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포괄수가제 광우병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hermine 조회수 : 1,033
작성일 : 2012-06-20 13:35:11

http://bbs3.agora.media.daum.net/gaia/do/petition/read?bbsId=P001&articleId=1...


포괄수가제가 뭐냐하면

지금은 행위별 수가제라서 치료를 많이 받으면 돈을 많이내는데
포괄수가제하면 어떤치료를 받든 똑같이 돈을 낸다.

예를 들면 맹장수술이 30만원이야.

그냥 손으로 꾹꾹 눌러보고 수술방들어가도 30만원주고

피검사랑 CT까지 다 찍어봐도 30만원을 나라에서 줘.

너네가 의사라면 어떻게 하겠니?  물론 양심적인 의사라면 그래도 손해봐가면서 검사할건 다하고 수술해야겠지만

일반 월급쟁이 의사들은 그렇게 하다 병원에 이익이 안되면 직장 짤림 

병원장 눈치보면서 최대한 적게 검사하고 일단 수술부터 할거임

그럼데 맹장염 증상중에 실제로 맹장염 아닌경우도 꽤 많거든.


맹장수술하고 문제가 없어서 3일만에 퇴원을 해도 30만원을 줘

맹장수술하고 합병증이 생겨서 중환자실까지가고 한달동안 입원을해도 30만원을 줘 (실제로 치료비는 200만원 이상드는데)

돈 조금 내면 좋을거 같지?

그런데 문제는 의사들은 대충 검사하면 누가 합병증 생길 환자일지 알아낼수가 있거든

그럼 그 환자는 수술하면 오히려 병원에 손해를 볼테니 수술못한다고 큰병원가라고 하고 전원을 할거야.

대학병원도 포괄수가제니까 30만원에 수술을 해주겠지만 그 포괄수가제에서 상급병실료 (1인실 비용. )는 제외야

수술비는 30만원내겠지만. 하루밤에 병실료 100만원씩 한달내야하는거임.


무슨 재료를 써도 같은 값을 쓴다면 당연히 최대한 싼 재료를 쓰게되어있음.

경쟁하니까 괜찮을거라고? 그런데 문제는 그 경쟁의 결과를 제대로 판단할 의학적 지식을 환자가 갖고있지 않다는거지.


지금 의심되는건 명박이가 보험사에서 돈받고 이짓을 하는거 같다는거지.

지금 왠만한 실손보험 다들었잖아.

맹장수술하고 아프다고 5일입원하고 보험사에 돈청구할 사람들이

3일만에 병원에서 쫓겨나면 보험사들은 돈이 덜나가겠지.


그리고 더나아가서 그런식으로 의료가 일괄적으로 하향표준화된다면

상류층 사람들이 그 저질 의료에 만족하고 적응할까?

아마 돈을 더내더라도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는 민영병원을 설립하자는 여론이 나올것임.

결국 포괄수가제는 민영화 로 가기 위한 수순으로 의심되고 그런 계획을 지금 보건복지부 장관이란 사람이 이미 밝힌바가 있다.


서울대 의대교수란 사람이 나와서 포괄수가제 해도 의료질 안떨어진다고 방송에서 얘기하다가

자기가 수업시간에 강의록에 포괄수가제- 의료의 질 하락 이라고 써놓은거 상대편 패널이 들고나와서 멘붕한게 일주일전이다.

나중에 포괄수가제된다음에 울지말고 지금들 가서 서명좀해라. 심각한 문제다

광우병소고기보다 훨씬 심각한일이야


...
.
.
.
디씨에서 퍼와서 말투가 좀 그런데요; 심각성을 많은 분들이 아셔야할거 같아서요.


IP : 218.153.xxx.22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6.20 2:04 PM (27.1.xxx.88)

    의료민영화의 헬게이트가 드디어 열리는 준비단계죠...
    서서히 조금씩 이렇게 아리송 하게 시작하니
    국민들은 의료민영화는 절대 아니라고 속는거죠.....

  • 2. rinrin
    '12.6.20 3:10 PM (122.202.xxx.102)

    상식적으로 정찰제 수술에서 신기술이나 양질의 의료재료를 사용하는것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또 당장은 별 사고가 없더라도 정해진 가격에 틀에짜인 수술만 하면 10년후 의료의 질 어떨까요?

  • 3. ...
    '12.6.20 3:18 PM (210.178.xxx.200)

    현재 행위별수가제를 적용하고 있는 시점에서 의료의 질이 높다고 생각하는지? 과잉진료를 하면 의료의 질이 높다? 지금 우리 의료계가 의료의 질이 높은지도 판단해야될 것 같아요. 병원 경영이 어려울 정도로 제의 수가가 미흡하다면, 원가자료 공개해서 국민과 정부를 설득시켜 주세요. 수가가 낮아 싼 재료를 쓰겠다라고 한다면, 행위별 수가제에서 비싼재료 썼는지는 국민이 어떻게 알까요? 비급여 내역을 일일히 설명해주지도 않는데.

  • 4. ***
    '12.6.20 5:15 PM (14.37.xxx.245) - 삭제된댓글

    보험수가가 원가에 못미친다는 건 심평원 자료에서 나온 이야기입니다.
    의사들 단순 주장이 아니고요.
    (의사들은 사고체계가 근거중심의 접근법으로 단련이 되어 있어서
    근거없이 단체로 주장하기 어렵습니다.)

    토론프로그램에서 보건복지부 과장도
    원가 이하라고 본인 입으로 말을 한 바 있으니
    확인하고 싶으시면 sbs시사토론 다시보기를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의사들이 책정한 원가가 나오고
    수가가 거기에 못미친다고 하면
    그걸 믿겠어요?
    안믿으실 거잖아요.

    이제까지는 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수가를 다른 것으로 보전해서
    그 수가로 이만큼이라도 질을 유지해왔는데,
    이제는 그게 불가능해졌으니
    의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수밖에 없다는 거고요.

    여기서 의사 양심 운운하지 마세요.
    이제까지 양심때문에 수가게 걸맞는 저질치료 안하고
    수준을 유지해 온 의사들이
    만날 욕이나 들어먹으니
    의사들도 힘빠진지 오래되었어요.

    그나마 수가를 다른 것으로 보전할 길을 서서히 다 막을 거기 때문에
    양심이고 뭐고 어쩔 수 없는 겁니다.

  • 5. ***
    '12.6.20 5:16 PM (14.37.xxx.245) - 삭제된댓글

    재정이 안좋아서 어쩔 수 없이 시행한다고 친다면
    적어도 정부에서 거짓말은 하지 말아야지요.
    이러저러해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사정이 이러니 의사및 국민여러분들께서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
    이리 나와야 하는 거죠.
    뻔히 예상되는 문제를 문제없다고 거짓말을 하는 것이 아주 문제라는 이야기입니다.

    설명을 안해주는 것이 문제라면
    설명해달라고 하면 됩니다.
    요구하시면 되요.
    그거 안된다고 예외없는 강제적용을 한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겁니다.

  • 6. ***
    '12.6.20 5:17 PM (14.37.xxx.245) - 삭제된댓글

    그리고 늘상 나오는 말이지만
    행위별 수가 하에서 과잉진료할 만큼 양심도 없는 의사들이
    포괄수가제 하에서 저질로 치료하지 않을 거라는 것을
    어떻게 믿습니까?
    말이 안되지 않습니까?

  • 7. 포괄수가제
    '12.6.20 8:02 PM (121.181.xxx.203)

    포괄수가제 시범으로 하는병원에서 저희친척이 일하는데요.
    들어보니까 맹장염이나 암튼 포괄수가제 하는질병같은경우
    환자가 맹장염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그럴경우
    ct나 초음파같은것 안한다고 하더라구요 돈도 안되고..
    바로 수술실들어가서 개복한다고 하던데요???
    좀 환자들한테 안좋을수있을것같긴해요.
    지금이야 몇개 질병군에만 해당되지만 전적으로 시행된다면 문제많을 제도져..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7215 최정우 검사랑 미친소 팀장 둘 다 총각이라네요 5 유령추적자 2012/07/12 2,917
127214 캐리비안 베이 가는데요 10 궁금 2012/07/12 3,204
127213 어깨 관절이 약해져서 팔이 아프다는데..이거 치료해 보신분? 1 .... 2012/07/12 1,228
127212 외장하드를 꼽아서 티비에서 볼수 있다던데.. 9 ee 2012/07/12 1,915
127211 도시가스료 많이 올랐나요?? 궁금 2012/07/12 1,127
127210 미성년자가 보호자없이 택시타고 교통사고 났을때에 대해서요 3 답변절실 2012/07/12 2,302
127209 기준금리 인하로 대출·예금금리도 내주 내린다 물가는???.. 2012/07/12 1,648
127208 피마자오일 사용하신분들~ 오일 2012/07/12 2,454
127207 아모레화장품 방판에서 파는 오메가3 1 요술공주 2012/07/12 3,646
127206 포토샵 질문입니다 4 포토 2012/07/12 1,304
127205 BBK 가짜편지' 전원 무혐의…檢 "배후없다".. 7 세우실 2012/07/12 1,646
127204 요즈음 남자 대학생들 대부분 평균 9년 3개월 만에 졸업 6 대학생 2012/07/12 1,955
127203 청심국제학교 4 푸른하늘 2012/07/12 2,570
127202 일본어고수님들~ 책 좀 추천해주세요!! 1 일본어 2012/07/12 1,171
127201 현*대자동차 그**를 살려고 해요. 싸게 살수 있는 방법 없을까.. 3 대전맘 2012/07/12 1,472
127200 스맛폰으로 접속하면 82에 광고가 넘쳐나네요. 4 헉~ 2012/07/12 1,280
127199 마트나 백화점에서 기저귀 어디서 갈지요? 14 엄마 2012/07/12 2,216
127198 자게에선 닉네임으로 검색이 안되나요? 4 자게검색 2012/07/12 1,107
127197 우산 여러종류로 보고 살곳 없을까요? 아지아지 2012/07/12 969
127196 중학생 영어 과외 관련..학부모님 입장에서 조언 부탁 드려요 3 조언부탁드려.. 2012/07/12 2,538
127195 혹시 금수레 라는 과자 아시는 분은 안계신가요? 1 70년대 2012/07/12 1,890
127194 장마인가요? 신랑이 놀러가자는데 ㅜ.ㅜ 5 쑨대렐라 2012/07/12 1,963
127193 외장하드에 하루 종일 자료 옮겨도 되나요??? 5 ee 2012/07/12 1,396
127192 예쁜 아기 이름 아이디어 좀 주세요~ 10 dmgmgm.. 2012/07/12 2,437
127191 일산후곡마을대한통운택배기사... 6 짜증 2012/07/12 2,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