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며느리 호칭 - 어떻게 불리우세요?

orange 조회수 : 5,920
작성일 : 2012-06-03 11:26:36

요즘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넝굴당에 보면 강부자가 며느리인 윤여정 부를 때 얘라고 하잖아요, 저는

그게 참 듣기 거슬려요.  물론 강부자는 부드럽게 부르는 편이지만 말예요.

아마도 저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된 것일겁니다.

분가해서 따로 살고 있는데 형편상 몇달을 시어머님을 모셨는데 그동안에 많은 갈등과 힘든 시간이 있었습니다.

모시기 전에 생각했던 어머님과 너무 달라지셔서 저도 힘들고 어머님도 많이 힘드셨을 겁니다.

 

가끔 뵐 때는 얘라고 부르는것을 신경쓰지 않고 들었는데 모시는 내내 저를 부를 때 한 톤을 높여서 얘, 얘 하는데

너무 거슬리고 듣기가 싫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어머님께 부탁을 드렸어요.

되도록이면 누구 엄마라 부르던지 아니면 차라리 제 이름을 불러주셨으면 좋겠다고요.

 

당연히 어머님은 기분이 언짢아 하셨죠.  그런데 별 후회는 없어요. 남편도 속으로 끙끙 앓지말고 말씀드리라고 했고요.

앞으로 돌아가실 때까지 참고 스트레스 받으며 들어야 하는 것 보다는 말씀 드리는게 낫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그 후로는 대놓고 얘, 얘 하지 않으시고 한박자 쉬고 그렇게 부르실 때도 있고 누구 엄마라고 부르시기도 합니다.

 

사실 호칭이라는게 젊을 적에는 전혀 신경이 안쓰였는데 오십을 바라보는 나이에 그렇게 불리우는게 너무

싫더라구요.  특히나 사위눈치는 보시면서 며느리는 만만하게 대하시는게 이해가 되진 않아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불리우시는지 궁금하네요.

 

 

 

 

IP : 200.169.xxx.115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ㅈ
    '12.6.3 11:31 AM (124.56.xxx.147)

    우리 어머니는 애미야하고 불러요

  • 2. ..
    '12.6.3 11:35 AM (121.129.xxx.138)

    아가..
    누구 애미요.

  • 3. ...
    '12.6.3 11:38 AM (182.215.xxx.14) - 삭제된댓글

    저희 시부모님은 두 분다 10년째 이름 불러주세요. 전 늘 제 이름 불러주셔서 별 생각없는데...

  • 4. ...
    '12.6.3 11:43 AM (115.126.xxx.16)

    15년차 저희 어머니도 제 이름 불러주세요.

    **아, 김**
    제가 제 이름 까먹을까봐 어머니만은 제 이름으로 불러주신대요~
    워낙 어딜 가도 누구누구엄마 이렇게 불리는걸 아시니까요.

  • 5. eos
    '12.6.3 11:47 AM (200.169.xxx.115)

    좋으시겠어요.

    얘라고 불리울 때는 제가 웬지 어리고 미숙하다는 느낌과 좀 막대하는 느낌이 들어서 거부감이 왔어요.
    제 이름이나 누구엄마 이러면 괜찮을 텐데
    목소리 높여서 얘 이렇게 불리우니까 기분이 별로였어요.

  • 6. 제 이름
    '12.6.3 11:49 AM (211.63.xxx.199)

    제 이름 부르세요.
    결혼해서 아이 없을때부터 부르셨으니 아이 생겨도 그냥 이름 부르시네요.
    저희 형님도 마찬가지. 며느리들 다~ **야~~ 이렇게 부르세요.

  • 7. ..
    '12.6.3 11:58 AM (223.62.xxx.132)

    어머니는 '에미야~'라고 부르세요.
    예전에 호칭문제 글 올라왔을때 얘기한적도 있지만
    아버님은 상대불문 '이봐'라고 부르셔서
    저도 한 스트레스 했었읍니다. 지금은 안계시네요.
    그런데 호칭은 집안 문화인것같아요.
    시집와서 시어머니가 시누이를 고모,아래동서를 작은엄마로 부르셔서 한참헷갈렸는데 두고보니 이 집안 어머니 세대에선 다 그러더군요.
    동서들과 전 올바른 호칭을 정착시키고 있습니다.ㅋ

  • 8. 이름 이름
    '12.6.3 11:59 AM (211.207.xxx.157)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랑을 잘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가 이름을 자주 불러주는 거래요.
    이게 아마 자아팽창감과 관련이 있을 거예요.
    저는 제이름이 너무 이뻐서, 이름 불러주는게 제일 좋기는 해요.
    저도 동서에게 꼭 이름으로 부르고요, 부를 때도 감칠맛나게 이쁘게 불러요.
    아이들이 과목이름으로 부르는것보다 oo선생님, 이렇게 성빼고 이름 넣어 부르면 좋더군요.
    드라마에서 아들이 어머니를 '우리 박순분 여사' 요렇게 이름 넣어 코믹하게 불러주는것 듣기 좋구요.

  • 9. ...
    '12.6.3 12:05 PM (123.109.xxx.36)

    그러고보니 전 "야야" 라고 블리고있네요
    자주 뵙진않으니 크게 신경쓰진않았구요
    3인칭으로는 00어미 라고...이름은 아실라나..ㅠㅠ

  • 10. ..
    '12.6.3 12:08 PM (203.100.xxx.141)

    야~야~

    야~야~입니다.ㅠ.ㅠ

  • 11. 수수엄마
    '12.6.3 12:26 PM (125.186.xxx.165)

    결혼 6년차...@@(제 이름)야...라고 부르십니다

  • 12. ..
    '12.6.3 12:28 PM (183.98.xxx.14)

    남편이 장남이라 전 '큰애야'

  • 13. 전 미혼인데..
    '12.6.3 12:46 PM (121.145.xxx.84)

    며늘아가 제일 괜찮을듯요..

  • 14. ...........
    '12.6.3 1:08 PM (112.148.xxx.242)

    저는 어머님께 제 이름을 불로 달라 했어요.'나이들수록 이름이 안불려지길래 제 이름이 불쌍해서요.

  • 15. 누구엄마
    '12.6.3 1:11 PM (175.193.xxx.153)

    라는 표현도 그냥 동네아줌마들이 부르는 이름같아 시어머님이 며느리에게
    쓰는 호칭은 아닐 것 같아요
    저는 시어머님이 누구엄마 이렇게 부르는데 왠지 남같이 느껴집니다
    큰애야 아님 둘째야 이렇게 부르던가 ....나이드신 분들은 이름부르기는 어색하겠지요
    신세대 시어머님이 모르지마

  • 16. bb
    '12.6.3 1:42 PM (211.228.xxx.227)

    너 라고 하심

    정말 쇼크먹었음

    그래도 한번씩 호칭은 **어미라고 하심

  • 17. 애 없던 초기엔
    '12.6.3 2:10 PM (122.36.xxx.40)

    이름으로 애 생긴 이후에는
    에미로요. ^^
    이건 애 아빠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부르셔요

  • 18.
    '12.6.3 3:48 PM (211.223.xxx.127)

    아야.. ㅇㅇ 엄마야,,,, 어쩌다가 제이름도,,,,

  • 19. ..
    '12.6.3 5:15 PM (121.168.xxx.50)

    우리 시엄니는.. 야, 너.. 입니다ㅠㅠ

  • 20. 저는
    '12.6.4 12:52 PM (211.114.xxx.103)

    아들이름으로 저를 불러요..전 안좋아해요
    아들은 아들이고 난 난데..oo에미라고 부르는게 나을 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1614 라면 먹고파요 오뚜기 참깨라면이나 신라면이요 3 컵라면 2012/09/09 1,850
151613 양평 봉쥬르 같은 식당 있나요? 3 ... 2012/09/09 3,253
151612 단일화가 죽겠긴 죽겠나봅니다 3 역으로 2012/09/09 1,861
151611 핀란드의 교육제도 jpg ... 2012/09/09 1,495
151610 재수생 언어 과외 1 지방맘 2012/09/09 1,410
151609 돼지고기 삼겹살찜 도움 부탁드려요! 3 진주팔찌 2012/09/09 1,444
151608 장동건꿈을 꿨네요^^ 4 ㅋㅋ 2012/09/09 1,549
151607 주소지 어떻게 알아낼 수 있을까요? 6 돈 안갚는... 2012/09/09 1,911
151606 홍삼정은 어떻게 만드는 걸까요??? 4 건강하고싶은.. 2012/09/09 2,247
151605 지금 표면상으로 드러난 안철수와 문재인 단일화의 장애요소. 4 ㅇㅇㅇㅇ 2012/09/09 1,840
151604 안철수랑 문재인 단일화 안할거같지않아요? 13 ... 2012/09/09 2,917
151603 첫사랑이 실패하는 이유 10 응답하라 2012/09/09 5,029
151602 오늘밤은 야식 뭐드시나요?매콤한 곱창볶음 먹고파요 5 야식 2012/09/09 1,673
151601 이 시간 뻘줌 질문요 오쿠 있으신분 여쭤요 8 별걸다물어 2012/09/09 2,045
151600 핸펀으로 몇분까지 통화해보셨어요? 5 뇌종양무셔 2012/09/09 1,469
151599 아내는 절약, 남편은 펑펑.. 8 곰발바닥zz.. 2012/09/09 4,242
151598 대자연의 신비로움을 느꼈던 여행지. 추천부탁드려요 20 2012/09/09 4,258
151597 그것이알고싶다 잘 봤습니다. 6 ㅇㄹㄹㄹㄹ 2012/09/09 3,026
151596 김어준의 뉴욕타임즈 1 싸랑해요 박.. 2012/09/09 1,486
151595 대형마트 허가제에 공휴일에 무조건 휴무? 2 !!! 2012/09/09 1,139
151594 마이너 치킨집이 더 맛있는 분 계세요? 4 치콜 2012/09/09 2,112
151593 집을 떠난것이 다행이었다 1 2012/09/09 1,644
151592 급질!!! 밥 짓기 여쭙니다 1 김밥 2012/09/08 2,345
151591 베리칩은 짐승의 표? 1 ... 2012/09/08 1,476
151590 치질수술하면 정말 변새는 증세 (변실금) 생기나요? 4 진짜인가요?.. 2012/09/08 6,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