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의사들,,연봉은???1억미만에서 2억상회

하레나 조회수 : 6,425
작성일 : 2012-04-25 09:50:38
전문과목 따라 연봉 1억 차…취직도 양극화 뚜렷 정신과 2억 상회-마취과 1억 미만…"전공의 기피 이유 있다"
기사입력 2012-01-16 06:40
이인복 기자 ( news@medicaltimes.com )


"같은 의대를 나와도 어떤 과목을 전공했는지에 따라 연봉이 1억 넘게 차이가 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인기과와 비인기과가 나뉘는 가장 큰 이유지요."

새내기 의사와 전문의들이 취직 자리를 찾아 나서는 봄을 앞두고 있지만 모두의 표정이 밝은 것은 아니다.

전문과목별 연봉 편차가 너무나 벌어진데다 일부 과목은 취직 자리마저 마땅치 않아 고민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외과계열 전문의 몸값 하향 평준화…가정·마취과 하락

▲ 외과 계열 전문의 몸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이 없습니다.
올해 외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올해 취업을 준비중인 M씨. 하지만 그는 최근 대학에 1년 더 머물 각오를 하고 있다.

그는 16일 "지난해에도 취직 자리를 알아보다 전임의로 발길을 돌렸었다"며 "생각했던 연봉과 실제 현장의 연봉 차이가 너무 커 혼란스러운 것이 사실"이라고 털어놨다.

올해도 외과 계열 전문의들은 이같은 혼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 침체가 시작된 수년 전부터 조금씩 낮아지기 시작한 몸값이 반등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외과는 불과 몇년 전만해도 1억 2천만~1억 3천만원 선에서 연봉이 결정됐다. 하지만 지금은 8천만~9천만원 선에서 미세하게 움직이고 있다.

실제로 경기도의 A종합병원의 경우 수술 전담 외과 전문의를 연봉 9000만원에 구하고 있다. 충청도의 B종합병원도 마찬가지. 지방임에도 9200만원 선에서 전문의를 뽑고 있다.

산부인과와 비뇨기과 등 외과 계열 전문과목들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연봉 1억원을 넘기는 곳이 흔치 않다.

한 채용업체 관계자는 "외과와 산부인과 등은 개원이 용이하지 않아 봉직 시장으로 몰리는 경향이 강하다"며 "수요와 공급의 영향으로 몸값이 하락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가정의학과와 마취과 전문의들의 몸값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사실상 경력 1년 정도의 일반 의사들과 연봉차이가 크게 없다.

최근 C종합병원은 가정의학과, 일반의사를 채용한다는 공고를 냈다.

현재 C병원이 생각하고 있는 연봉은 가정의학과 9천만원, 일반의 8700만원이다. 전문의와 일반의의 연봉이 불과 300만원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마취통증의학과는 상황이 더욱 안좋다. 수요가 크지 않다보니 최근에는 연봉이 8천만원 선까지 내려간 곳이 많다.

▲ 올해도 전문의 시험 합격률이 높아 치열한 취업 경쟁이 예상된다.

이 업체 관계자는 "가정의학과 전문의는 내시경을 하지 못하면 일반의와 비슷한 대우를 받는 것이 현실"이라고 귀띔했다.

특히 마취과의 경우 올해 200명 가량의 신규 전문의가 배출될 상황에 있어 연봉이 더욱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전망이다.

정신과·영상의학과 등 연봉 2억 상회…양극화 심화

하지만 구직자리를 찾아 나서야 하는 이들과 달리 스카웃 전쟁이 벌어지는 과목도 있다. 흔지 말하는 정신과, 영상의학과 등 인기과목들이다.

이들 과목들은 연봉 2억원 이하는 찾아보기 힘들다. 경상북도의 한 종합병원은 정신과 전문의를 2억 5천만원에 구하고 있다.

전북의 한 병원도 2억 1천만원에 사택을 제공하는 것을 조건으로 걸었다.

이밖에 병원도 대부분 2억원 이상의 연봉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지방으로 내려갈 수록 연봉은 점점 더 높아진다.

영상의학과도 마찬가지다. 몇년전 2억원 이상으로 책정된 연봉이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경기도의 한 병원은 영상의학과 전문의 초빙을 위해 2억 2천만원의 연봉을 내걸었고 경남의 한 병원도 2억원 이상에서 기타 조건을 합의해보자고 제시했다.

재활의학과도 여전히 강세다. 요양병원 증가세가 주춤하지만 아직도 수요가 있는 탓이다.

이로 인해 월급 2천만원 이하로는 사실상 채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채용업계의 전언. 그나마 연봉이 낮아져도 외과계열보다 2배 이상 높은 기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의사초빙닷컴 조철흔 대표는 "사실 지방의 중소병원들은 정신과, 영상의학과 전문의를 뽑기 위해 전문의 시험 전부터 흔히 말하는 선수 예약에 나선다"며 "그래도 한명이라도 충원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결국 일부 전문의는 병원이 모셔가기 위해 애 쓰고 일부는 자신이 취직자리를 찾아나서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봉직 시장이 과열되면서 전문과목별, 지역별 양극화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http://www.medicaltimes.com/News/1072016

대략 수도권 인기없는 과는 1장언저리에서~지방에 인기과는 2.5장,3장까지도 찍는듯..

이정도면,대기업 연차쌓인 부장이나,,임원급 아님??

외과쪽은 평균 월1천만원정도 받는다네요..

IP : 121.136.xxx.7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4.25 9:56 AM (203.248.xxx.65)

    그래서요???

  • 2. ..............
    '12.4.25 10:05 AM (121.88.xxx.239)

    그래서 어쩌라고??

  • 3.
    '12.4.25 10:13 AM (182.208.xxx.67)

    일반적으로 의사나 변호사들은 상대적인 빈곤감을 극심하게 느끼는 직종이죠.

    의사도 앞으로 먹기 힘든 세상이 온다는 말도 있던데
    실제는 이전만큼 잘 먹고 잘 살기는 힘들다라는 이야기죠.

    2000년 이전에는 웬만한 의사정도면 기울어지는 가세도 살릴 정도로 잘 번던 분들이 많았는 데
    지금은 그 정도는 안되죠.

    참으로 특이한건
    이런데도 더 할려고 몰린다는 건데...

    이건 의사가 과거에 비해 소득이 감소한 것보다
    일반인들의 소득이 더 열악해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거죠.

    일반인들도 웬만큼 소득이 따라주면 의사가 되려고 힘든 과정을 거칠 생각을 안하겠지만
    지금은 그렇게 해서라도 의사가 되는 것이 어느정도의 삶은 유지해줄수 있으니까요...

    의사가 되서 큰돈을 벌겠다 보다는 살만큼 살자 이렇다고 할까요..

    기본적으로 일반국민, 일반 서민들의 삶이 너무 팍팍하고 힘듭니다.

  • 4.
    '12.4.25 10:16 AM (182.208.xxx.67)

    최저임금이 시간당 4500원 하는 동안에는 계속 의사가 꿈의 동경이 되면서 동시에 질시의 대상이 될겁니다.

    그건 의사의 수입이 정말 많아서 그런 것이 아니라 지금 처한 일반인들의 처지가 최악이기 때문이죠.

  • 5. ..
    '12.4.25 10:26 AM (175.223.xxx.90)

    기사 이렇게 퍼오구 삭제 당해도 나중에 뭐라하지 마세요.
    전 이런거 신고합니다. 82를 위해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2407 삼촌이라고 안하고 삼춘이라고 하는거요 11 . 2012/04/27 4,837
102406 어느 여자의 학벌 뻥튀기.... 1 별달별 2012/04/27 2,185
102405 7세 아이와 서울에서 여름휴가 호텔패키지 수배중인데요.. 4 ObLaDi.. 2012/04/27 2,658
102404 김밥에 단무지 안 넣고 싸는 분 계신가요? 9 김밥이요김밥.. 2012/04/27 4,202
102403 다문화가 세계의 흐름?? 선진국들의 자국민 보호정책과 다문화 정.. 2 알자 2012/04/27 1,479
102402 은교 보려는데 보신분들 어떠세요? 2 은교 2012/04/27 2,113
102401 사주 봐주세요 ... 2012/04/27 980
102400 내일 여수 가는데 맛집 정보 좀 알려주세요.. 3 주말여행 2012/04/27 1,739
102399 저만의 작은 즐거움... 2 zzz 2012/04/27 1,699
102398 노래방 안가본지 몇년 되었네요 2012/04/27 1,066
102397 친척이 보험회사에 다니는데 주민번호랑 주소를 알려달래요. 괜찮은.. 11 .... 2012/04/27 5,753
102396 [김어준의 뉴욕타임스 169회] 시사단두대 ..보세요 2 그랜드 2012/04/27 1,941
102395 60대 남자 지갑 추천해주세요 타이스 2012/04/27 2,754
102394 미국에서 사올 선물고민...아이디어 요청해요.... 1 작은선물고민.. 2012/04/27 1,555
102393 실망...설화수 윤조에센스 좋은가요? 5 기대했는데 2012/04/27 5,059
102392 인터넷 의류 쇼핑몰 추천해주세요~ 15 포비 2012/04/27 3,600
102391 사무실 주변에 겹벚꽃이 활짝 피었어요. 1 벚꽃 2012/04/27 822
102390 김밥에 미나리 넣는분들 안계세요? 16 ,,, 2012/04/27 3,386
102389 미국에 한인분들이 한국에서 받고싶은선물이 뭘까요??ㅜㅜ 5 선물 2012/04/27 1,433
102388 KBS, OECD보고서 "MB,그네 생각에 맞는 부분만.. yjsdm 2012/04/27 631
102387 에어컨 설치기사님 가시는길에 김밥 드리면 부담될까요? 9 에어컨 2012/04/27 2,475
102386 낮에 이승기랑 하지원 약혼식 했다네요~~ 5 에버랜드 2012/04/27 4,076
102385 글쓰기나 댓글쓰기가 이상해요.. 요즘.. 2012/04/27 559
102384 한배에서 나온 강아지들이 지들끼리 교배하는거ᆢ 6 스피츠 2012/04/27 3,525
102383 여중생 화장품 추천해 주세요^^ 4 어린이날 2012/04/27 1,672