum.net/knowhowup/Dnqf/449

 

 

IP : 58.235.xxx.43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솔직히
    '12.7.16 8:44 PM (211.61.xxx.218)

    야당이 집권해도 못올려요. 하우스 푸어는 이념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 2. 글은
    '12.7.16 9:02 PM (121.162.xxx.111)

    읽고 댓글 좀 달면 좋은데?

    원글은 금리인상 시기를 놓쳤다는 말이고 지금은 올릴수도 없다 뭐 이런것 같은데....
    야당이 여기서 왜 나오는 지..쩝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252 내 딸 서영이가 재미없어졌어요. 아빠가 사위대신 교통사고 당하는.. 9 서영이 2012/10/22 4,426
169251 노무현이 뭐를 잘못했냐고? 11 넘쳐흘러 2012/10/22 1,875
169250 일부 친노들의 반쪽 사퇴를 가지고 너무 유세떠는것 같네요. 13 눈가리고아웅.. 2012/10/22 1,314
169249 코스트코 회원 카드 빌려주시나요? 26 2012/10/22 8,117
169248 서해여행 도와주세요 천개의바람 2012/10/22 1,688
169247 토니가 먹고 싶다던 슈와마 도루아미타불.. 2012/10/22 3,105
169246 슬라이스치즈 추천좀요.. 1 샌드위치 2012/10/22 1,546
169245 11월5일에 태국 파타야 여행 팁좀 부탁드려요 2 창민대박 2012/10/22 1,441
169244 새누리의 NLL 드립은 결과적으로는 잘못된 전략 3 청순한 그네.. 2012/10/22 1,118
169243 폰요금 줄이는 어플이라고 혹시 아시나요? 곰돌잉엄마 2012/10/22 964
169242 고춧가루땜에 클났어요 ㅜ.ㅡ 2 아악.. 2012/10/22 1,884
169241 집에서 산후조리 하려고해요. 조언 말씀 좀 부탁 드려요~ 2 산후조리 2012/10/22 1,902
169240 누가 저희 언니 좀 말려줘요ㅠㅠ 2 하비탈출도전.. 2012/10/22 1,697
169239 익명으로 학교에 건의하는 방법 2 뭐가 좋을까.. 2012/10/22 1,156
169238 쿠팡, 티몬 같은곳에서 산 티켓들 환불 되나요? 5 계획성있게 2012/10/22 1,244
169237 요즈음 무슨반찬 해서 드시나요? 11 333 2012/10/22 3,763
169236 돈을 받아야 하는데 말이 없네요 4 .... 2012/10/22 1,623
169235 다섯손가락에서 ????? 2012/10/22 875
169234 이젠 다 내려놓을라구요. 8 노처녀 2012/10/22 2,602
169233 과속 위반 과태료 통지서를 받았습니다.. 5 ... 2012/10/22 2,637
169232 운동하는데 계속 소변이 나와요 ㅠ 5 혀니맘 2012/10/22 2,676
169231 사진인화 빠른곳 ~ 추천해주세요 !! 2 어디 2012/10/22 1,150
169230 썬라이더 화장품 써보신분 계신가요 1 사과나무 2012/10/22 1,266
169229 임신 말기 가진통이 삼일간 지속된 분들 계세요? 3 아일랜드 2012/10/22 2,314
169228 마카롱이나 쿠키 괜찮은 곳 추천해주세요ㅎㅎㅎ 4 foreve.. 2012/10/22 1,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