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깡통아파트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요

운지 조회수 : 5,387
작성일 : 2012-07-13 16:04:43
몇년 전 부동산 버블이 있던 시기에 빛을 무리하게 내서 비싼 아파트를 샀다가, 빛도 못 값고 집도 날리는 사람들의 처지를 빗대서 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모멸적인 표현에는 아파트라는 주거시설에 대한 총체적인 회의론까지도 깔려 있는 듯 합니다. '이제 아파트는 한물 갔다'거나 '아파트는 대지지분이 작아서 세월이 흐르면 감가상각 되고 깡통 된다'는 식의 논리죠.

그런데 아파트가 깡통이 되면, 단독주택이나 다세대나 연립도 똑같이 깡통이 되는 게 수순입니다. 또한 세월이 흘러서 낡는 건 아파트나 단독이나 다세대나 연립 다 마찬가지입니다.

아파트가 싫다고 다세대를 선택할 사람은 없을테고, 대안은 단독일텐데.. 서울 요충지에 단독주택 사려면 가격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상위 0.1%가 아니면 힘들겁니다.

그렇다고 수도권 외곽 전원주택? 이건 아파트보다 더 깡통이 됩니다. 아파트야 가격이 폭락해서 그렇지 환금성이라도 있지만, 전원주택은 거래마저도 안됩니다.

물론 아파트의 대지지분이 작은 건 사실입니다만, 어차피 때려부수고 재건축해서 일반분양 왕창 받을거 아니면 대지지분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즉 단독주택이 대지지분이 많기는 하지만, 그 단독을 부수고 대지지분을 활용해 원룸이나 다세대를 올려서 월세를 받아먹을게 아니라면 대지지분이라는 것도 뜬구름이나 마찬가지라는 겁니다.

만약 대지지분 많은 아파트가 낡으면? 이미 용적률이 높기 때문에 재건축 과정에서 많은 일반분양은 불가능할테고, 1:1 재건축을 하거나 대수선 리모델링을 하거나, 증축 리모델링을 해야 할겁니다. 

이 경우 집주인들의 재정상황에 따라 방향이 달라지겠죠. 집주인들이 돈이 썩어넘치게 많은 동네라면 분담금 3~4억원씩 각오하고 1:1 재건축을 할 것이고, 그게 아니라면 배관 및 보일러, 도색, 철근 보강, 주차장 리모델링 정도에 그치는 대수선 리모델링을 하겠죠. 기존에 모아둔 수선충당금에 합쳐서요. 그런데 이건 아파트 뿐 아니라 다세대나 단독주택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리모델링 비용에서는 수백가구가 모여 있는 아파트가 한꺼번에 공사를 하는 것이 단독보다 더 싸게 먹힐 수도 있죠. 

따라서 현재 초토화된 부동산 시장의 실상을 표현할 때 '아파트는 한물 갔다'고 하는 것 보다는 '주택은 한물 갔다', 또는 '부동산은 한물 갔다'고 하는 게 설득력이 있을 듯 합니다.

IP : 121.166.xxx.13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7.13 4:07 PM (115.21.xxx.185)

    단독주택은 '대지지분'이 있는 게 아니라 '등기 된 자기 땅'이 존재합니다.
    아파트는 자기 땅이 없어요. 건물만 있는 거라서 사실상 '부동산'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건물을 허무는 순간, 아파트 소유자분들에겐 땅은 사라지는 거에요.
    자기 땅 지분에 자기 마음대로 뭘 할 수 없어요.

    아파트 소유자분들이 착각하시는 게 '대지지분 = 내 땅'이라는 겁니다.
    두 개는 법적으로 아예 달라요.

  • 2. ...
    '12.7.13 4:34 PM (218.236.xxx.183)

    전원주택이 들어갈 때 마음하고 달리 이래저래 나오는 분들도 많고
    막상 팔려고 하면 들어간 돈도 못받는 일 많은건 맞아요...

  • 3. ㄹㄹ
    '12.7.13 5:51 PM (110.14.xxx.201)

    뭐 이런 생각하시는 분은 하는거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0805 허리통증 뭐가 문제일까요ㅠㅠ 1 ..... 2012/07/19 1,906
130804 다들 생리 끝나면 살 잘빠시나요? 3 dㅇㅇ 2012/07/19 2,944
130803 저랑 남편 누가 더 잘못인지 봐주세요. 228 이렇게 2012/07/19 27,634
130802 소개팅 후.. 이남자 뭔가요 95 샬를루 2012/07/19 19,612
130801 태풍에 온 창문 꼭꼭 잠궜어요 4 바람소리 2012/07/19 2,755
130800 거실이나 방안에 두신 TV 몇인치 두셨어요? 6 .... 2012/07/19 2,171
130799 남편이 보고싶어요.ㅠㅠ 76 eliema.. 2012/07/19 17,662
130798 유기농양파와 양파즙 다해채 2012/07/19 1,349
130797 추적60분 1 zzz 2012/07/19 1,530
130796 지름신 무찌르는 비법 공유해주세요 14 진짜고만 2012/07/19 3,157
130795 광희 왜 이렇게 웃겨요? 27 라디오스타 2012/07/18 8,472
130794 매직타일 써보신 분 계신가요? 1 시도 2012/07/18 2,475
130793 유사나 뉴트리션.. 2 초보엄마 2012/07/18 2,063
130792 미드 그레이아나토미 전 어디서부터 봐야할까요 더치 2012/07/18 926
130791 한의원에서 하는 성장크리닉 해보신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1 ... 2012/07/18 1,221
130790 음... 밥차 너무 좋았어요. 하지만... 29 이런의견도 .. 2012/07/18 6,474
130789 로맨스가필요해2 정유미, 이진욱과 김지석 사이에 밀당 시작하다!.. 지훈열매라인.. 2012/07/18 2,372
130788 오늘 유령 쫄깃하니 최고로 재미있었네요 12 소소커플 2012/07/18 3,132
130787 면보 깨끗하게 하는 요령 있나요? 3 면보 2012/07/18 2,487
130786 유령~~~~^^ 4 팔랑엄마 2012/07/18 2,243
130785 9월말에 보라카이...비오나요? 1 로키스타 2012/07/18 1,590
130784 급해요.. 꽁치 통조리 고양이 줘도 되나요?? 4 행복한봄 2012/07/18 2,735
130783 매실액을 담갔는데 윗부분이 자꾸 하얀곰팡이가 생겨요 4 미래 2012/07/18 2,512
130782 난방을 했어요 6 ㅎㅎ 2012/07/18 2,318
130781 병행수입? 구매대행? 가격차이가 왜이리 나는건지....좀 알려주.. 6 유모차 2012/07/18 3,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