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기쓴거 잘썼다고 아이들앞에서 읽게 하는거..

초등6 조회수 : 1,400
작성일 : 2012-05-02 00:41:52

어떻게 생각하세요?

우리아이 이야기예요..

샘이 잘썼다면서 반아이들 들으라고 읽으라고 했다는데

우리아이는 창피했다고 하네요..

저도..아무리 잘써도 그건  아닌듯 한데..

IP : 125.187.xxx.19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콩나물
    '12.5.2 12:45 AM (211.60.xxx.50)

    시험볼적마다 일어나서 자기점수 크게 부르고 앉는 저희반도 있어요

    그정도로...뭘요...

  • 2. 에고...
    '12.5.2 12:49 AM (58.123.xxx.137)

    저도 다른 글도 아니고 개인적인 일기를 그렇게 읽게 하는 건 좀 아닌 거 같아요.
    다른 글짓기 발표하는 거랑 착각해서 댓글 잘못 달았다가 얼른 지웠어요.
    초등학교 6학년이면 사춘기도 시작할 나이인데, 선생님이 생각을 잘못 하신 듯...

  • 3. tim27
    '12.5.2 1:00 AM (121.161.xxx.63)

    그 일기쓰기 없어졌으면 좋겠어요...차라리 글짓기가 나을꺼 같아요

    독후감이나 다른 문학장르를 가르쳐주면 좋겠구만....

  • 4. ..
    '12.5.2 4:05 AM (124.51.xxx.157)

    어렸을때도 누가 내 일기 본거 알게되면 불쾌했는데..부끄럽고..
    선생님이 좀 그렇네요....

  • 5. ....
    '12.5.2 5:30 AM (121.162.xxx.111)

    글짓기(X)....글쓰기(O)

  • 6. ....
    '12.5.2 5:41 AM (121.162.xxx.111)

    글짓기가 옳은가
    아니면
    글쓰기가 옳은가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생각하겠지만
    글짓기는
    없는 것을 있게 하는 뜻이 담겨 있고
    글쓰기는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뜻이 담겨 있다고 봅니다.

    “누가 네 이름을 지었는가”와
    “너는 네 이름을 쓸 수 있느냐”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름을 짓다에서
    짓다는
    없는 것을 있게 하는 것이고
    이름을 쓸 수 있느냐에서
    쓰는 것은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적어놓을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너는 감기약을 지었는가”와
    “너는 감기약을 썼느냐”라는 말이 있습니다.

    감기약을 짓다에서
    짓다도
    이름을 짓다와 같이
    감기를 낫게 하는 약이 없어서
    그 약을 있게 하는 것이고
    감기약을 쓰다에서
    쓰다는
    있는 감기약을 먹는 것입니다.

    어느 글에서
    글짓기에는
    거짓이 있을 수가 있고
    글쓰기에는
    참이 있을 수가 있는 듯이 하는 것은
    짓다는 것을 나쁘게 보려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어린이 글도 `글짓기' 보다는 `글쓰기'가 된 글를 싣는다. 바다에 가보지도 않고 푸른 바다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은 글짓기로서 거짓글이라는 것이다. 엄마 심부름 가기 싫어 꾀 부린 얘기 같은 것이 진정한 글쓰기로 지면에 실린다.
    (누리그물에서 따온 것임)

    누리그물의 어디에서는
    아래와 같이
    글짓기는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글쓰기를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글쓰기와 글짓기의 차이
    시, 소설, 감상문, 생활문, 논설문 등 각종 갈래의 글을 형식에 맞게 쓰는 것이 좁은 의미의 글짓기이다.'자기의 떠오르는 생각을 꾸밈없이 솔직하게 글로 쓰는 것'을 글쓰기라 한다. 소설가, 시인 같은 문학가는 글짓기를한다. 상대적으로 글짓기가 전문지식과 훈련이 필요하다면, 글쓰기는 누구든지 할 수 있다

    글을 마무리하면
    글짓기는 없는 것을 있게 하는 뜻이 담겨 있고
    글쓰기는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뜻이 담겨 있다고 봅니다.

  • 7. 초6
    '12.5.2 7:27 AM (122.37.xxx.184)

    우리반도 그렇다던데
    그런데 그 일기가 개인사생활이 아니고 주제를 정해놓고 쓰는글이라고 설명문을배우면 처음 가운데 끝에맞게 쓰고. .(일기). 그래도 애들이 자기거는 못읽게한다고
    하더라구요

  • 8. 일기
    '12.5.2 8:20 AM (115.21.xxx.18)

    읽는 건 좀 그렇네요
    아이 속마음을 쓴걸텐데

  • 9. Pepermint
    '12.5.4 1:11 AM (183.47.xxx.223)

    저도 초등학교 때 제 일기를 읽은 적이 있었어요.
    4학년 때 (지금도 있나)2교시 끝나고 조금 긴 15분~20분 정도의 쉬는 시간이 있었는데,
    같은 층 쓰시는 샘님들이 한 곳에 모여 차도 마시고 그러잖아요. 그런데 그 선생님들도 계시는데 일기를 읽으라고 하셨어요. 그때 정말 창피했는데!!! 애들은 잘 들어주지도 않고...


    근데, 15년이 넘게 지난 지금도 그 일기가 아직도 생각나요.

    제목이 "여보와 엄마의 차이"였어요. 왜 아빠가 '여보'라고 부탁하면 들어주고 내가 '엄마'라고 부르고 뭘 부탁하면 안 들어주느냐, 나도 '여보'라 불러볼까... 뭐 이런 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6982 아침마당같은데 출연하셨던 정신과 의사선생님 이름좀 알려주세요. 2 .. 2012/07/08 6,525
126981 어제 소아비만의 다이어트 한계 글.. 6 ... 2012/07/08 2,884
126980 22살 남자아이인데 깨울때보면 항.상. 매.일. 모노드라마를 해.. 4 뇌신경 잘 .. 2012/07/08 1,899
126979 매실엑기스 가라앉은 설탕 편하게 저어보아요~ 4 자유 2012/07/08 2,654
126978 대학생선배맘들 조언부탁드려요 6 문과,이과의.. 2012/07/08 1,737
126977 웅진코웨이 코디들 모여있는 사무실은 어디 있나요? 혹시 2012/07/08 1,358
126976 제수씨에게 4 배나온기마민.. 2012/07/08 2,487
126975 어성초(자궁질환, 피부병) 뿌리 드림글 올리면 찾는분 계실까요?.. 11 질문 2012/07/08 4,001
126974 MBC 서명안하신분들 부탁드려요 무도보고 싶어요 1 ..... 2012/07/08 1,240
126973 결혼해서 사는 신혼친구에게 요리책 선물해주고싶어요 10 결혼 2012/07/08 3,215
126972 여행용 가방중 장바구니처럼 위에서 넣을수있는 가방도 있나요? 2 가방 2012/07/08 1,665
126971 7월 중순 해운대에서 아이들과 밥 먹을만한 맛집 알고싶어요 4 해운대맛집 2012/07/08 2,252
126970 피임약으로 야스민 야즈 드시는 분들 드시지마세요 15 ........ 2012/07/08 105,520
126969 침대 매트리스 버리고 평상만 쓰시는 분 계신가요? 11 라일락 2012/07/08 4,585
126968 농협 하나로 마트도 오늘 휴무 2 언니 2012/07/08 2,794
126967 식탁에 반찬 몇가지 내놓으시나요? 7 궁금 2012/07/08 3,441
126966 손바닥에 본드가 많이 묻었어요 5 이를 어째 2012/07/08 1,664
126965 생리주기 좀 봐주세요.. 3 ... 2012/07/08 1,765
126964 정말 힘드네요 1 방수 2012/07/08 1,251
126963 박근혜 캠프 이상돈 “5·16은 쿠데타 아닌 군사혁명” 6 세우실 2012/07/08 1,489
126962 부의금 관련 질문좀 할께요 꼭봐주세요 8 misty 2012/07/08 4,681
126961 결혼후 남자가 수입을 말해주지 않는다고 하네요. 13 ... 2012/07/08 5,135
126960 부부싸움할 때 남자들이 제일 힘들어하는 질문이 5 .... .. 2012/07/08 4,485
126959 늦게자고 일찍 일어나는 9개월아기...좀 지치네요 9 ㅡㅡ 2012/07/08 3,275
126958 통계의 허구, 전기를 절약하자고요? 8 국민을 물로.. 2012/07/08 2,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