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벌이 실수령 얼마정도면 맞벌이 안해도 될까요?

조회수 : 11,283
작성일 : 2012-06-20 11:01:55

친척언니가 공무원부부예요.

 

둘다 7급이고 월 실수령평균 500은 됩니다.

 

초딩 아이 하나있구..

 

근데 만날때마다 쪼들린다고 해요..

 

핸드폰이 고장나서 잘 되지도 않는데, 할부금20만원 남은게 아깝다고 바꾸지도않아요.

 

저정도면 괜찮다 싶었는데, 옆에서보니 참...

 

 

만약 외벌이라면 실수령기준 월 얼마이상이면 외벌이도 괜찮을까요?

 

아까 기사보니까 세전으로 500이면 외벌이하겠다는 맞벌이 부부가 많다는 기사..

 

댓글들은 세후면 모를까 세전이면 택도 없다라는의견들..

 

맞벌이 하시는분들. 외벌이 월 실수령 얼마 이상이면 직장 관두시겠어요?

 

IP : 118.33.xxx.16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나가다
    '12.6.20 11:05 AM (203.247.xxx.210)

    남자도 그만 둬도 되나요?

  • 2. ......
    '12.6.20 11:06 AM (121.101.xxx.244)

    남편이 세후 450정도만 되도 외벌이하겠어요~~ 크게 사치안하고 살고 걍 욕심안부리면~

  • 3. ..
    '12.6.20 11:07 AM (1.225.xxx.56)

    지나가다님! 당근이죠.
    대신 한쪽이 전업주부(夫, 婦)이면 집안일을 완벽하게 다 해야 하는거 아시죠?

  • 4. ..
    '12.6.20 11:08 AM (175.116.xxx.107)

    세후500이면 저한테는 애둘키우면서 낙낙하게 살것같네요..

  • 5. 흠..
    '12.6.20 11:10 AM (175.202.xxx.94)

    전 집의 전세나 자가 유무...
    대출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6. 400-500선이 보통같아요
    '12.6.20 11:11 AM (112.168.xxx.63)

    세후 받는 금액이 400-500선은 되어야 외벌이로 가능한 거 같아요

  • 7. 상황에 따라..
    '12.6.20 11:11 AM (14.47.xxx.160)

    아이가 몇인지. 초등인지 중고등인지.. 시댁이나 친정에 들어가는 돈은 없는지..
    제 경우에는 시댁생활비에 중고등 아이 둘이니 적어도 남편이 실수령 800정도는 벌어와야
    맞벌이 접을수 있을것 같아요.

  • 8. ^*^
    '12.6.20 11:13 AM (118.217.xxx.64)

    540 받고 7월1월에 인센티브 나오는데 중,고딩 과외에 적금 조금 하고 그러면 제 옷 살 돈도 없어요, 물려 받은거 없이 맨땅에 헤딩하며 일어나니 여유가 없어요, 시댁에서 결혼때 1원도 안보태주고 살면서도 바란적 없고,,, 집사고 차사고 애들 가르치며 나름 노후 준비하는게 다 입니다, 저는 700은 받아야 할듯 싶어요, 저 아직 폴더고 변변한 외출옷도... 남편이나 애는 적당히 입지만 가정주부인 저는 ㅠㅠㅠ

  • 9.
    '12.6.20 11:17 AM (121.143.xxx.126)

    경기도 신도시에 30평대 집한채, 오피스텔 하나 보유해서 월세나오고는데, 외벌이 400만원 조금 넘습니다.
    아이둘 초등 저학년인데, 사고육 하는것 별로 없고, 크게 낭비하는것도 없다 생각하는데, 저축 거의 못합니다. 시댁,친정에 나가는것도 하나없는데, 한달벌어 한달 쓰면 거의 딱 맞는 수준이네요.

    그래도 이정도면 그냥 외벌이에 살만 하다 싶었는데, 아이 고학년고 중.고등생되서 사교육비 증가하면 제가
    돈벌러 나가야 할거 같아요. 현재 집에서 10년째 살고 있어 좀 넓은 집으로 이사가고픈 맘이 굴뚝 같은데, 엄두가 안나네요. 결혼 12년차 아이들과 결혼 10주년으로 사이판 여행 다녀온게 가장 크게 돈써본거 같아요.
    아이들 더 크기전에 해외여행 다녀오고 싶은데, 여유가 없어요.ㅠㅠ

  • 10. 동감
    '12.6.20 11:30 AM (59.7.xxx.28)

    휴님하고 비슷해요.. 경기도신도시 매달 450 정도 되는데
    애들이 저학년 고학년 되다보니 한달 사교육비 백만원이에요
    이백오십정도로 생활비를 맞추려고하는데 카드값보면 항상 삼백만원이되고 남편도 용돈써야하고
    간신히 빚만안지는 상황이에요
    노후대책하려면 작은애 좀 크고 맞벌이안하면 힘들죠

  • 11. .....
    '12.6.20 11:36 AM (39.115.xxx.251)

    저희는 외벌이인데 남편 월급 세후 340이구요.
    갓난아기 한 명 있구요.
    경기도신도시이고. 다행히 아파트30평대 시댁에서 해주셔서 있구요.
    저축에 대한 아주 큰 부담감은 없지만 그래도 노후대책, 교육비마련으로 적금을 들어야겠는데
    매달 카드값 200만원; 남편 용돈, 제용돈, 공과금 하면 마이너스 안 날 정도로만 살고 있어요 ㅠㅠㅠㅠ
    현금이 없으니 생활비는 또 카드로 쓰게 되고. 그게 합치면 매달 200정도 나오더군요 ㅠㅠ

  • 12. .....
    '12.6.20 11:38 AM (39.115.xxx.251)

    참. 차 유지비도 무시못하는 것 같아요.
    처녀때 끌고 다니던 차 시집오면서 그대로 갖고 왔는데....처분할까 생각중이에요 . 보험료도 그렇고 정기수리비에, 기름값에 유지비가 꽤 많아서요ㅠㅠ

    제 생각에는 적금도 들고, 살짝 낙낙하게 살려면 세후 500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아이 교육비 많이 들어가면 또 얘기는 달라지겠지만요 ㅠㅠ

  • 13. 음..
    '12.6.20 11:49 AM (203.125.xxx.162)

    제 생각은 다른데요. 원글의 대 전제는
    맞벌이의 원인이 전적으로 남편의 벌이 수준에 달려있다는 걸로 깔려있는데요,

    남편 벌이가 백만원이 되었건 수억이 되었건 보통 맞벌이의 원인(?)은 와이프의 벌이 수준에 달려 있는것 같거든요. 남편이 수억원을 벌어도 와이프가 수십억원을 벌 능력이 있으면 보통 그 능력이 아까워서라도 계속 그 능력을 사회에 발휘하지 않겠어요.
    그리고 남편이 월 2-3백만원을 벌어도 와이프가 나가서 벌수 있는 돈이 20-30만원밖에 안된다면.. 그 돈을 버느니 집에서 아이 건사하는게 더 나은 상황이니 집에 있는거구요.

    왜 여자가 밖에 나가는게 남편이 돈을 어느정도 이상 못벌어서..일때뿐이라고 생각하시는지...

  • 14. 에휴
    '12.6.20 11:56 AM (203.232.xxx.5)

    많이 벌면 벌수록 씀씀이가 크고 헤퍼집니다.
    그냥 그 환경에 맞춰살게되어있는 거같아요,
    많이 벌면 많이 써서 부족한거같고, 적게 벌면 아껴스면서 부족하다 느끼고...인간인지라...

  • 15. .....
    '12.6.20 12:00 PM (39.115.xxx.251)

    돈에 상관없이 맞벌이 하겠다는 사람도 있는거고
    돈이 충분하다면 직장을 굳이 다니고 싶지 않은 사람도 있는거지요.
    남녀 노소 막론하고 이런저런 유형있는 거 아닌가요?
    제 친척동생(남자)도 그러더라구요? 한달에 300정도만 나올곳 있으면, 자긴 직장 때려치고, 소박하게 살겠다고 ㅋㅋ 참 아직 싱글임.

    여자든 남자든
    일하는게 좋은 사람도 있는거고
    집에서 유유자적하고 싶은 사람도 있는건데
    몇몇 사람들 보면 참 다양성을 인정 못하는 것 같아요

  • 16. ..
    '12.6.20 12:50 PM (125.241.xxx.106)

    집이 문제더라고요
    공무원 봉급 둘이 해야
    집 없으면 정말 힘듭니다

  • 17. 빡빡
    '12.6.20 12:51 PM (175.252.xxx.148)

    세후 400받는 외벌이에 중딩,초딩 키우며 월 100만원정도의 교육비와 60만원 정도의 대출금 이자내면서 용감하게(?)집에 있는 여자 여깄어요 쩝...

  • 18. 미미
    '12.6.20 1:19 PM (220.73.xxx.250)

    저는 주부라서 그런지 돈 벌 수 있는데만 있다면 나가고 싶은데요.
    물론 아주 적은 월급을 받고 일하느니 안하겠지만, 결혼전 다니던 수준 정도로 월급 준다는 회사 있으면 나가겠어요. 애들 다 키워놓고 나니, 참...
    남편이 월 천만원씩 제게 부쳐주고(나머지는 남편이 어떻게 쓰는지 모름), 일년에 한번 인센티브 받으면 일억 넘게도 내 통장으로 보내주지만, 남편 벌이와는 별개의 문제 아닐까요.
    날 불러주는 데만 있으면, 또는 내 능력으로 돈 벌 수 있는 일이 있다면 나가겠어요.

  • 19. 월급..
    '12.6.20 3:05 PM (218.234.xxx.25)

    4인 가족일 경우에..
    월급이 문제가 아니라 깔아놓은 돈(저금. 유사시에 쓸 수 있는 돈)이 얼마나 되는지가 문제일 것 같은데요..
    내가 월급을 1천만원 받는다고 해도 갑자기 회사에서 잘리거나 회사가 망하거나 했을 때, 내가 어제까지는 사모님 소리 들으면서 VIP라고 해도 오늘부터는 거지라는 거에요. 동산이 없으면요..

    4인 가족이라면 적어도 월 300*1년(넉넉 잡으면 2년)=3600만원~7200만원 정도는 저금 갖고 있다고 하면,
    월 700 실수령은 되어야 맞벌이 안해도 될 겁니다. 남자나 여자 한쪽만 벌어도 되죠.
    대신, 남자든 여자든 집에서 전업주부 확실하게 해야지, 이것저것 외식 많이 하고 도우미 계속 불러들이면 안되겠죠.

  • 20. ..
    '12.6.20 5:32 PM (110.14.xxx.164)

    쓰기 나름인데 둘이 합쳐서 500 인거고 대출이 있으면 빠듯하죠
    알뜰한 사람들 아니면 돈이 술술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7914 초등 6학년 수학 경우의 수,, 1 공부중 2012/07/14 2,145
127913 간만에 여유로운 토요일 오후 ~ 3 네모네모 2012/07/14 1,144
127912 강남 분당 용인 쿠킹클래스 추천해 주세요 7 20년차 2012/07/14 4,762
127911 4 : 5 = 1.2 : 1.5 가 맞는 거지요? 4 비례 2012/07/14 1,491
127910 세컨차로 경차 구입하고 싶은데 어떤게 좋을까요? 12 경차 2012/07/14 2,823
127909 습도가 높으면 숨쉬기가 힘들어요 4 습도...... 2012/07/14 6,055
127908 퍼실 냄새 진짜 좋으세요? 전 너무 이상해요ㅠㅠ 19 이상하다 2012/07/14 10,362
127907 에스프레소 머신 득템했습니다.ㅎ 6 득템 2012/07/14 2,535
127906 식당에서 고기먹고 볶아주는밥이요.. 12 .. 2012/07/14 4,514
127905 신사의품격보는데 장동건 얼굴이 좀 늙긴했네요 ㅜㅜ 5 취사반에이스.. 2012/07/14 2,211
127904 부,부,부끄러운 질문............ 6 30대 사과.. 2012/07/14 2,859
127903 미국여자들처럼 되고 싶어요 9 해마 2012/07/14 3,925
127902 치아 우식 잘 되는건 왜 그런가요? 11 치과관련 2012/07/14 3,245
127901 인터넷 하는 도중에 자꾸 쇼핑몰이 열리는 현상 6 .. 2012/07/14 2,465
127900 두피기름기 제거에 좋은 샴푸는.. 5 지성두피 2012/07/14 2,626
127899 자전거 탈때 입는옷이요 추천요망이요 1 자전거 2012/07/14 2,587
127898 잃어버린 유모 감각 12 책,,, 2012/07/14 2,545
127897 닭고기에 밥을 곁들일때 5 대기 2012/07/14 1,141
127896 남편이 저에게 하루휴가와 선물을 주겠대요ㅋㅋㅋ 3 자랑일기 2012/07/14 1,496
127895 사실 백화점도 시시하지 않나요? 10 ㅅㅇ 2012/07/14 4,219
127894 어떤 소재의 원피스를 입어야 할까요? 요즘 다 폴리에스테르에요... 4 삐리빠빠 2012/07/14 3,665
127893 빌라 1층 여자혼다 살기 위험할까요? 9 요엘 2012/07/14 3,674
127892 운전면허따려는데... 3 올해할일 2012/07/14 1,032
127891 얼마전 세입자랑 있었던 일 4 2012/07/14 2,224
127890 아침이라는 아티스트를 기억하시나요? 11 아침 2012/07/14 1,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