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몸 따뜻하게 하는 방법 있나요~?

. . 조회수 : 3,921
작성일 : 2012-06-09 18:26:31
여름에도 사람들이 손 잡으면 왜케 차냐고 해요..
몸 따뜻하게 하는 방법 있으면 음식이든 차든 뭐든
알려주세요~~
IP : 203.226.xxx.99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한여름에도
    '12.6.9 6:32 PM (220.72.xxx.183)

    찬 음료수, 찬 물, 아이스크림을 안 먹고
    실온의 물과 뜨거운 커피 등을 먹은지 7년 넘었는데,
    몸이 많이 따뜻해졌어요.

    유산소운동(달리기, 파워워킹 등)을 꾸준히(1회 30분 이상 일주일에 3회 이상) 하면
    운동 끝난 뒤의 혈액순환 잘 되는 상태가
    어느 정도 유지되어서 손발이 따뜻해집니다.

    이렇게 해서 생리통도 많이 완화되고 효과봤어요!

  • 2. 따뜻한 물
    '12.6.9 6:32 PM (1.236.xxx.72)

    저는 추울때 따뜻한 물을 한잔 마시면 몸에 온기가 확 돌아요.
    여름에도 여간 더운날씨 아니면 찬물은 가급적 삼가하고 있어요.

  • 3. 참,
    '12.6.9 6:35 PM (220.72.xxx.183)

    따뜻하게 하는 음식(호박, 표고, 찹쌀, 마늘, 닭고기, 후추 등등 ) 많이 먹고
    차게 하는 음식(수박, 참외, 돼지 등) 안 먹는 것도 가급적 지키시면 좋아요

  • 4. 소음인
    '12.6.9 6:36 PM (211.246.xxx.58)

    홍삼 녹용과 같은 음식, 유황오리, 매일 자기전 뜨거운물로 족욕 15분~20분하고 수면양말신고자기, 반신욕 추천해용~ 운동마니하시구요

  • 5. Irene
    '12.6.9 6:37 PM (121.157.xxx.182)

    장기적으로는 운동을 하는게 가장 좋겠지요.
    제가 지극정성으로 관리를 하는데도 피부가 안좋아서 한의원에 갔는데요.
    이리저리 한참 진찰을 하더니 소화기관이 안좋다면서 왕뜸이라는걸 하더라고요.
    일단 이것부터 해보고 경과를보면서 약이 필요하면 써보자라고 했어요.
    배에 왕뜸을 올려놓고 조금 있다가 와서 침을 두세방 놔주는 식이었어요. 총 소요시간은 50분쯤?
    식습관도 교정하고 해서 속도 편해지고 피부도 좋아졌어요.
    참 침은 순환을 도와주는 쪽으로 놓는다고 하더라고요.
    정말 신기하게 손발이 따뜻해졌어요.
    물론 그때가 겨울이기도 했지만 어떻게해도 발이시려서 제대로 잠을 못잤었거든요.
    운동 플러스, 보조적인 수단으로는 왕뜸 추천해요~

  • 6. 푸른산호초
    '12.6.9 6:41 PM (124.61.xxx.25)

    저 같은 경우 운동하면 그때뿐이더라구요 그런데 손바닥에 뜸을 뜬 이후로는 언제나 손발이따뜻한 편 이에요

  • 7. xlfkaltb
    '12.6.9 7:02 PM (14.42.xxx.68)

    반신욕 하세요 아님 족욕 효과 있어요

  • 8. 팥주머니
    '12.6.9 7:05 PM (118.218.xxx.208)

    몸이 찬 남편한테 팥주머니 만들어줬어요.
    전자렌지에 뎁혀서 수시로 배에 대고 있었더니 몸이 덜 차가워지는 느낌이래요.

    근데 장기적으로 보면 뭐니 뭐니해도 운동이 젤 좋아요.

  • 9. 저도
    '12.6.9 7:20 PM (121.147.xxx.151)

    평생 몸이 차거웠는데

    운동이 최고더군요.

    또 언제나 음식은 따뜻하게 물도 따근한 물 따끈한 차

    전 여름에 냉커피도 이젠 사양합니다.

    보조로 따뜻한 음식 생강 부추 등등

    그러나 가장 좋은 건 규칙적인 운동이죠.

    제가 여름에도 몸에 아불 두르고 앉아 있고

    에어컨 미워하고 선풍기 바람조차 싫어했는데

    이젠 선풍기 바람도 돌릴 정도로 사람 됐?어요 ㅎ~~

  • 10. 저도
    '12.6.9 7:23 PM (121.147.xxx.151)

    운동하며 몸이 따뜻해진 지금 생각해보니

    제가 아이스크림 빙수를 무지 좋아했어요.

    뭐 지금도 좋아해서 집에서 빙수 아이스크림 날마다 만들어 먹을 정도지만

    한 때 겨울에도 아이스크림 쟁여놓고 먹을 정도였죠.

    이젠 몸이 따뜻해지는 음식 좋아하구요.

    운동을 거의 하루도 빼먹지않고 한 시간 정도 하다보니

    손은 언제나 따끈따끈해요.

    우리 몸은 자기 습관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는 걸 느낍니다.

  • 11. ..
    '12.6.9 7:34 PM (211.221.xxx.160)

    전 홍삼먹고 손이 따듯해졌어요.
    그냥 음료처럼 먹으라고 엄마가 두박스 겨울에 주셨는데
    어느날부턴가 제 손이 따뜻해진거예요.
    남편도 너무 놀라와하며 겨울마다 챙겨먹으라 하네요. 겨울엔 제 손,발만 살짝 다도 깜짝 놀랐었거든요.

  • 12. 올리브
    '12.6.9 8:12 PM (116.37.xxx.204)

    작년 추석부터 운동 시작했어요.
    일주일 서너번 삼사십분 정도요.
    작년 겨울 남편이 놀라더군요.
    보일러 덜 틀고 추위 안탄다고요.
    저도 그리생각해요.
    운동 꼭 시작하세요.

  • 13. 저요
    '12.6.9 8:20 PM (125.187.xxx.175)

    아이 낳고 몸이 굉장히 차가워졌는데
    요가로 기초체력 약간 다진 뒤에 집에서 혼자 비디오 보면서 근력 운동 꾸준히 해줬어요.
    이제는 몸이 늘 따뜻해요. 봄에도 집안에서 끈나시 입고 다닐 정도...
    근육량이 늘어나니까 근육에서 발생시키는 열 때문이 아닌가 싶어요.

    겨울에도 잠시 춥다가도 조금만 움직여주면 바로 몸이 따뜻해져요,

  • 14. 뱀이 끝내줘요
    '12.6.9 8:36 PM (118.44.xxx.87)

    저 어릴때부터 몸에 열이 무척 많이 있었어요.
    고등학교때 교복자율화직전 하복ㅡ>춘추복ㅡ>동복 으로 갈아입는거 자율에 맡겼거든요
    친구들 춘추복입을때 저는 하복을 한 달정도 더 입고 동복입을때도 춘추복을 한 달정도 더 입을정도였어요.
    한겨울에 아무리 추워도 장갑을 10분이상 끼지를 못했어요.열이 팍팍 나서요.

    저보다 더위 더 타는 사람을 한 명도 본적이 없었는데
    주변에 2명이 저와 비교되지 않을정도로 더위를 탑니다.

    동생이 군대 있을때 땅꾼아들덕분에 뱀을 구워서 먹었다고 하는데
    그 뒤로 열이 많아져서 5월부터 에어컨을 틀고 삽니다.
    친정의 거실에 에어컨이 있긴하지만
    여럿이 함께 쓰다보니 쓰고싶은만큼 못쓴다면서 작은방에 에어컨 하나 달더군요
    동생이 친정에 사는건 아니고 한달에 한,두번 오는데도 그걸 못 참아서 에어컨을 산거예요.

    또 한명은 손 발이 몹시 차고 추위를 타던 친구인데
    아기가 생기지 않고 몸이 약하여 강원도 시가식구들과 남편친구들이 뱀술과 뱀 고은걸 여러번 주었는데
    그걸 먹고나서 이 친구 역시 5월부터 에어컨을 켭니다.

    뱀이 해롭다느니 뭐니 하지만
    제가 보기에 몸에 열내는데는 뱀 만한 보양식이 없는것 같습니다.

  • 15. ...
    '12.6.9 8:42 PM (211.234.xxx.77)

    수지뜸이라는게 있어요
    몸에도 물론 좋지만
    뜨고나면 손끝까지 따뜻해지는게
    느껴져요

  • 16. 저는 왜
    '12.6.9 8:46 PM (59.21.xxx.53)

    운동 10년 가까이 하고 있고 족욕 나름 꾸준히 여름에도 따신 음식,따신 음료

    ....그런데도 추워요

    참 한약도 먹어봤네요 ...여러재

    지금 마지막 몸부림으로 홍삼정 두병째 먹고 있는데 ...별 도움이 안되네요

    이번 겨울되기전엔 정말 고치고 싶어요

    지방이 별로 없고 근육은 과다인 체질입니다

    지방을 더 늘려야하는지...........

  • 17. 한약
    '12.6.9 9:18 PM (183.97.xxx.218)

    추위 엄청타고 여름에 발이 시러워 쇼파에서 두 손으로 발감싸고 지냈는데
    경옥고2병 선물해 준것 먹고 손발 시린것 고쳤어요
    겨울에 추위도 덜 해요
    내의 현충일까지 입던 사람이예요 ㅎㅎ

  • 18. 강추
    '12.6.9 9:25 PM (123.111.xxx.244)

    우엉차 드셔보세요.
    제가 손발 찬 거론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였거든요.
    근데 처음부터 수족냉증 때문에 우엉차를 마신 건 아니고
    지루성 피부염을 몇 달째 앓다가 여기 게시판에서 우엉차가 좋다는 글을 읽고
    마시기 시작한 거였거든요.
    피부과 약으로도 못 고치던 지루성 피부염, 우엉차 마시고 정말 많이 좋아졌어요.
    (지루성피부염으로 고생하시는 분들께 강추하고 싶어요)
    게다가 손발이 희한하게도 찬기운이 싹 가셨네요.
    제가 아주 더운 한여름 빼곤 손발에 온기가 있는 적이 없었거든요.
    신기해서 검색해보니 우엉에는 인삼에 많다는 사포닌 성분이 있어서
    혈액 순환에도 좋고, 피부 재생력에, 면역력 강화에... 알고보니 엄청 좋은 성분이 많더라구요.
    전 요즘 물 대신 우엉차 한 냄비씩 끓여놓고 물 대신 수시로 마시고 있어요.
    비용 부담도 없고 부작용 염려도 없고
    많은 분들에게 우엉차 추천하고 싶어요.

  • 19. ...
    '12.6.9 10:34 PM (121.136.xxx.158)

    몸 따뜻하게 하는데는 족욕이 좋아요. 뜨거운 물도 마셔가면서요,.

  • 20. ..
    '12.6.10 9:05 AM (115.137.xxx.150)

    우엉차 기억해야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7723 엄마의 카톡. 5 ... 2012/06/15 3,365
117722 안입는 한복 처분방법은? 1 콩나물 2012/06/15 2,974
117721 엉엉우는 작은 아들.. 7 엉엉 우는 .. 2012/06/15 2,699
117720 인간이 할짓이 아닌것 같아요..비정규직... 3 이건 정말 2012/06/15 2,061
117719 오원춘이 지나간 곳의 실종 및 미귀가자들 150여명은? 6 참맛 2012/06/15 4,031
117718 버리기 하고 있어요 4 버리기 2012/06/15 3,586
117717 요즘 부추 값이 싼가요? 8 부우추 2012/06/15 1,800
117716 나꼼수는 어떻게 듣나요? 3 ? 2012/06/15 1,153
117715 우울해요 집에 들어가기도 싫고 버스타고 여행중이네요 ㅠㅠ 2012/06/15 2,178
117714 풍년압력솥 2인용 현미밥도 잘 되나요? 10 귀여워 2012/06/15 3,997
117713 [원전]日 태평양 연안서 멸치 잇달아 떼죽음 4 참맛 2012/06/15 4,082
117712 42억 '아이파크' 27억에 팔려...거품 본격파열 2 참맛 2012/06/15 2,874
117711 나꼽살 9회.대박입니다......(꼭 들어보세요) 12 ..... 2012/06/15 3,499
117710 마늘장아찌 질문이요 2 마늘 2012/06/15 1,399
117709 밑에 친구글 보고 적어요 3 2012/06/15 1,427
117708 축하해주세요^^ 울 아들 23번이래요~~ 3 너구리 2012/06/15 2,630
117707 중학교때 무조건 악기 하나씩 해야 하나요? 3 중학생 학부.. 2012/06/15 2,376
117706 마흔 넘어 사랑니 빼신분 계세요? 11 질문 2012/06/15 3,948
117705 새똥당 알바들이 2 진화한겨? 2012/06/15 914
117704 노래방 65,000원은 뭡니까?? 7 에이씨 2012/06/15 3,185
117703 팝송 제목좀 알려주세요~~~ tonight~~~~~~~~ 22 tonigh.. 2012/06/15 4,937
117702 밀탑빙수가 그렇게 맛있나요..?? 7 ... 2012/06/15 4,092
117701 (급)소고기장조림할때 월계수잎 넣으면 냄새 이상하지 않나요 급합.. 7 장조림 2012/06/15 3,585
117700 많은 열무 도와주세요~ 2 ... 2012/06/15 770
117699 초등아이 전학하는데 언제 선생님께 말씀드려야 할까요? 2 ㅊㅊㅌ 2012/06/15 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