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뇌경색이 있으면..ㅠㅠㅠㅠㅠㅠㅠㅠㅠ

pp 조회수 : 2,943
작성일 : 2012-04-27 16:01:31

어떤가요??

저희 어머니가

병원에서 엠알아이를 찍으니

뇌경색이라고

작은 혈관이 다 막혔다고 하시는데

 

그게 어떤 병인가요??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뇌경색은 중풍이라고 하는데

저희 어머니는

그렇게 쓰러지신게 ㅇ ㅏ니거든요..

 

약만 먹으면 되나요??그럼

어떻게 건 강관리를 해야 하나요??

뇌경색진단받고 오래 사시는 분 계신가요???

그러니까

쓰러지거나 하시지 않고..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IP : 125.184.xxx.158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 같은 경우는..
    '12.4.27 4:05 PM (203.142.xxx.231)

    친정엄마가 몇년전에 아주 추운겨울날에. 추위에 좀 떠시더니. 말하는데 발음이 좀 어눌해지셨어요.
    바로 응급실가서 사진찍고. 어쩌고 입원은 1주일정도 하고. 뇌경색 진단 받았는데..
    다행히 초기에 진단받아서, 3달에 한번씩 현재까지 통원해서 약 드시고 계세요.
    5년정도 됐는데, 다행히 큰 문제는 없고, 관리가 되고 있는거죠. 심하면 중풍으로 쓰러질 병인데. 다행이 일찍 발견된거니까요.

    얼마전에 가수 조영남씨도 뇌경색이라는 기사 본적 있는데. 초기에 발견됐으면 병원다니면서 꾸준히 관리해주셔야 할거에요.

    크게 문제는 없는데. 이후로 좀 팍팍 늙긴하시더라구요. 원래 굉장히 동안이고 에너지가 넘치던 분인데.

  • 2. ...
    '12.4.27 4:09 PM (121.145.xxx.133)

    저희엄마도 3년전에 뇌경색진단받았는데
    아주작은 혈관이 막혔다고 했어요
    수시로 병원다니시고 약도 드시는데
    별이상없이 생활하세요
    다만 진전이 될까 무서운데 초기발견이라
    의사샘 처방 잘 따르면 괜찮을거라 여겨요

  • 3. 뇌경색
    '12.4.27 4:26 PM (175.223.xxx.51)

    뇌경색이 중풍이에요
    중풍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뇌경색은 혈관이 좁아들거나 막히는거,뇌출혈은 혈관이 터지는거에요
    혈전땜에 막히는건 3시간 안에 병원가서 시술로 뚫는데요 좁아진 뇌혈관은 방법이 없어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거나 좁아진 부분이 뇌의 어떤 부분인가에 따라 후유증이 다르죠
    뇌에 산소공급이 안되면 그 부분 뇌가 소위 죽는거에요...
    언어쪽이나 신체쪽이나 왼쪽이나 오른쪽이냐
    이건 사람마다 증상 예후가 다르답니다

    운이좋아 안쓰러지시고 후유증이 없다해도
    혈관이 좁아진건 서울 부산 경부고속도로 중에서도
    가장 막히는 서울-대전 길에 사고로 1차선 줄어든거랑 마찬가지에요

    길이 좁아졌는데 시설은 점점 낙후되어가니(연세)
    사고 위험(재발가능성) 이 더 커져요
    다음에 또 뇌경색 뇌출혈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고
    더 위험한 부분에 생길수도 있어요

    병원다니시면서 약 드시면서 더 나빠지지 않게 관리 하셔야 하고요
    뇌쪽은 워낙 예민한 부분이라 약을 잘써야하거든요
    이상한 치료방법에 현혹되지 마시고
    의사 처방에 잘 생활하시면 됩니다
    저희 엄마도 혈관 좁아지셨는데(60세때)
    65세인 지금도 아주아주 건강하시답니다

  • 4. 뇌졸증이 중풍
    '12.4.27 4:34 PM (112.153.xxx.234)

    뇌경색과 뇌출혈을 뇌졸증 = 중풍이라고 하구요.

    일단 뇌 경색이 오면 재발 확률이 높기 때문에(재발할땐 뇌 경색 또는 뇌출혈로 올 수 도 있음)
    약물 치료를 합니다.
    치료시기 놓치지 않고 병원에 가셨다면 막힌 혈관 뚫어주는 치료를 하기도 하지만 그 시기가 지나면
    치료를 해도 별 효과가 없다네요. 보통 일주일~열흘 입원 치료 합니다.

    뇌경색 원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혈관질환이라 처방받은 약, 제 때 잘드셔야 하고, 식습관 개선 해주셔야 해요.
    대부분 기름지고 짠 음식 피하고, 견과류, 나 채소, 과일 챙겨 드시면 좋고 운동도 해주시면 좋아요.
    특히 술, 담배는 꼭 끊어야 합니다.
    젊은 남자분들 중에 일찍 뇌졸증 온 분들 보면 평소 담배,술 많이 드신 분들이 많고, 과음하다가 쓰러져 온 분들이 많더라구요.

    어른들 몸 아프기 시작하면 우울증도 많아지니 잘 돌봐드리시고 말벗도 해주세요.

  • 5. 마음이
    '12.4.27 5:02 PM (222.233.xxx.161)

    제시어머니도 쓰러지신 건 아니고 본인이 평소와 몸이 좀 다른거 같아서 병원에 갓더니
    몇군데 막혀있고 그전에 모르고서 지나간 흔적도 있다고 해서 약처방 받으셧다고 하네요
    올해 80되셨는데 평소 굉장히 건강하셔서 지금도 농사일 하시는데
    평소에 술 즐겨하시고 좀 짜게 드시는 편이더라구요

  • 6. ...
    '12.4.27 5:24 PM (222.109.xxx.51)

    이미 뇌혈관이 안 좋다는 얘기예요
    꾸준히 병원 다니시면서 혈전 용해제 드셔야 해요.
    뇌경색이 한번 왔다가 그대로 머추는게 아니고 약을 드셔도
    계속 진행 되어요. 평소 음식 관리 잘 하시고 콜레스테롤 체크 하시고
    운동 열심히 하시고요. 추운날은 아침 일찍 찬바람 쐬거나
    집에서도 따뜻하게 난방 하시고요.
    연세 드시면 음식 먹고 체해도 뇌경색이 오더군요.
    저희 어머니 일 이년 간격으로 세번이나 오셨어도 외관상으로는
    별 이상 없으셨어요. 머리가 심하게 아프고 어지럽다고 하셔서
    병원 가서 검사 하니 뇌경색이 왔다고 하더군요.
    관리를 잘해도 계속 오는 병이예요. 항상 신경 쓰고 조심 하셔야 해요.

  • 7. ...
    '12.4.27 5:26 PM (222.109.xxx.51)

    머추는게...멈추는게
    찬바람 쐬거나.....찬바람 쐬거나 하면 안 좋아요.

  • 8. ...
    '12.4.27 5:31 PM (222.109.xxx.51)

    그리고 의사가 혈압 있고 당뇨 있으면 아무리 관리를 잘해도
    (약 복용 하면서 정상 수치 유지 하는것) 혈압, 당뇨 걸린지 10년 정도
    되면 뇌출혈이나 뇌경색이 온다고 하더군요.
    과로 하시면 안 좋고요. 과식도 안 좋아요.

  • 9. ,,,
    '12.6.29 5:11 PM (119.201.xxx.143)

    뇌경색이 있으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3255 웹사이트의 특정 페이지 url이 홈페이지 주소로만 나오는 경우... 2 ... 2012/04/30 643
103254 페이스북 제대로 해보니 1 ** 2012/04/30 1,049
103253 뼈대가 저질(웃자고)이라면 발레를... 9 경험담 2012/04/30 8,795
103252 더위 먹었나봐요 @.@ 2 이클립스74.. 2012/04/30 856
103251 82님들을 위한 선물 - 추천 노래 정리 4 새바람이오는.. 2012/04/30 866
103250 잠원동 사시는 분들 유치원 추천부탁드립니다. 1 ㄴㅇㄴㅇ 2012/04/30 909
103249 칠레포도도 썩네요 1 ㅎㅎ 2012/04/30 2,102
103248 대문의 보그병신체는 비교적 쉬운데... 7 한글날 2012/04/30 1,801
103247 동네에 황신혜와 싱크로율 99프로 아짐이 살아요 10 -- 2012/04/30 5,080
103246 3월에 원클릭 교육비 신청하신 분 계시나요? 6 ** 2012/04/30 3,092
103245 원두커피 추천좀요.. 3 스노피 2012/04/30 901
103244 홈쇼핑의 진동파운데이션 4 겨울이네 2012/04/30 2,015
103243 방금 길에서 대자로 넘어 졌어요ㅠ 19 스뎅 2012/04/30 3,306
103242 요즘 입을만한옷 미니 2012/04/30 738
103241 중학생 사회, 과학 학원 좀 추천해주세요 1 목동이나 신.. 2012/04/30 1,647
103240 돌아가신 할머니가 꿈에..아후..심난 심난 심난 2012/04/30 1,477
103239 아래에도 썻는데요. 심부전에 유명한 병원이나 의사선생님좀 알려주.. 5 라라라 2012/04/30 1,994
103238 k팝스타 개인적으로 박지민 우승 이유 6 g 2012/04/30 2,710
103237 진짜 팔토시 하면 시원한가요? 3 팔토시 2012/04/30 2,201
103236 혹시 소규모웨딩 하신 분 있으신가요? 6 brams 2012/04/30 3,382
103235 드뎌 유아 교육의 세계로 입문하려구요 4 유아 2012/04/30 1,149
103234 궁금증 올립니다.아기 성별에 대해.... 3 궁금한거못참.. 2012/04/30 969
103233 초등 남자애 코피가 요즘 거의 매일 주르륵 흘러요 4 코피가 자주.. 2012/04/30 1,725
103232 남편.. 이 정도면 너무하지않나요?? 4 짜증대박 2012/04/30 2,087
103231 해외자원봉사에 적당한 지역과 방법 알려주세요... 1 .. 2012/04/30 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